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지역사회교정의 다양한 프로그램들과 그 쟁점들을 소개하고, 이들과 관련된 다양한 동영상자료를 소개하고 있다. 경찰행정학과나 교정학과에서 지역사회교정론이나 교정학 등의 주교재 또는 부교재로 활용할 수 있겠지만, 사회복지학과에서 개설되는 교정복지론의 교재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절 보호관찰이란 무엇인가? 13
제2절 보호관찰의 역사와 장점 15
1. 보호관찰의 역사 15
2. 보호관찰의 장점 17
제3절 보호관찰의 시행방식 19
1. 보호관찰의 목적에 따른 시행방식 19
2. 보호관찰관의 소속에 따른 시행방식 20
3. 대상자에 따른 보호관찰의 시행방식 20
제4절 지역사회 감시모델의 시대적 변화 21
제5절 한국의 보호관찰제도 23
1. 한국 보호관찰제도의 역사 23
2. 현행법상 보호관찰의 대상자와 기간 23
3. 보호관찰의 개시 절차 26
제3장
가석방
제1절 가석방의 초기 역사 32
제2절 교정에서의 가석방의 역할 33
제3절 양형과 가석방 35
1. 정기형과 필요적 석방 35
2. 부정기형과 재량적 석방 36
제4절 가석방의 결정 38
1. 가석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38
2. 가석방 위험성 예측 39
제4장
판결 전 지역사회감시와 양형
제1절 판결 전 지역사회감시의 목적 54
제2절 판결 전 지역사회감시의 역사적 발전 55
1. 영국과 미국의 보석제도의 발전 55
2. 한국의 보석제도 57
제3절 판결 전 감시의 유형 59
제4절 보석의 위험성 예측 62
1. 미 연방의 보석지침 62
2. 오하이오 판결 전 위험성 평가시스템 64
제5절 합리적 양형과 양형기준 67
1. 미국의 양형기준 67
2. 한국의 양형기준 71
제6절 판결 전 조사보고서 74
1. 판결 전 조사보고서의 목적과 내용 74
2. 판결 전 조사보고서와 관련한 법적 쟁점 76
3. 판결 전 조사보고서의 유형과 작성 예 77
제5장
지역사회감시 대상자의 위험성에 따른 관리
제1절 대상자의 위험성과 분류의 원칙 83
제2절 대상자의 위험성에 따른 분류제도 87
1. 위스컨신 위험성 평가시스템 88
2. LSI 개정판 92
3. 오하이오 지역사회감시 대상자 위험성 평가시스템 93
4. 강호성의 성인 보호관찰대상자 위험성 평가표 99
제3절 사례관리 모델과 대상자에 대한 감시방법 100
1. 지역사회감시관의 업무량 할당과 사례관리 모델 100
2. 지역사회감시의 방법 103
제4절 대상자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 105
1. 대상자 개입의 계획과 실행 106
2. 지역사회감시에서 자원봉사자의 활용 109
제6장
특수범죄자의 지역사회교정
제1절 여성범죄자 117
1. 여성범죄자에 대한 위험성/욕구/반응성 전략 117
2. 여성범죄자의 탈시설화를 통한 다이버전 120
제2절 약물중독범죄자 121
1. 항중독약물치료 122
2. 약물법원 123
3. 치료공동체 126
제3절 정신장애범죄자 128
1. 정신장애범죄자의 위험성과 지역사회감시 129
2. 정신건강법원 130
3. 정신건강 전문보호관찰관 131
제4절 성범죄자 132
1. 성범죄자의 다양한 욕구 132
2. 봉쇄에 초점을 둔 위험성 관리 134
3. 성범죄자의 등록 및 지역사회 고지제도 136
4.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약물치료 139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학사·석사·박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원·선임연구원·부연구위원, 5급·7급·9급 공무원 시험 출제위원, University of Cincinnati·Visiting Scholar. 제1회 한국피해자학회 범집학술상 수상(2013). 동의대 지방자치연구소 소장, 동의대 인문사회과학대학 학장.
현 대한범죄학회 회장, 동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학사·석사·박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원·선임연구원·부연구위원, 5급·7급·9급 공무원 시험 출제위원, University of Cincinnati·Visiting Scholar. 제1회 한국피해자학회 범집학술상 수상(2013). 동의대 지방자치연구소 소장, 동의대 인문사회과학대학 학장.
현 대한범죄학회 회장, 동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