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스트는 어떻게 배우고 가르치는가? 페미니즘과 교육이 만나는 지점에서 젠더, 인종, 계급, 권력 등을 둘러싸고 어떤 문제와 딜레마들이 생겨나는가? 페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교실 현장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새로운 형태의 지식을 만들어 내는 이들의 모습은 어떠한가? 페미니스트 교실, 즉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실천 현장을 조명해 이 질문에 답한다.
Contents
서문
역자 서문
1장 다시 한 번 환상을 깨기
연구의 시작과 전개
연구 방법의 진화
백인성이라는 기준은 교실에서 어떻게 지식을 형성해 가는가?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천진난만한 성공담인가,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인식하라는 촉구의 소리인가?
결코 사라지지 않는 이분법
네 가지 주요 테마
2장 만화경 만들기: 여섯 학교의 초상화
애리조나대학교: 학문과 교육과정에서 여성의 자리를 확보한 학교
토슨주립대학교: 교육과정 변형하기, 주변부에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만들기
루이스앤드클라크대학교: 남녀공학과 인종 다양성 다시 생각하기
휘턴대학교: 여성과 남성에게 ‘성평등한’ 환경 만들기
스펠먼대학교: 흑인 여성의 입장에 서서 반대 항의 지식 생산하기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교: 유색인종 여성의 관점에서 여성학 보기
3장 숙련
페미니스트 시각에서 학문 재구성하기
간학문적이며 페미니스트적인 해석
학술 지식의 경계 확장하기
해석으로서 숙련: 결론
4장 목소리
목소리와 개인적 발달: 여학생 사례
남성의 성 정체성: 남학생 사례
침묵 깨기
인종과 젠더,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긴장
섹슈얼리티와 교실
의사소통, 폭로, 침묵
성적 의사소통에 대한 공개 담론
5장 권위
학생들을 학문적 권위자 위치에 놓기
가부장적 권위에 도전하기
내러티브 권위와 텍스트
교수의 권위에 공공연하게 도전하기
서로에게 권위자가 되어 주기
6장 위치성
타자 이미지: 차이 다루기
미국 사회의 풍경: 계급의 역할
다중적인 위치에 서서 지식 구성하기
7장 위치성 페다고지를 향하여
위치성 페다고지의 몇 가지 광경
학문 영역의 인식론, 학술 기관의 인식론
사회 구조, 그리고 학교의 인종 분리
8장 어둠 속에서 배우기
사회 계급으로서 백인, 그리고 남성
개인화된 기준으로 백인성 구성하기
백인성, 섹슈얼리티, 여성성
백인성과 지적 지배에 대한 저항
지적 지배에 저항하기: 백인 저자와 흑인 독자
결론
9장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를 내다보며
해석할 권위를 확대하기
다중적 정체성 대면하기
대학 차원의 현상 유지와 변화
고등교육의 현재와 새로운 세대의 페미니스트
미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Author
프랜시스 마허,메리 테트로,전제아
미국 휘턴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 현장을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바라보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연구와 실천에 집중해 왔다. 『학술 세계에서 권력과 다양성(Privilege and diversity in the aca?demy)』, 『젠더, 그리고 가르치는 일(Gender and teaching)』의 공저자이자, [여성학회지(Women’s Studies Quarterly)]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특집호 편집위원이며, 대학 내에서 여성학을 다양한 여러 개론 과목과 통합하는 성평등 교육과정 프로젝트의 기획자이기도 하다.
미국 휘턴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 현장을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바라보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연구와 실천에 집중해 왔다. 『학술 세계에서 권력과 다양성(Privilege and diversity in the aca?demy)』, 『젠더, 그리고 가르치는 일(Gender and teaching)』의 공저자이자, [여성학회지(Women’s Studies Quarterly)]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특집호 편집위원이며, 대학 내에서 여성학을 다양한 여러 개론 과목과 통합하는 성평등 교육과정 프로젝트의 기획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