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4단계 BK21 “글로벌 위기 시대의 지역사회 혁신과 새로운 공공거버넌스 교육연구단”에 참여하는 글로벌행정학과 소속 교수들이 공동 집필한 학술서적이다. 모든 저자가 같은 학과에 속해있지만, 다양한 분야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조화롭게 융합할 역량을 강점으로 보유한 본 교육연구단의 특징이 이 책을 출판한 중요한 원동력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각자의 시각에서 글로벌 빈곤을 개념화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야를 나누어 빈곤 문제에 접근했지만, 통합의 시각에서 협력을 강조할 때 글로벌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도전에 대응할 수 있다는 생각을 공유하며 책을 집필하였다. 그리고 저자들은 2020년 9월 BK21 교육연구단이 출범한 이후 같은 공간에서 함께 토론하며 연구하고 교육한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부드러운 내용을 모아 독자들이 읽기 쉽게 정리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글로벌 빈곤과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다차원적 연구와 교육의 좋은 시작점이 될 것이다. 이 책을 접하는 독자 여러분이 글로벌 빈곤의 개념과 현황을 이해하고 올바른 국제개발협력의 방향을 성찰하는 소중한 기회를 얻게 되길 기대한다.
Contents
Chapter01
글로벌 빈곤, 지속가능성, 국제개발협력 한상일
Ⅰ. 빈곤의 개념과 유형 3
1. 글로벌 빈곤의 중요성과 빈곤의 유형/3
2. 절대적·상대적·주관적 빈곤/5
3. 기본적 욕구 결핍으로서의 빈곤/11
4. 물질적 결핍과 역량의 부족으로서의 빈곤/14
5. 실업과 열악한 공공서비스 접근성으로서의 빈곤/16
6. 다차원 빈곤 척도/16
Ⅱ.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국제개발협력 19
1. 국제개발협력의 역사적 발전/19
2.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글로벌 빈곤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22
Chapter02
글로벌 빈곤과 불평등의 이해 조인영
Ⅰ. 들어가며 27
Ⅱ. 빈곤의 현황 28
Ⅲ. 불평등의 개념과 측정 30
1. 소득불평등/31
2. 불평등의 측정/31
3. 세전소득불평등과 세후소득불평등 개념의 이해/33
4. 세계 최빈국의 불평등 현황/34
Ⅳ. 불평등과 빈곤의 원인 37
1. 불평등과 빈곤의 관계/37
2. 빈곤과 불평등의 원인: 정치와 경제/38
3. 불평등의 원인과 격차에 대한 선행연구/40
Ⅴ. 저개발국가의 불평등과 빈곤 해결을 위한 제도적, 역사적 시사점 44
1. 저개발국가의 불평등과 빈곤 해결을 위한 제도적 시사점/44
2. 저개발국가의 불평등과 빈곤 해결을 위한 역사적 시사점: 한국 및 라틴아메리카/47
Ⅵ. 결론 49
Chapter03
글로벌 빈곤과 건강 이서현
Ⅰ. 건강과 질병, 그리고 빈곤 55
1. 건강을 정의하기/55
2. 국제질병부담(Global Burden of Disease) 현황/59
3. 빈곤의 질병/62
Ⅱ. 질병을 이해하는 세 가지 접근법 64
1. 생의학적(Biomedical) 접근/64
2. 행동/생활방식(Lifestyle) 접근/66
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68
Ⅲ. 빈곤국의 건강문제, 그 대안 찾기 72
1. 모자보건 사례/72
2. 생의학적 접근에 따른 대안/74
3. 행동/생활방식 접근에 따른 대안/75
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따른 대안/77
Chapter04
글로벌 빈곤과 교육 장인철
Ⅰ. 글로벌 빈곤과 교육격차의 상관관계 85
1. 교육을 통한 글로벌 빈곤퇴치/85
2. 교육격차 측정의 세 가지 유형/86
Ⅱ.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 94
1. 인간의 기본권으로서의 교육/94
2.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97
3.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103
Chapter05
글로벌 빈곤과 국제개발협력: 한국과 아프리카 조준화
Ⅰ. 글로벌 빈곤과 아프리카 111
Ⅱ.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 및 개발협력 관계 113
1. 2000년대 이전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 역사/113
2. 2000년대 이후/118
3.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체계/122
Ⅲ. 한국과 콩고 민주공화국 125
Ⅳ. 한국과 르완다 129
Ⅴ. 결론 131
Chapter06
글로벌 빈곤과 사회적 자본 한상일
Ⅰ. 사회적 자본의 개념 137
1. 사회적 자본이란?/138
2. 경제학에서의 사회적 자본/140
3. 사회학에서의 사회적 자본/141
4. 정치학에서의 사회적 자본/143
5. 사회과학에서의 사회적 자본/143
Ⅱ.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효과 144
1. 사회적 자본의 유형1: 구조적·인지적·관계적 사회적 자본/144
2. 사회적 자본의 유형2: 결속형, 교량형, 연계형 사회적 자본/145
3. 거시적 수준의 사회적 자본/147
4. 사회적 자본의 효과/148
Ⅲ. 아프리카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빈곤의 관계 149
1. 사회적 자본과 결핍으로서의 빈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150
2. 사회적 자본과 자유가 박탈된 정도로서의 빈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158
3. 사회적 자본과 재난과 불안/162
4. 사회적 자본과 정보접근성/167
5. 아프리카의 사회적 자본과 빈곤의 관계 분석 요약/168
6. 사회적 자본과 글로벌 빈곤 극복을 위한 순환구조의 중요성/169
Chapter07
국제개발협력과 사회적 경제 정무권
Ⅰ. 서론 175
Ⅱ. 국제개발협력 패러다임 변화와 최근 동향 176
1. ‘개발’, ‘발전’ 의미/177
2. 국제개발협력 패러다임의 변화/179
Ⅲ. 사회적 경제의 개념화와 글로벌 사회에서의 사회적 경제의 성장 188
1. 사회적 경제의 개념화/188
2. 글로벌 차원에서 사회적 경제의 성장 동향/193
Ⅳ. 국제개발협력에서의 사회적 경제의 새로운 역할 197
1. 국제개발협력의 최근 패러다임인 포스트개발주의와 사회적 경제의 가치와 목적의 상호 부합성/197
2. UN의 지속가능한발전(SDGs)의 패러다임에 부합/198
3. 국제개발협력의 글로컬화 전략으로서 SDGs의 지역화와 사회적 경제의 역할/205
Ⅴ. 결론: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적 경제 접근법의 한계를 넘어 한국형 국제개발협력 모델의 하나로 212
1.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적 경제 접근법의 한계와 극복 방향/212
2. 사회적 경제의 한국형 국제개발협력 모델의 하나로서 가능성/214
부록
찾아보기 223
Author
한상일,정무권,이서현,조인영,조준화,장인철
(현) 연세대학교 글로벌창의융합대학 글로벌행정학과 교수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행정학 박사
· 조직론, 지역개발,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
· 한국정책학회 ODA정책위원장 역임, 연세대학교 글로벌행정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장 수행 중
(현) 연세대학교 글로벌창의융합대학 글로벌행정학과 교수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행정학 박사
· 조직론, 지역개발,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
· 한국정책학회 ODA정책위원장 역임, 연세대학교 글로벌행정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장 수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