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의 새로운 이해』는 총 4부로 구성되며 지방자치를 제도, 관리, 관계, 정책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제1부는 제1장에서 제3장까지로 주로 지방자치의 제도적 측면을 다루고 있다. 제2부는 제4장에서 제5장까지인데 주로 지방자치의 관리적 측면을 다루고 있다. 제3부는 제6장에서 제7장까지이며 주로 지방자치의 관계적 측면을 다루고 있다. 제4부는 제8장에서 제9장까지로 지방자치의 정책적 측면을 다루고 있다.
Contents
제1장 지방자치의 의의: 지방자치는 필요한가?
제1절 현대국가와 지방자치
제2절 지방자치의 역사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제2장 지방행정체제: 지방정부는 모두 같은 것인가?
제1절 지방행정체제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2절 지방행정체제의 현황과 쟁점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제3장 지방의회와 단체장: 지방정부의 대표자는 무엇을 할까?
제1절 지방정부 구성의 원리
제2절 지방의회와 단체장의 역할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제4장 지방행정조직과 인사: 지방정부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가?
제1절 행정조직 구성의 이론적 논의
제2절 자치조직권과 지방행정조직의 실태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제5장 지방재정: 지방정부를 운영할 때 지방세만으로 충분한가?
제1절 지방재정의 이론적 논의
제2절 지방재정의 실태와 국제 비교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제6장 정부 간 관계: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와 대등할까?
제1절 정부 간 관계의 이론적 논의
제2절 정부 간 관계의 실태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제7장 주민참여: 주민은 지방정부가 하는 일에 어떻게 참여할까?
제1절 주민참여에 대한 이론적 논의
제2절 주민참여의 현황과 쟁점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제8장 복지와 지방자치: 복지는 누가 해야 하나요?
제1절 복지국가와 지방정부
제2절 지방정부의 복지정책 비교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제9장 도시와 지방자치: 매력 있는 도시공간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제1절 도시공간의 이론과 지방자치
제2절 도시공간 관련 제도와 도시공간 사례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291
제10장 지방자치의 현실과 과제: 지방자치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제1절 지방자치를 둘러싼 환경변화
제2절 지방자치의 과제와 방향성
제3절 생각해 볼 문제 320
Author
길종백,하정봉,곽창규
1970년생.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 석사학위를 받았고, 일본 쓰쿠바대학(筑波大學)에서 법학박사(행정학 전공) 학위를 받았다. 현재 순천대학교 행정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70년생.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 석사학위를 받았고, 일본 쓰쿠바대학(筑波大學)에서 법학박사(행정학 전공) 학위를 받았다. 현재 순천대학교 행정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