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 개념과 적용』은 3부 2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모든 독자들이 이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통독을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환자안전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이라면 제1장(환자안전의 개념적 이해), 14장(환자안전문화 구축), 16장(팀워크), 18장(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20장(임상위험관리), 21장(환자안전사건 보고시스템 활성화)을 우선 읽어보기를 권하며, 환자안전의 기본 개념에 익숙한 분들은 각자 관심이 있는 부분을 선택하여 읽으면 좋을 것입니다.
Contents
제1부 환자안전 개념과 발전 동향
제1장 환자안전의 개념적 이해 _ 이상일
1 환자안전의 중요성 5
2 주요 개념 6
2.1 환자안전_6
2.2 위해사건_6
2.3 중대사건_6
2.4 오류_7
2.5 근접오류_8
2.6 사건 분석_9
3 환자안전 개선 활동의 대두 배경 10
4 환자안전 문제의 규모 11
4.1 기존 연구들_11
4.2 우리나라의 문제 규모 추정_12
5 환자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
6 환자안전사건 발생의 이해 14
7 우리나라의 환자안전 활동 16
8 참고문헌 17
1 환자안전 관련 국내 법 체계 분류 53
2 환자안전사건 예방에 관한 국내 법 제도 53
2.1 보건의료기관 관련 법·제도_53
2.2 보건의료인 관련 법·제도_57
2.3 의약품 및 의료기기 관련 법·제도_58
3 환자안전사건 파악에 관한 국내 법 제도 58
3.1「환자안전법」_59
3.2 의료기관 감염관리_68
3.3 혈액안전 관리_69
4 환자안전사건 대응에 관한 국내 법 제도 69
4.1 당사자 간 합의_70
4.2 한국소비자원을 통한 피해구제 및 조정_70
4.3 법원을 통한 조정_72
4.4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을 통한 조정 및 중재_73
4.5 의료소송_75
5 참고문헌 76
1 침습적 시술과 환자안전 97
2 침습적 시술과 연관된 위해사건의 원인 98
2.1 미흡한 감염관리_99
2.2 소홀한 환자 관리_99
2.3 의료인이 시술 전후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실패한 경우_101
2.4 시술 환자 치료 개선을 위한 확인절차: 지침, 규정, 점검표_102
3 교육내용 108
3.1 다른 환자, 부위, 시술을 줄이기 위해 어떠한 확인 절차를 따라야 하는가_108
3.2 위험 및 오류를 줄이는 수술실 내 기법(타임아웃(Time-out), 브리핑/디브리핑, 주의 사항 전달)_109
3.3 교육과정으로서 사망 및 이환 사례 집담회 참여_110
4 사례연구 111
4.1 위해사건이 발생한 수술의 사례_111
4.2 경고에도 불구하고 다른 쪽 콩팥을 제거한 사례_112
4.3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의 사용을 규정에 따라 사용하는 데 실패한 사례_112
4.4 다른 쪽의 치아 수술 및 낭종 추출한 사례_113
4.5 옥시토신 사용에 대한 의사소통의 실패 사례_114
5 도구 및 자료 115
6 참고문헌 116
제6장 국가적 약물안전감시체계 _ 정수연·박병주
1 약물안전관리의 중요성 121
2 국가적 약물안전관리 현황 122
2.1 미국의 약물감시체계_122
2.2 유럽의 약물감시체계_124
2.3 일본의 약물감시체계_125
3 우리나라 약물안전관리체계 126
3.1 의약품재평가제도_127
3.2 의약품재심사제도_127
3.3 품목갱신제도_128
3.4 위해성관리계획_129
3.5 자발적부작용신고제도_129
3.6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역할_130
4 참고문헌 139
1 국내감염관리 실태 165
1.1 감염관리조직 설치_165
1.2 감염관리조직 구성요소_165
1.3 감염관리실태 변화_166
1.4 감염관리전문가 활동_166
2 감염관리와 환자안전 167
2.1 문제의 영향력_168
2.2 경제적 부담_169
2.3 국제적 대응_169
2.4 주의지침_170
3 의료관련 감염의 이해 172
