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 개념과 적용

$43.70
SKU
979113031606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1/02
Pages/Weight/Size 188*257*35mm
ISBN 9791130316062
Categories 대학교재 > 의약학/간호 계열
Description
『환자안전 개념과 적용』은 3부 2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모든 독자들이 이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통독을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환자안전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이라면 제1장(환자안전의 개념적 이해), 14장(환자안전문화 구축), 16장(팀워크), 18장(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20장(임상위험관리), 21장(환자안전사건 보고시스템 활성화)을 우선 읽어보기를 권하며, 환자안전의 기본 개념에 익숙한 분들은 각자 관심이 있는 부분을 선택하여 읽으면 좋을 것입니다.
Contents
제1부 환자안전 개념과 발전 동향

제1장 환자안전의 개념적 이해 _ 이상일

1 환자안전의 중요성 5
2 주요 개념 6
2.1 환자안전_6
2.2 위해사건_6
2.3 중대사건_6
2.4 오류_7
2.5 근접오류_8
2.6 사건 분석_9
3 환자안전 개선 활동의 대두 배경 10
4 환자안전 문제의 규모 11
4.1 기존 연구들_11
4.2 우리나라의 문제 규모 추정_12
5 환자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
6 환자안전사건 발생의 이해 14
7 우리나라의 환자안전 활동 16
8 참고문헌 17

제2장 환자안전의 국제 동향 _ 김수경

1 환자안전에 관한 국제적 논의 23
1.1 개요_23
1.2 세계보건기구의 환자안전 사업_24
2 주요국의 환자안전체계 29
2.1 미국_29
2.2 영국_39
3 참고문헌 48

제3장 국내 법 제도 소개 _ 이미진·김소윤·이상일·구홍모·이원

1 환자안전 관련 국내 법 체계 분류 53
2 환자안전사건 예방에 관한 국내 법 제도 53
2.1 보건의료기관 관련 법·제도_53
2.2 보건의료인 관련 법·제도_57
2.3 의약품 및 의료기기 관련 법·제도_58
3 환자안전사건 파악에 관한 국내 법 제도 58
3.1「환자안전법」_59
3.2 의료기관 감염관리_68
3.3 혈액안전 관리_69
4 환자안전사건 대응에 관한 국내 법 제도 69
4.1 당사자 간 합의_70
4.2 한국소비자원을 통한 피해구제 및 조정_70
4.3 법원을 통한 조정_72
4.4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을 통한 조정 및 중재_73
4.5 의료소송_75
5 참고문헌 76

제2부 의료분야별 환자안전관리

제4장 진단과정과 진단오류 _ 염호기

1 환자안전과 진단오류 83
2 진단과정의 이해와 진단오류의 개념 84
2.1 진단과정의 이해_84
2.2 진단오류의 개념_84
3 진단과정의 이해 85
4 진단오류의 빈도 87
5 진단오류의 원인 87
5.1 인지적 원인_88
5.2 체계적 원인_88
5.3 무과실(no fault) 원인_89
5.4 과잉진단(overdiagnosis)_89
6 진단오류 근본원인분석 89
7 진단오류의 예방 90
7.1 진단 추론의 향상과 진단오류 감소_91
7.2 진단환경개선_92
8 참고문헌 93

제5장 수술 및 침습적 시술 _ 김석화·선욱

1 침습적 시술과 환자안전 97
2 침습적 시술과 연관된 위해사건의 원인 98
2.1 미흡한 감염관리_99
2.2 소홀한 환자 관리_99
2.3 의료인이 시술 전후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실패한 경우_101
2.4 시술 환자 치료 개선을 위한 확인절차: 지침, 규정, 점검표_102
3 교육내용 108
3.1 다른 환자, 부위, 시술을 줄이기 위해 어떠한 확인 절차를 따라야 하는가_108
3.2 위험 및 오류를 줄이는 수술실 내 기법(타임아웃(Time-out), 브리핑/디브리핑, 주의 사항 전달)_109
3.3 교육과정으로서 사망 및 이환 사례 집담회 참여_110
4 사례연구 111
4.1 위해사건이 발생한 수술의 사례_111
4.2 경고에도 불구하고 다른 쪽 콩팥을 제거한 사례_112
4.3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의 사용을 규정에 따라 사용하는 데 실패한 사례_112
4.4 다른 쪽의 치아 수술 및 낭종 추출한 사례_113
4.5 옥시토신 사용에 대한 의사소통의 실패 사례_114
5 도구 및 자료 115
6 참고문헌 116

