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는 경제구조 변화의 주요 원인인 글로벌 가치사슬(GVC)을 통해 전 세계, 지역, 국가, 산업, 기업 수준에서 보다 긴밀하게 통합되어 상호 의존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거대 다국적 기업들이 운송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을 이용하여 글로벌 전략으로서 해외직접투자(FDI), 오프쇼어링, 아웃소싱을 통합함으로써 기업내 국제무역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경제학을 비롯한 경영학, 사회학 분야에서는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글로벌 가치사슬의 발전과 그로 인한 국가, 산업, 기업에 미치는 사회 경제적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본서에서는 지난 수십년간 발전해온 글로벌 가치사슬과 관련된 자료들을 통합하여 『글로벌 가치사슬의 경제학(Economics of Global Value Chains)』이란 경제학의 새로운 각론 체계를 세움으로써 많은 독자들의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돕고자 한다.” - 저자의 말 중에서
Contents
PART 1. 글로벌 가치사슬의 개념과 발전과정
CHAPTER 1 글로벌 가치사슬의 개념 ▶ 3
1. 가치사슬과 공급사슬 3
2. 글로벌 가치사슬과 글로벌 공급사슬 6
3. 언번들링과 기업의 수직통합 9
4. 글로벌 가치사슬의 유형 12
5. 글로벌 가치사슬의 발전동기 14
6. 다국적 기업과 글로벌 가치사슬 16
CHAPTER 2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방법론의 발전체계 ▶ 19
1. 기업의 본질: 계약이론의 적용 19
2. 국제무역 이론의 발전 22
3. 기업의 원가자료 분석 24
4. 산업수준에서 사례연구 26
5. 국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방법론의 발전 30
6. 글로벌 가치사슬의 영향분석 38
PART 2. 국제무역 이론과 글로벌 가치사슬 ??
CHAPTER 3 국제무역 이론의 요약 ▶ 51
1. 전통적 무역이론 54
2. 현대적 무역이론 56
3. 경제성장 이론과 무역 61
4. 국제무역 이론과 정책 63
CHAPTER 4 국제무역 이론의 구분 ▶ 65
1. 국제무역 이론의 구분 65
2. 국제무역 이론의 분류기준 68
CHAPTER 5 전통적 무역이론 ▶ 71
1. 중상주의 이론 71
2. 고전파 이론 72
3. 신고전파 이론 82
4. 완전경쟁시장에서의 무역정책 91
5. 실증분석 결과 92
CHAPTER 6 현대적 국제무역 이론 ▶ 98
1. 규모의 경제 효과와 불완전 경쟁시장 98
2. 외부 규모의 경제와 완전경쟁시장 100
3. 내부 규모의 경제와 불완전 경쟁시장 106
4. 신-신무역 이론(New-New trade theory): 기업의 이질성 121
5. 신기술 무역이론 125
CHAPTER 7 글로벌 가치사슬의 무역이론 ▶ 139
1. 비교우위론의 부활 140
2. 생산의 분절화와 업무의 교역 143
3. 생산의 분절화와 무역 145
4. 서비스의 무역 149
5. 업무의 무역 156
6. 글로벌 가치사슬 무역모형의 한계 160
?? PART 3. 글로벌 가치사슬과 기업 지배구조 ??
CHAPTER 8 가치사슬에서의 기업 지배구조의 유형과 결정요인 ▶ 165
1. 지배구조의 의미와 중요성 165
2.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지배구조의 역할 166
3. 글로벌 가치사슬 지배구조의 유형 167
4. 기업 지배구조의 변화 요인 170
5. 기업 지배구조의 변화 171
6. 기업 지배구조에서 제도적 요인 171
CHAPTER 9 기업의 본질과 글로벌 가치사슬 ▶ 173
1. 신제도경제학과 기업이론 173
2. 기업이론의 필요성 174
3. 거래비용 이론 175
4. 경영관리 및 행동이론(Managerial and behavioural theories) 178
5. 자산 전속성(asset specificity) 182
6. 아웃소싱 이론 183
7. 그로스먼-하트-무어(Grossman-Hart-Moore) 이론 184
CHAPTER 10 기업이론과 기업 지배구조 전략 ▶ 185
1. 거래비용과 지배구조 185
2. 핵심역량과 지배구조 189
3. 글로벌 가치사슬 지배구조 전략 191
?? PART 4. 국제 산업연관표와 부가가치 무역의 측정 ??
