한반도 국제정치의 비극

$36.29
SKU
97911303178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3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30317854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이 책은 저자가 2010년대 중반부터 수행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당시 중국의 부상이 지속되면서, 동북아에서 미중 경쟁, 중일 경쟁, 북중 관계 긴밀화, 한미일 대 북중러 진영화 현상 등이 부각되었다. 저자는 이런 동북아 국제정치 동향에 대한 대응을 염두에 두고, 본격적으로 중소국 외교, 한국의 국가 정체성, 동북아 지정학, 한국의 지전략과 대전략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에서 ‘중소국 외교 세미나 시리즈’를 운영하고, ‘외교전략연구센터’의 책임교수도 맡았었다. 2019년 화웨이 5G 통신장비 사태를 계기로 외교부가 미중 경쟁에 대한 대응책을 수립하기 위해 외교전략조정회의를 가동할 때, 국립외교원을 대표하여 참가했었다. 관련 연구 결과는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정책연구시리즈와 주요국제문제분석으로 발표되었다.

이 책은 아래의 논문과 보고서를 수정 보완하고 재구성하여 집필했다. 포함된 정책연구시리즈 논문은 「21세기 한국 국제안보 연구: 개념과 실제」(2015), 「동북아 세력정치와 한국 안보」(2018), 「중소 중추국 외교전략과 한국 외교」(2018), 「미중 경쟁 시대 한국의 중간국 외교전략」(2019), 「동북아 지정학과 한국 외교전략: 강중국과 중추국 정체성을 중심으로」(2020), 「동북아 신지정학 시대 공동안보를 위한 지역안보협력 추진 전략」(2021), 「동북아 전쟁과 한국의 지전략」(2022) 등이 있다. 주요국제문제분석 보고서는 「국가안보전략의 국익 개념과 체계」(2017), 「미중 경쟁 시대의 동북아 국제정치와 한국 안보」(2017), 「북핵 해법 논쟁과 한반도 비핵·평화공존체제」(2018), 「미중 경쟁 시대 정체성 기반 국익과 신외교 원칙」(2019), 「코로나19 팬데믹의 국제정치와 한국 외교 방향」(2020), 「미중 경쟁 시대의 동북아 평화협력 추진 전략」(2021), 「한국 외교를 위한 전략의 역할과 방법」(2022) 등이 있다.
Contents
제1부 동북아 패권경쟁과 한반도의 운명
제1장 미중 경쟁에 대한 한국의 딜레마와 고민
제2장 지정학 시대의 귀환
제3장 동북아 패권전쟁 역사와 한반도의 운명
제4장 중추국의 외교 옵션과 사례 비교
제5장 동북아 지역 안보협력의 모색과 한계

제2부 한국 외교를 위한 전략적 사고
제6장 한국 외교에서 전략의 빈곤과 전략의 활용
제7장 국가안보전략의 체계와 방법
제8장 한국의 4대 국가 정체성과 국익
제9장 국제안보를 위한 전통 안보와 신안보 방법

제3부 동북아 신지정학 시대 한국의 선택
제10장 한국의 지속가능 신외교전략
제11장 미중 패권경쟁에 대한 한국의 중추국 외교
제12장 공동안보 기반의 동북아 지역 전략
제13장 북한 핵무장 이후 북핵 외교와 억제 전략
Author
전봉근
서울대 대학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Oregon 주립대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2005년부터 2023년까지 국립외교원 교수로 재직하고,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장 직무대리, 안보통일연구부장, 외교전략센터 책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연구 분야는 북핵문제, 동북아, 외교전략, 군축비확산, 핵정책 등이다. 국립외교원 이전에는 대통령실 국제안보비서관, KEDO 뉴욕본부 전문위원, 통일부 장관정책보좌관으로 근무했다. 그 외 한국핵정책학회 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외교부·통일부·국방부의 자체평가위원·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협상, 남북정상회담자문회의, 국회 남북화해협력자문위원회, 국회 경제외교자문위원회,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 등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했다.
서울대 대학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Oregon 주립대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2005년부터 2023년까지 국립외교원 교수로 재직하고,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장 직무대리, 안보통일연구부장, 외교전략센터 책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연구 분야는 북핵문제, 동북아, 외교전략, 군축비확산, 핵정책 등이다. 국립외교원 이전에는 대통령실 국제안보비서관, KEDO 뉴욕본부 전문위원, 통일부 장관정책보좌관으로 근무했다. 그 외 한국핵정책학회 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외교부·통일부·국방부의 자체평가위원·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협상, 남북정상회담자문회의, 국회 남북화해협력자문위원회, 국회 경제외교자문위원회,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 등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