제6장 국가적 약물안전감시체계 _ 정수연·박병주

1 약물안전관리의 중요성 121
2 국가적 약물안전관리 현황 122
2.1 미국의 약물감시체계_122
2.2 유럽의 약물감시체계_124
2.3 일본의 약물감시체계_125
3 우리나라 약물안전관리체계 126
3.1 의약품재평가제도_127
3.2 의약품재심사제도_127
3.3 품목갱신제도_128
3.4 위해성관리계획_129
3.5 자발적부작용신고제도_129
3.6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역할_130
4 참고문헌 139

제7장 의료기관 내 의약품안전관리 _ 윤정이·손은선

1 환자안전에 대한 의약품관리의 중요성 143
2 의료기관 내 의약품관리 현황 144
2.1 국내 현황_144
2.2 국외 현황_144
3 의약품사용오류의 분류 146
4 의약품 사용단계별 위험 147
4.1 의약품 처방_147
4.2 의약품 조제_149
4.3 의약품 투약_149
4.4 모니터링_149
5 의약품사용의 위험요인 150
5.1 환자_150
5.2 의료진_150
5.3 작업장_151
5.4 의약품_151
5.5 기타_151
6 의약품 안전 관리방법 151
6.1 의약품 관리_152
6.2 의약품 처방_152
6.3 의약품 조제_153
6.4 의약품 투약_155
6.5 모니터링_155
7 의약품사용오류 예방 156
7.1 임상의사결정시스템과 처방감사_156
7.2 약제자동화 업무_156
7.3 약물조정(medication reconciliation)_157
7.4 임상약사 활동_157
7.5 안전한 약물사용 정책수립_158
8 참고문헌 160

제8장 감염관리 _ 김지인·강선주

1 국내감염관리 실태 165
1.1 감염관리조직 설치_165
1.2 감염관리조직 구성요소_165
1.3 감염관리실태 변화_166
1.4 감염관리전문가 활동_166
2 감염관리와 환자안전 167
2.1 문제의 영향력_168
2.2 경제적 부담_169
2.3 국제적 대응_169
2.4 주의지침_170
3 의료관련 감염의 이해 172
3.1 의료관련 감염 개요_172
3.2 의료관련 감염에 취약한 환자_173
3.3 의료관련 감염의 예방을 위한 5가지 우선순위_173
3.4 결핵_181
3.5 효과적인 멸균 절차 활용_182
3.6 예방적 항생제 사용_182
4 환자안전을 위한 감염관리 실무 182
4.1 손 위생을 포함한 표준주의지침 실천_183
4.2 B형 간염 백신_185
4.3 감염에 노출된 경우의 조치_185
4.4 사례 연구_187
5 참고문헌 189

제9장 의료 관련 기타 합병증 _ 황지인·김철규

1 낙상 194
1.1 낙상 현황_194
1.2 낙상의 정의_194
1.3 낙상 위험 평가_195
1.4 낙상 예방 활동_196
1.5 관련 자료원_199
2 욕창 200
2.1 욕창 현황_201
2.2 욕창의 정의 및 분류 체계_201
2.3 욕창 위험 평가_202
2.4 욕창 예방을 위한 활동_203
2.5 관련 자료원_205
3 정맥혈전색전증 206
3.1 정맥혈전색전증 현황_207
3.2 정맥혈전색전증 위험 요소_208
3.3 정맥혈전증 예방_209
4 참고문헌 212

제10장 의료기기 안전관리: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오류의 개선 _ 박태준·김수경

1 의료기기 안전문제의 특성 219
1.1 의료기기_219
1.2 의료기기 안전문제_219
1.3 외국의 의료기기 안전문제_221
1.4 우리나라 의료기기 안전문제_224
2 의료기기 사용오류 225
2.1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의 역사_225
2.2 의료에서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_225
2.3 사람의 인지적 한계_227
2.4 의료기기 사용성 평가의 필요성_229
3 사용성 평가 방법 229
3.1 사용성이란?_229
3.2 의료기기 사용성 평가 기준_230
3.3 의료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용성 평가 방법_230
4 정리 및 요약 239
5 참고문헌 240

