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운전면허시험은 학과시험, 장내기능, 도로주행 3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전면허시험의 자동화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장내기능의 경우 1980년 도입되어 노후화에 따른 대체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도로주행의 경우 총 57개 채점항목 중 35개가 아직 수동으로 채점되고 있어 공정성과 신뢰성에 있어 자동화 비율 제고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자율주행 센서와 첨단기능을 활용하여 장내기능 채점시스템의 대체방안과 도로주행 채점시스템의 자동화 방안 제고를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우선, 현재 운전면허시험의 채점시스템 현황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고, 운전면허시험 채점빈도 분석과 운전면허 시험관과 자율주행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장내기능에서는 공기압 센서 대체와 채점기준 개선이 필요하고, 도로주행은 자율주행 센서와 첨단기능을 활용하여 자동화 비율을 제고할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Contents
Ⅰ. 연구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4. 연구수행절차
Ⅲ. 채점빈도 분석 및 설문조사
1. 도로주행 채점빈도 분석
2. 운전면허 시험관 의견 조사
3. 자율주행 전문가 의견 조사
Ⅳ. 자율주행 센서와 첨단기능
1. 자율주행 시스템 개요
2. 자율주행 센서 종류
3. 자율주행 첨단 기능
Ⅴ. 운전면허시험 채점기준 검토
1. 채점기준 검토 항목 선정
2. 도로주행 끼어들기 금지 위반 (7점)
3. 도로주행 서행 위반 금지 (10점)
4. 신호 없는 교차로 양보 불이행 (7점)
5. 횡단보도 직전 일시정지 위반 (10점)
6. 신호지시 위반 (실격)
7. 긴급자동차 진로 미양보 (실격)
8. 어린이통학버스 보호 위반 (실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