3.1 의료관련 감염 개요_172
3.2 의료관련 감염에 취약한 환자_173
3.3 의료관련 감염의 예방을 위한 5가지 우선순위_173
3.4 결핵_181
3.5 효과적인 멸균 절차 활용_182
3.6 예방적 항생제 사용_182
4 환자안전을 위한 감염관리 실무 182
4.1 손 위생을 포함한 표준주의지침 실천_183
4.2 B형 간염 백신_185
4.3 감염에 노출된 경우의 조치_185
4.4 사례 연구_187
5 참고문헌 189
제9장 의료 관련 기타 합병증 _ 황지인·김철규
1 낙상 194
1.1 낙상 현황_194
1.2 낙상의 정의_194
1.3 낙상 위험 평가_195
1.4 낙상 예방 활동_196
1.5 관련 자료원_199
2 욕창 200
2.1 욕창 현황_201
2.2 욕창의 정의 및 분류 체계_201
2.3 욕창 위험 평가_202
2.4 욕창 예방을 위한 활동_203
2.5 관련 자료원_205
3 정맥혈전색전증 206
3.1 정맥혈전색전증 현황_207
3.2 정맥혈전색전증 위험 요소_208
3.3 정맥혈전증 예방_209
4 참고문헌 212
제10장 의료기기 안전관리: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오류의 개선 _ 박태준·김수경
1 의료기기 안전문제의 특성 219
1.1 의료기기_219
1.2 의료기기 안전문제_219
1.3 외국의 의료기기 안전문제_221
1.4 우리나라 의료기기 안전문제_224
2 의료기기 사용오류 225
2.1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의 역사_225
2.2 의료에서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_225
2.3 사람의 인지적 한계_227
2.4 의료기기 사용성 평가의 필요성_229
3 사용성 평가 방법 229
3.1 사용성이란?_229
3.2 의료기기 사용성 평가 기준_230
3.3 의료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용성 평가 방법_230
4 정리 및 요약 239
5 참고문헌 240
제11장 신속대응시스템 및 중환자실 환자안전 _ 홍상범
1 신속대응시스템의 역사 245
2 신속대응팀의 필요성 246
3 신속대응시스템의 구성 247
3.1 환자 급성악화 인지 부분(Afferent limb)_247
3.2 자료 수집, 환자안전 및 질적 향상_250
3.3 관리 및 교육_250
4 신속대응시스템의 임상적 근거 251
5 신속대응시스템의 성공 전략성 252
6 국내 병원 문제점 및 발전 방향 253
7 중환자실에서의 환자안전 254
7.1 중환자실 환자안전 관련 요소들_254
7.2 중환자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몇 가지 방법들_257
8 참고문헌 258
제12장 응급의료와 환자안전 _ 이재호·이의선
1 응급의료의 특성과 환자안전 263
1.1 응급의료의 특성과 응급의료체계_263
1.2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_263
2 응급의료 관련 국내 법 제도 267
2.1「응급의료에 관한 법률」과 환자안전_267
2.2 응급의료기관 평가_268
3 응급의료 오류 현황과 예방을 위한 전략 269
3.1 응급의료 오류 현황_269
3.2 진단오류와 오류생성조건_273
3.3 응급의료 오류 예방을 위한 전략_277
4 환자안전을 위한 응급의료의 과제 284
5 참고문헌 285
제13장 마취와 진정에서의 환자안전 _ 조수영
1 마취분야에서의 환자안전활동의 역사 293
2 마취와 진정에 따른 위험 294
2.1 마취와 진정의 종류와 깊이_294
2.2 마취와 진정에 따른 위험_295
2.3 국내 마취관련 환자안전 상황_295
3 마취통증의학분야의 환자안전을 위한 노력 296
4 마취에서 고려해야 할 환자안전 개념 297
4.1 약물안전_297
4.2 주의산만_298
4.3 비수술실 마취_298
4.4 체크리스트 활용_299
5 참고문헌 299
1 환자안전사건 보고 및 보고시스템 499
1.1 환자안전사건 보고_499
1.2 환자안전 보고시스템_499
1.3 환자안전사건 보고시스템의 분류_503
2 국내 환자안전사건 보고시스템 504
2.1 기관 내부 보고시스템_504
2.2 기관 외부 보고시스템_507
3 환자안전사건 보고 활성화 512
3.1 환자안전사건 보고에 대한 인식 및 보고 현황_512
3.2 보고 장애 요인 및 활성화 방안_513
4 참고문헌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