제11장 신속대응시스템 및 중환자실 환자안전 _ 홍상범

1 신속대응시스템의 역사 245
2 신속대응팀의 필요성 246
3 신속대응시스템의 구성 247
3.1 환자 급성악화 인지 부분(Afferent limb)_247
3.2 자료 수집, 환자안전 및 질적 향상_250
3.3 관리 및 교육_250
4 신속대응시스템의 임상적 근거 251
5 신속대응시스템의 성공 전략성 252
6 국내 병원 문제점 및 발전 방향 253
7 중환자실에서의 환자안전 254
7.1 중환자실 환자안전 관련 요소들_254
7.2 중환자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몇 가지 방법들_257
8 참고문헌 258

제12장 응급의료와 환자안전 _ 이재호·이의선

1 응급의료의 특성과 환자안전 263
1.1 응급의료의 특성과 응급의료체계_263
1.2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_263
2 응급의료 관련 국내 법 제도 267
2.1「응급의료에 관한 법률」과 환자안전_267
2.2 응급의료기관 평가_268
3 응급의료 오류 현황과 예방을 위한 전략 269
3.1 응급의료 오류 현황_269
3.2 진단오류와 오류생성조건_273
3.3 응급의료 오류 예방을 위한 전략_277
4 환자안전을 위한 응급의료의 과제 284
5 참고문헌 285

제13장 마취와 진정에서의 환자안전 _ 조수영

1 마취분야에서의 환자안전활동의 역사 293
2 마취와 진정에 따른 위험 294
2.1 마취와 진정의 종류와 깊이_294
2.2 마취와 진정에 따른 위험_295
2.3 국내 마취관련 환자안전 상황_295
3 마취통증의학분야의 환자안전을 위한 노력 296
4 마취에서 고려해야 할 환자안전 개념 297
4.1 약물안전_297
4.2 주의산만_298
4.3 비수술실 마취_298
4.4 체크리스트 활용_299
5 참고문헌 299

제3부 환자안전 개선방안

제14장 환자안전문화 구축 _ 최윤경·이순교·정연이

1 환자안전문화의 이해 307
1.1 조직문화_307
1.2 안전문화_307
1.3 환자안전문화_309
1.4 환자안전문화 관련요인_311
2 환자안전문화의 측정 312
2.1 환자안전문화 측정 개요_312
2.2 환자안전문화 측정의 실제_313
3 환자안전문화 구축 전략 317
3.1 리더십_317
3.2 팀워크와 의사소통_318
3.3 근거기반 실무_319
3.4 학습문화_319
3.5 공정문화_320
3.6 환자중심 케어_323
4 참고문헌 326

제15장 효과적인 의사소통 _ 이남주·장해나·안신애

1 보건의료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 333
2 효과적 의사소통의 개념과 원칙 335
2.1 의사소통의 정의_335
2.2 의사소통 과정_335
2.3 의사소통 유형_336
2.4 의사소통 기능_337
2.5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표준_337
2.6 의료인 간 의사소통 연구와 의사소통 능력 교육 필요성_338
3 의사소통 방해 요인과 개선전략 339
4 인수인계 341
4.1 인수인계와 환자안전_342
4.2 효과적인 인수인계의 구성요소_343
4.3 표준화된 인수인계_343
5 의사소통 향상 방안 347
5.1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_347
5.2 의사소통 중재 연구 결과_354
6 참고문헌 356

제16장 팀워크 _ 박인영·박태준

1 팀워크의 개념 363
2 팀워크 훈련 방법: TeamSTEPPSⓡ 365
3 TeamSTEPPSⓡ의 전략과 내용 366
3.1 팀구조_367
3.2 효과적인 의사소통_368
3.3 리더십_371
3.4 상황 모니터링_372
3.5 상호지원_373
4 요약 및 결론 375
5 참고문헌 375

제17장 환자 및 보호자의 참여 _ 황정해·김윤숙·이승은

1 서론 379
2 환자 및 보호자 참여와 사전동의 380
2.1 사전동의의 정의와 원칙_380
2.2 사전동의의 구성요소_380
3 환자참여의 효과적 의사소통 382
3.1 환자참여를 유도하는 의사소통의 기본틀_382
3.2 환자참여를 돕는 의사소통 도구_383
4 환자 및 보호자 참여전략 386
4.1 진료 시점에서의 환자 참여_386
4.2 의료 조직 설계 및 거버넌스에의 환자 참여_393
4.3 공공 정책 수립에의 환자 참여_394
5 공유적 의사결정 394
6 환자참여와 문해력 평가 396
6.1 환자참여 평가_396
6.2. 환자안전 문해력 평가_396
7 참고문헌 397

