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공동체 : 상생을 생각하며

$23.33
SKU
979113030656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1/12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91130306568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이 책은 주택관리 및 공동체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작업한 것이다.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저술 작업이 거의 일 년여 동안 진행되었다.

현대사회에서 주택은 단순한 은신처의 개념을 넘어 사회적 신분재화의 상징이며 때로 사회적 갈등의 한 부분이 되었다. 아울러 아파트는 한국인의 중요한 이재의 수단이자 한 가정의 가장 중요한 재산목록이다. 한국인의 약 70%가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다. 이 보편적 주거형태인 아파트 단지는 날이 갈수록 갈등과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아파트 공동체는 다양한 문제점과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국민 다수의 삶의 터전인 아파트 단지가 살맛 나는 상생의 공간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이론적·실무적·정책적인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아파트 공동체는 지연공동체가 아닌 일정 지역(혹은 단지)을 중심으로 연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과거 농촌의 촌락 공동체는 통합성과 정체성을 지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기도 했다. 그러나 8·15해방 후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농촌인구의 도시유입 등 전통적 농촌의 붕괴는 공동체의 붕괴를 가속화시켰다.

아파트 단지에 공동체적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곳도 적지 않다. 주민들이 십시일반 모아 급전을 빌려주는 마을협동금고, 홀로된 노인을 찾아가 말벗이 되어주는 봉사단, 더불어 사는 삶이 무엇인지 가르치기 위해 뭉친 엄마들, 작은 도서관을 가꾸고 지키는 이들, 남녀노소 재능을 기르는 이들부터 쓰레기 가득했던 공터를 텃밭으로 바꾼 텃밭 두레 사람들까지 아파트 공동체를 활성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Contents
PART 01 아파트 공동체와 주택관리
CHAPTER 01 아파트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CHAPTER 02 아파트 주거관리의 새로운 트랜드

PART 02 갈등과 상생의 사례
CHAPTER 03 민원에 나타난 아파트 주택관리의 갈등과 상생
CHAPTER 04 입주민 생활분쟁과 해결사례
CHAPTER 05 주택관리 종사자의 업무 만족도
CHAPTER 06 공동주택 내 부당간섭의 실태와 개선방향
CHAPTER 07 입주민과 관리주체의 갈등: 부당해고를 중심으로

PART 03 아파트 공동체의 나아갈 길
CHAPTER 08 아파트 주거서비스, 공동체 활성화의 초석
CHAPTER 09 공동체 문화의 새로운 도약
CHAPTER 10 입주자대표회의 운영ㆍ윤리교육에 대한 소고
CHAPTER 11 주택관리 업무의 확장과 전환
Author
하성규,한국주택관리연구원
영국 런던대학교(UCL)에서 도시계획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주택학회 회장,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주택관리연구원 원장,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명예교수, 한국주거서비스 소사이어티(KHSS) 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주요저서로는 「주택정책론」(2010), 「한국인 주거론」(2018) 등이 있다.
영국 런던대학교(UCL)에서 도시계획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주택학회 회장,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주택관리연구원 원장,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명예교수, 한국주거서비스 소사이어티(KHSS) 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주요저서로는 「주택정책론」(2010), 「한국인 주거론」(201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