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철학의 완전한 행복

$14.49
SKU
979112886377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6/10
Pages/Weight/Size 128*188*0mm
ISBN 9791128863776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인도철학은 이성적 정신의 소유자가 존재와 우주 본성을 직관적으로 깨닫는 진리를 추구하며, 심장을 관통하는 무한의 미늘을 원하는 자의 철학이다. 인도철학에서 처음으로 행복을 탐구한 ??우파니샤드??는 정보화된 지식 체계로 이를 풀어놓지 않고 수수께끼처럼 은유한다. 그리고 수카와 아난다라는 두 가지 행복으로 신성하고 영적인 인간 가치를 비밀스럽게 직조한다. 수카에서 시작된 행복은 아난다를 지향하면서 완전해진다. 내 안에 존재하는 행복에 대한 확고한 자존적 직관, 성스러운 힘을 제외한 불완전함을 제거하려는 선한 의지, 이타적 행위를 지향하는 인도철학의 행복은 ‘완전한 행복’의 진정한 가치를 제공해 줄 것이다.

Contents
인도철학과 행복
01 행복의 기원과 분류
02 상대적 행복, 수카
03 절대적 행복, 아난다
04 선한 행복
05 행복의 윤리학
06 행복이 숨겨진 장소
07 행복의 신화
08 행복과 지식
09 인간의 행복
10 완전한 행복
Author
김진영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다. 주요 전공은 인도철학, 베다 철학이다.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논문은 “베다제식의 신화적 구조연구”(2008), 석사논문은 “문다카 우파니샤드에 나타난 브라흐만에 대한 연구”(1998)다.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상임연구원,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생과 사의 인문학』(공저, 2015), 『죽음의례와 문화적 기억』(공저, 2015), 『한권으로 보는 세계불교사』(공저, 2012), 『아시아불교, 전통의 계승과 전환』(공저, 2011), 『아시아불교, 서구의 수용과 대응』(공저, 2011) 등이 있다. 주요한 논문으로는 “간디의 교육철학과 진정한 행복”(2017), “우빠니샤드에서의 행복과 불행의 신화적 구조”(2016), “인도철학에서의 고통과 불행 개념”(2016), “인도철학의 행복 개념 분석”(2015), “현대사회와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의 행복이론”(2015), “힌두 죽음의례의 유형과 철학적 사유체계”(2014), “힌두 죽음의례의 신성화 구조와 그 기능”(2014), “베다 초기에 나타난 죽음 개념의 기원과 전개양상”(2013) 등이 있다.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다. 주요 전공은 인도철학, 베다 철학이다.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논문은 “베다제식의 신화적 구조연구”(2008), 석사논문은 “문다카 우파니샤드에 나타난 브라흐만에 대한 연구”(1998)다.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상임연구원,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생과 사의 인문학』(공저, 2015), 『죽음의례와 문화적 기억』(공저, 2015), 『한권으로 보는 세계불교사』(공저, 2012), 『아시아불교, 전통의 계승과 전환』(공저, 2011), 『아시아불교, 서구의 수용과 대응』(공저, 2011) 등이 있다. 주요한 논문으로는 “간디의 교육철학과 진정한 행복”(2017), “우빠니샤드에서의 행복과 불행의 신화적 구조”(2016), “인도철학에서의 고통과 불행 개념”(2016), “인도철학의 행복 개념 분석”(2015), “현대사회와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의 행복이론”(2015), “힌두 죽음의례의 유형과 철학적 사유체계”(2014), “힌두 죽음의례의 신성화 구조와 그 기능”(2014), “베다 초기에 나타난 죽음 개념의 기원과 전개양상”(201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