제18장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_ 김은경·옥민수·최성경

1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의 의미 403
2 의료과오와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404
3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의 중요성 407
3.1 환자 중심의 관점_407
3.2 윤리적 관점_408
3.3 보건의료기관 중심의 관점_408
4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 정책 409
5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의 원칙 410
6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의 절차 411
6.1 1단계: 환자안전사건 소통하기를 위한 준비_413
6.2 2단계: 준비 팀 구성_414
6.3 3단계: 의료기관의 역할_415
6.4 4단계: 소통 범위의 결정_416
6.5 5단계: 대화 방법의 결정_417
6.6 6단계: 만남 장소의 설정_419
6.7 7단계: 문서화와 기록_419
6.8 요약_419
7 참고문헌 421

제19장 의료정보기술의 활용 _ 이재호·김정은

1 의료정보기술과 환자안전 개요 427
1.1 보건의료서비스와 의료정보기술_427
1.2 환자안전: 의료정보기술 확산 동력_428
2 의료정보기술과 환자안전 428
2.1 의료정보기술과 병원정보시스템 개요_428
2.2 의료정보기술은 어떻게 환자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나?_430
2.3 의료정보기술관련 오류_439
3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정보기술의 요건 442
3.1 의료정보기술관련 오류보고시스템_443
3.2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정보기술의 과제_443
4 참고문헌 444

제20장 임상 위험관리 _ 박성희·송명희·조은주

1 개요 451
2 임상 위험관리의 발전과정 452
2.1 미국에서의 위험관리 역사_452
2.2 사고보고시스템_453
2.3 보고에 대한 저항 극복하기_454
3 임상 위험관리 과정 454
3.1 1단계: 위험상황 정하기_456
3.2 2단계: 임상 위험 확인_458
3.3 3단계: 임상 위험 분석_459
3.4 4단계: 임상 위험의 평가와 우선순위_465
3.5 5단계: 임상 위험의 처리_466
4 임상 위험관리를 위한 사례 해결 방법론 468
4.1 고장유형 및 영향분석 사례_468
4.2 근본원인분석 사례_473
5 임상영역별 위험관리 479
5.1 마취 영역에서의 위험관리_479
5.2 중환자실 영역에서의 위험관리_481
5.3 소아 및 신생아 영역에서의 위험관리_483
5.4 응급의학 영역에서의 위험관리_485
5.5 외과 영역에서의 위험관리_487
5.6 산과 영역에서의 위험관리_488
5.7 입원병동 영역에서의 위험관리_490
6 참고문헌 492

제21장 환자안전사건 보고시스템 활성화 _ 이원·김소윤·문석균·서보영

1 환자안전사건 보고 및 보고시스템 499
1.1 환자안전사건 보고_499
1.2 환자안전 보고시스템_499
1.3 환자안전사건 보고시스템의 분류_503
2 국내 환자안전사건 보고시스템 504
2.1 기관 내부 보고시스템_504
2.2 기관 외부 보고시스템_507
3 환자안전사건 보고 활성화 512
3.1 환자안전사건 보고에 대한 인식 및 보고 현황_512
3.2 보고 장애 요인 및 활성화 방안_513
4 참고문헌 519

제22장 환자안전 교육 및 훈련 _ 김윤숙·이재호·김소윤·장승경

1 개요 525
2 환자안전 교육관리 525
2.1 교육주제 선정_526
2.2 교육방법_526
2.3 교육효과 평가_527
3 환자안전 교육대상 528
3.1 경영진_528
3.2 환자안전 전담인력_529
3.3 환자안전리더_529
3.4 의료진_530
3.5 예비보건의료인_536
3.6 환자 및 보호자_546
4 환자안전교육과 훈련 현황 558
4.1 국내 사례_558
4.2 국외 사례_561
5 참고문헌 572

제23장 환자안전연구 _ 이재호·이상일

1 환자안전연구 개요 577
1.1 환자안전연구의 중요성_577
1.2 환자안전연구와 관련된 이슈_578
1.3 환자안전연구 주요 주제와 우선순위_580
2 환자안전연구 유형과 역량 583
2.1 환자안전연구 유형_583
2.2 환자안전연구 역량_587
3 환자안전연구 윤리와 질 향상 활동 589
3.1 환자안전연구 윤리_589
3.2 환자안전연구와 질 향상 활동_590
4 국내 환자안전연구 591
4.1 환자안전연구 우선순위_592
4.2 환자안전연구 정부 지원_593
5 참고문헌 594

·찾아보기 / 598
Author
대한환자안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