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임대주택 주거환경 진단 및 인식개선 (큰글씨책)

$32.40
SKU
979112889121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5/04
Pages/Weight/Size 210*297*0mm
ISBN 9791128891212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SH도시연구원과 한국주거환경학회의 공동 세미나를 통해 정리된 내용을 책으로 엮었다.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주거환경 변화는 중대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공공임대주택 입주 의향,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및 개선방안,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가구의 주거이동 특성,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의 소셜믹스 인식과 영향 요인, 생활SOC를 통한 공공임대주택의 사회적 배제 문제 해결 가능성 등을 살펴보고 공공임대주택 공급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Contents
머리말
발간사

01 공공임대주택 입주 의향

서론
선행연구 고찰
실증분석 모형 및 가설
실증분석
결론
참고문헌

02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및 개선 방안

서론
주거만족도 분석방법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3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가구의 주거이동 특성

서론
문헌연구
분석 개요
분석 결과
결론
참고문헌

04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의 소셜믹스 인식과 영향 요인

서론
소셜믹스 정책과 추진 현황: 서울시 사례
소셜믹스 관련 선행연구 분석
연구의 분석틀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의 소셜믹스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05 생활SOC를 통한 공공임대주택 사회적 배제 문제 해결 가능성

서론
생활SOC의 개요 및 정책방향
공공임대주택의 사회적 배제와 생활SOC
공공임대주택을 활용한 생활SOC의 공급사례
개선방안 및 효과적인 적용방안
결론
참고문헌
Author
장희순,이호진,강은택,김선주,김주영,남영우
강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동산학과 교수다.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부동산학석사를 마쳤다. 일본 국립고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국토교통부 감정평가사·공인중개사·주택관리사 시험위원 및 출제위원과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국토교통부 도시개발위원회와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이다. 저서로는 『부동산학총론』(2015)이 있고, 번역서로 『거주복지, 저출산고령화시대의 주택시장』(2015)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주택담보대출규제의 정책적 시사점”(2016), “부동산용어의 의미연결망 분석”(2014), “부동산학에서 토지의 개념적 이해”(2010), “이사풍속과 주거문화”(2009), “부동산개발신탁수익권의 유동화가능성”(2009) 등 다수가 있다.
강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동산학과 교수다.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부동산학석사를 마쳤다. 일본 국립고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국토교통부 감정평가사·공인중개사·주택관리사 시험위원 및 출제위원과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국토교통부 도시개발위원회와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이다. 저서로는 『부동산학총론』(2015)이 있고, 번역서로 『거주복지, 저출산고령화시대의 주택시장』(2015)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주택담보대출규제의 정책적 시사점”(2016), “부동산용어의 의미연결망 분석”(2014), “부동산학에서 토지의 개념적 이해”(2010), “이사풍속과 주거문화”(2009), “부동산개발신탁수익권의 유동화가능성”(2009)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