CHAPTER 11 글로벌 가치사슬과 국제 산업연관표의 활용 ▶ 199
1. 국제 산업연관표 199
2. 부가가치 무역의 측정 202
3. 글로벌 가치사슬 참가지수 206
4. 총수출의 부가가치 분해 209
CHAPTER 12 Stata를 이용한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의 기초 ▶ 214
1. 기본 예제 216
2. 국제 산업연관표에 접근 221
3. 공급, 최종수요, 공급과 최종수요의 연계 224
4. 부가가치의 분해와 글로벌 가치사슬 참가율 234
5. 무역흐름의 형태와 범위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246
6. 분석결과의 엑셀 파일 저장 250
7. 국가그룹 분석 251
8. 반복처리 방법 251
9. 엑셀, CSV자료 불러오기 252
CHAPTER 13 Stata를 이용한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사례 ▶ 254
1. 소스자료 다운로드와 CSV자료 만들기 254
2. 중간재 무역거래 260
3. 부가가치 무역 269
4. 총수출, 산업별 수출의 국별 부가가치 270
5. 총수출의 분해 275
6. 부가가치 수출기준 경쟁력(RCA지수) 281
7. 글로벌 가치사슬 참가율 285
8. 글로벌 가치사슬과 사회 네트워크 분석(중심성) 290
9. 한?미?일?중 무역관계 298
10. 한국 최종수요의 해외 의존도 301
11. 부가가치의 조달국과 최종수요의 완전분해 305
12. 글로벌 가치사슬의 취약성: 국별 품목별 수입의존도 심화 정도 분석 310
13. 글로벌 가치사슬과 히트맵(Heatmap) 317
14. World Development Indicator 데이터베이스 320
15. 펜 월드 테이블(Penn World Table) 자료 325
16. 한국생산성본부의 생산성 분석자료 328
?? PART 5.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의 응용 ?
?
CHAPTER 14 글로벌 가치사슬과 경제성장 및 고도화 ▶ 335
1. 신성장 이론 335
2. 진화 성장이론 348
3. 글로벌 가치사슬과 고도화(upgrading) 351
CHAPTER 15 글로벌 가치사슬 참가와 경제적, 사회적 고도화 패널자료의 작성과 갱신 ▶ 373
1. 글로벌 가치사슬 연구를 위한 패널 데이터세트의 작성 373
2. 주요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가와 경제적, 사회적 고도화 380
3. 경제적 고도화와 사회적 고도화에 대한 시사점 389
4. 예제 구조의 설명 392
5. 전체 데이터의 갱신 방법 397
CHAPTER 16 글로벌 가치사슬과 경제 불안정 ▶ 399
1. 기술 편향적 노동수요의 이동 400
2. 전체 노동수요 401
3. 노동 분배율 402
4. 무역으로 인한 고용전환 403
5. 노동수요의 탄력성과 위협 효과 404
CHAPTER 17 COVID-19 대유행과 글로벌 가치사슬 ▶ 406
1. COVID-19 대유행으로 제기되는 문제 406
2. 글로벌 가치사슬의 재구축의 실체적 증거 408
3.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정부개입의 효과 414
4. 수출제한 조치와 국제협력 418
CHAPTER 18 한국과 중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 421
1. 한중 교역관계의 변화 421
2. 한중 무역구조의 변화 426
3. 향후 한중 무역구조에 미칠 요인 448
4. 바람직한 한중 무역구조 458
CHAPTER 19 글로벌 교역둔화와 글로벌 가치사슬: 슬로벌라이제이션(Slowbalisation) ▶ 465
1. 글로벌 가치사슬 확대와 글로벌 교역둔화 465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467
3. 분석자료와 연구방법론 476
4. 분석결과 481
5. 결론 488
찾아보기 490
Author
박승록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동 대학원을 거쳐 미국 노던 일리노이 대학(Nor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한국 제조업의 마컵, 규모의 경제, 가동률과 총요소생산성」이란 주제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업연구원(KIET), 삼성경제연구소(SERI), 한국경제연구원(KERI)에서 주로 생산성 분야의 연구를 하였다. 한성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연구와 강의를 한 후 퇴임했다. 매경이코노미스트상, 매경비트학술상, 중소기업학회 우수논문상, 앨버트넬슨평생공로상(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받았다.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동 대학원을 거쳐 미국 노던 일리노이 대학(Nor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한국 제조업의 마컵, 규모의 경제, 가동률과 총요소생산성」이란 주제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업연구원(KIET), 삼성경제연구소(SERI), 한국경제연구원(KERI)에서 주로 생산성 분야의 연구를 하였다. 한성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연구와 강의를 한 후 퇴임했다. 매경이코노미스트상, 매경비트학술상, 중소기업학회 우수논문상, 앨버트넬슨평생공로상(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