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토츠바시대학에 자리를 옮긴 지 어느새 6년이 다 되어 간다. 평상시 같으면 학생으로 붐빌 학교 캠퍼스가 코로나 때문에 그 여느 때보다 조용하다. 대학이 방학을 맞이한 기간이라도 이렇게 조용한 시절이 있을까 싶을 정도다. 코로나로 학생들 강의와 지도를 비대면으로 한다. 일본 국내에 있는 학생에게는 물론, 일본 밖에 있는 학생들에게도 그들의 시간대에 맞추어 그렇게 한다.
일상과 다른 대학생활을 보내며, 필자의 대학생활을 되돌아봤다. 마침 필자는 올해 40세가 되는데, 일본의 대학과 연을 맺은 지는 벌써 20년이 되었다. 학부, 석사, 그리고 박사를 마치고, 일본 대학에서 자리를 잡았다. 이과계열 학부에서 시작한 필자의 대학생활이지만, 지금은 일본을 대표하는 사회과학 분야의 대학에서 일을 하고 있다. 지난 20년 동안 일본 대학에서 많은 경험을 했다. 그런 경험을 단편적인 잡학으로 쌓아두기보다는, 그렇게 쌓인 정보를 스스로 한번 정리를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마침, 그런 개인적인 욕심을 구체적으로 실행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 계기가 있다. 학교에 있으면, 자연스럽게 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통계를 정기적으로 접한다. 필자도 유학생 경험을 했기에, 유학생에 관한 통계는 특히 관심이 간다. 최근에 일본 유학을 힘들어하거나 잘 적응 못 하는 한국인 유학생이 다소 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됐다. 사전에 미리 알았으면, 어려움을 겪을 시간에 새로운 경험을 하나 더 쌓을 수 있었을 텐데, 그러지 못해서 참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런 것에 필자의 입장에서 나름대로의 소명이 생겨서, 필자가 아는 통계와 지견을 바탕으로 책을 쓰게 됐다.
Contents
─1장
일본 대학제도
1. 일본의 대학 및 분류3
2. 일본 대학에서 다루는 학문분야5
3. 대학 랭킹 및 대표적인 대학 소개12
4. 일본으로 오는 한국인 유학생 수39
─2장
일본에서의 학부 생활
1. 일본 대학 진학률45
2. 대학 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1학년50
3. 본격적인 전공과목 강의가 시작되는 2학년54
4. 취업을 준비하는 3학년58
5. 졸업논문을 쓰고, 일부는 진학을 동시에 준비하는 4학년61
6. 학부생의 취업률63
7. 4년을 넘는 재학에 대해서69
1. 학점 관리105
2. 스펙 쌓기109
3. 일본어 수준114
4. 일본 문화에 대한 이해116
5. 일본에서의 외로움120
6. 일본의 지역 간 차이에 대한 이해121
7. 일본에서의 한국인124
8. 대학 및 대학원 진학을 위해 교수한테 연락 취하기126
─5장
마지막으로
감사의 말133
참고문헌134
Author
강병우
1982년생. 한일공동이공계학부 국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도호쿠대학 공과대학를 졸업했다. 그 후, 도호쿠대학 대학원 공학석사 학위를, 도쿄대학 대학원 기술경영박사 학위를 받았다. LG전자와 JETRO(일본무역진흥기구)를 거쳐 현재 히토츠바시대학 상학부와 이노베이션연구센터에서 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 외에,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경제산업청 산하 경제산업연구소(Research Institute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도쿄대학, 와세다대학, 그리고 아인트호벤 공과 대학(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에서도 객원연구원으로 있었다.
1982년생. 한일공동이공계학부 국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도호쿠대학 공과대학를 졸업했다. 그 후, 도호쿠대학 대학원 공학석사 학위를, 도쿄대학 대학원 기술경영박사 학위를 받았다. LG전자와 JETRO(일본무역진흥기구)를 거쳐 현재 히토츠바시대학 상학부와 이노베이션연구센터에서 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 외에,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원(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경제산업청 산하 경제산업연구소(Research Institute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도쿄대학, 와세다대학, 그리고 아인트호벤 공과 대학(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에서도 객원연구원으로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