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지향적인 주거 복지 실현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큰글씨책)

$32.40
SKU
979112889124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5/04
Pages/Weight/Size 210*297*0mm
ISBN 9791128891243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SH도시연구원과 한국주거환경학회의 공동 세미나를 통해 정리된 내용을 책으로 엮었다. 공공임대주택은 광의의 주거복지 구현 수단의 하나이면서 동시에 공공임대주택이 플랫폼으로서 지역사회의 주거복지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도 하다. 주거복지의 실현은 물리적 주택과 주거복지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잘 결합되어야 가능하다. 공공임대주택 관리현황 및 개선방안 등 6개의 주제를 살펴보고 미래지향적인 주거 복지 실현의 길을 찾는다.
Contents
머리말

발간사

제1장 주거복지서비스 현황 및 방안

1.1 주거 서비스 코디네이터로서의 주거복지 전문 인력 활용방안 1
1.2 공공주택의 노인주거복지 서비스 현황 36

제2장 공공임대주택의 스마트 관리 서비스

2.1 공공임대주택 관리현황 및 개선방안: 리모델링 사업을 중심으로 79
2.2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안전 관리 방안 116

제3장 공동체 활성화 방안

3.1 단지 내 공용시설을 활용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145
3.2 가구 구성원을 고려한 활성화 방안: 양육 친화적 공동체를 중심으로 176
Author
김석경,권오정,문정민,주서령,권현주,채혜원,홍이경,최성경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구 주거환경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졸업하였고, 한국토지주택공사 (구)주택연구소의 주택단지계획 연구부에서 재직하면서 “가사생활일체 및 재택근무형 주택개발 연구”, “수요대응형 인텔리전트 아파트 표준모델개발” 등 공공주택의 새로운 유형 개발 연구에 다수 참여하였다. 미국의 Texas A&M University에서 건축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제는 방어적 공간이론(Defensible Space Theory)을 근거로 한 게이티드 커뮤니티(Gated community)에서의 환경행태 및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다. 2006년 박사학위 취득 후, Florida State University의 Housing Program의 조교수를 시작으로 2008년 1월부터 2019년 8월말까지는 Michigan State University의 Interior Design Program에서 조교수, 부교수, 디렉터를 역임하였다. 미시건 주립대에서 재직하는 동안 사회적 약자층을 위한 주택계획, 주립공원 내 건축물 리모델링, 범죄로부터 안전한 공립학교 디자인 및 운영 등의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특히, 미국의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HUD)에서 지원한 “Mid-Michigan Program for Greater Sustainability”의 “Regional Affordable Housing Study” 연구책임을 하면서 미국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을 위한 주택 및 지역계획에 관한 과제를 다수 수행하였다. 현재는 한국주거학회 논문편집위원장이며, 웰빙을 고려한 주거공간, 업무공간, 학습공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구 주거환경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졸업하였고, 한국토지주택공사 (구)주택연구소의 주택단지계획 연구부에서 재직하면서 “가사생활일체 및 재택근무형 주택개발 연구”, “수요대응형 인텔리전트 아파트 표준모델개발” 등 공공주택의 새로운 유형 개발 연구에 다수 참여하였다. 미국의 Texas A&M University에서 건축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제는 방어적 공간이론(Defensible Space Theory)을 근거로 한 게이티드 커뮤니티(Gated community)에서의 환경행태 및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다. 2006년 박사학위 취득 후, Florida State University의 Housing Program의 조교수를 시작으로 2008년 1월부터 2019년 8월말까지는 Michigan State University의 Interior Design Program에서 조교수, 부교수, 디렉터를 역임하였다. 미시건 주립대에서 재직하는 동안 사회적 약자층을 위한 주택계획, 주립공원 내 건축물 리모델링, 범죄로부터 안전한 공립학교 디자인 및 운영 등의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특히, 미국의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HUD)에서 지원한 “Mid-Michigan Program for Greater Sustainability”의 “Regional Affordable Housing Study” 연구책임을 하면서 미국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을 위한 주택 및 지역계획에 관한 과제를 다수 수행하였다. 현재는 한국주거학회 논문편집위원장이며, 웰빙을 고려한 주거공간, 업무공간, 학습공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