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버클리 대학(UC Berkeley)에서 근현대 유럽사 전공으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대전대학교 혜화리버럴아츠 칼리지 역사문화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 연구 관심 분야는 러시아/우크라이나/동유럽의 민족문제, 러시아 혁명, 식민지 근대성, 역사 이론, 포스트 맑시즘, 유럽 정치사상사 등이다. 논문과 공저로 ?“슈뢰딩거의 클레오파트라?” 디지털과 아날로그 사이 경계에 선 한국서양사학? 『역사학보』 251, 2021, pp. 459-477, “From an Estate to a Cossack Nation: Kuban’ samostiinost’, 1917,” Europe-Asia Studies, 66-10, 2014, pp. 1649-1678, “Universalizing Cossack Particularism: ‘the Cossack Revolu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Kuban’,” Revolutionary Russia, 25-1, 2012, pp. 1-29, ?소비에트 연방은 왜 해체되었는가? - 소련의 “이중 체제”와 “민족 창조 정책”을 통해서 본 소련 해체 문제의 재고 -? 『역사학보』 210, 2011, pp. 357-405, 『혼돈의 시대, 명쾌한 이코노믹스』 (박영사, 2022), 『대륙의 미학 역설의 시학』 (삼인, 2020), 『러시아 근대사』 (민속원, 2014)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버클리 대학(UC Berkeley)에서 근현대 유럽사 전공으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대전대학교 혜화리버럴아츠 칼리지 역사문화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 연구 관심 분야는 러시아/우크라이나/동유럽의 민족문제, 러시아 혁명, 식민지 근대성, 역사 이론, 포스트 맑시즘, 유럽 정치사상사 등이다. 논문과 공저로 ?“슈뢰딩거의 클레오파트라?” 디지털과 아날로그 사이 경계에 선 한국서양사학? 『역사학보』 251, 2021, pp. 459-477, “From an Estate to a Cossack Nation: Kuban’ samostiinost’, 1917,” Europe-Asia Studies, 66-10, 2014, pp. 1649-1678, “Universalizing Cossack Particularism: ‘the Cossack Revolu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Kuban’,” Revolutionary Russia, 25-1, 2012, pp. 1-29, ?소비에트 연방은 왜 해체되었는가? - 소련의 “이중 체제”와 “민족 창조 정책”을 통해서 본 소련 해체 문제의 재고 -? 『역사학보』 210, 2011, pp. 357-405, 『혼돈의 시대, 명쾌한 이코노믹스』 (박영사, 2022), 『대륙의 미학 역설의 시학』 (삼인, 2020), 『러시아 근대사』 (민속원, 201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