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경세시기(燕京歲時記)

$26.22
SKU
979112882485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10/27
Pages/Weight/Size 128*188*30mm
ISBN 9791128824852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청나라 시기 북경 지역의 세시 풍속을 월별로 정리한 책이다. 주요 내용은 풍속·유람·물산·기예, 묘시 등으로 음력 정월부터 12월까지 총 145조를 다루었다. 설과 단오는 물론, 봉숭아물 들이기, 제기 차기, 썰매 타기 등 우리에게도 친숙한 풍속도 보인다. 한중 양국의 세시 풍속 비교 연구 발전에 초석이 될 작품이다.
Contents
연경세시기서(燕京歲時記序)

정월(正月)
원단(元旦)
팔보하포(八寶荷包)
제재신(祭財神)
파오(破五)
인일(人日)
순성(順星)
타춘(打春)
등절(燈節)
연구(筵九)
개인(開印)
타귀(打鬼)
전창(塡倉)
대종사(大鐘寺)
백운관(白雲觀)
조노공관아(曹老公觀兒)
창전아(廠甸兒)
동서묘(東西廟)
토지묘(土地廟)
화아시(花兒市)
소약왕묘(小藥王廟)·북약왕묘(北藥王廟)
사모자(?耗子)·사후아(??兒)·사구리자(?苟利子)·포한선(?旱船)

2월(二月)
태양고(太陽?)
용대두(龍擡頭)
춘분(春分)
청명(淸明)
매소유계(賣小油?)·소압자(小鴨子)

3월(三月)
삼월삼(三月三)
반도궁(蟠桃宮)
동악묘(東嶽廟)
담자사(潭?寺)
계대(戒台)
천태산(天台山)
환계(換季)
황화어(黃花魚)·대두어(大頭魚)

4월(四月)
사연두(捨緣豆)
만수사(萬壽寺)
서정(西頂)
묘봉산(妙峯山)
아계산(?山)
북정(北頂) 동정부(東頂附)
유전고(楡錢?)
황리(黃?)
노순(蘆筍)·앵도(櫻桃)
양초면(凉炒?)
매괴화(??花)·작약화(芍藥花)

5월(五月)
단양(端陽)
웅황주(雄黃酒)
천사부(天師符)
창포(菖蒲)·애자(艾子)
채사계호(綵絲繫虎)
전채위호로(剪綵爲葫蘆)
사갈(賜葛)
성황출순(城隍出巡)
과회(過會)
도성황묘(都城隍廟)
남정(南頂)
십리하(十里河)
요대(瑤台)
마도우(磨刀雨)
분룡병(分龍兵)
악월(惡月)
석류(石榴)·협죽도(夾竹桃)
5월 선아(五月先兒)
첨과(甛果)
염지갑(染指甲)

6월(六月)
유월육(六月六)
세상(洗象)
제마왕(祭馬王)
제관제(祭關帝)
사빙(賜?)
환갈사(換葛紗)
중정(中頂)
십찰해(十刹海)
소청낭(掃晴娘)
빙호아(?胡兒)
산매탕(酸梅湯)
서과(西瓜)

7월(七月)
주침(?針)
작전교(鵲塡橋)
중원(中元)
하엽등·호자등·연화등(荷葉燈·蒿子燈·蓮花燈)
법선(法船)
우란회(盂蘭會)
방하등(放河燈)
강남 성황묘(江南城隍廟)
금종아(金鐘兒)
능각·계두(菱角·?頭)
조아·포도(棗兒·葡萄)

8월(八月)
중추(中秋)
월광마아(月光馬兒)
구절우(九節藕)
연판서과(蓮瓣西瓜)
월병(月餠)
토아야 탄자(兎兒爺?子)
조군묘(?君廟)

9월(九月)
구월구(九月九)
조어대(釣魚臺)
화고(花?)
구화산자(九花山子)
조해·양향주·압아광·시자·산리홍(糟蟹·良鄕酒·鴨兒廣·?子·山裏紅)
재신묘(財神廟)

10월(十月)
시월일(十月一)
첨화(添火)
앙산와(仰山?)
매헌서(賣憲書)
픙쟁·건아·유리 나팔·포포등·태평고·공종(風箏·?兒·琉璃喇叭·???·太平鼓·空鐘)
주마등(走馬燈)
척구(?球)
곡곡아·괄괄아·유호로(??兒·??兒·油壺盧)
율자·백서·중과·남당·살제마·부용고·빙당호로·온박(栗子·白薯·中果·南糖·薩齊瑪·芙蓉?·?糖壺盧·溫朴)
수오타·내오타(水烏他·?烏他)
적포아·투고낭·해당목과·구박(赤包兒·?姑娘·海棠木瓜·?朴)
오동·교취·축정홍·노서아·연교아(梧桐·交嘴·祝頂紅·老西兒·燕巧兒)
동순·은어(冬筍·銀魚)

11월(十一月)
번괘자(??子)
월당두(月當頭)
동지(冬至)
구구소한도(九九消寒圖)
타상(拖牀)
유빙혜(溜?鞋)
타빙(打?)
사초(賜貂)

12월(十二月)
납팔죽(臘八粥)
대백채(大白菜)
옹화궁 오죽(雍和宮熬粥)
포록상(?鹿賞)
봉인(封印)
봉대(封臺)
방년학(放年學)
제조(祭?)
춘련(春聯)
문신(門神)
화아붕자(畵兒棚子)
제석(除夕)
선세(?歲)
연반(年飯)
당화(唐花)
장향(藏香)
요전수(搖錢樹)
압세전(壓歲錢)
홍표아(紅票兒)
괘천(掛千)
천지탁(天地?)
사세(辭歲)
영희신(迎喜神)

발(跋)


부록
참고문헌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Author
부찰돈숭,상기숙
부찰돈숭(富察敦崇, 1855∼1922)은 만주 귀족의 후예로 자는 예신(禮臣), 호는 철사도인(鐵獅道人)이다. 그는 대대로 돈혜백(敦惠伯)의 지위를 세습해 온 승간당공(承簡堂公)의 둘째 아들이며 만주 세가(世家)인 태부대학사(太傅大學士) 마문목공(馬文穆公)의 먼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지혜가 뛰어났으나 족인(族人)으로 회피(廻避)당해 우도(牛刀)를 시험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후 관례에 따라 관직을 받아 동삼성(東三省)의 도원(都員)을 지냈다. 퇴청 후에는 서사(書史)를 읽으며 마음을 달래어 국조[國朝, 청조(淸朝)]의 옛 역사 제도의 전고(典故)에 관해 그 본원(本源)을 깊게 탐구했다. 일찍이 육군부낭중(陸軍部郞中)·광서사은부지부(廣西思恩府知府) 등을 거쳐 선통(宣統) 2년 조정의 명을 받들어 북경·찰합이(察哈爾)·하북(河北)·호북(湖北)·강소(江蘇)·절강(浙江) 등지의 군대·학교·공장 등을 조사하는 사무를 보았다. 이듬해 7월 병가를 얻어 북경으로 돌아와 혁명을 피해 두문불출했다. 그는 평생 문사를 좋아해 풍부한 저술을 남겼는데 『융유황태후대사기(隆裕皇太后大事記)』·『남행시초(南行詩草)』·『자등관시초(紫藤館詩草)』·『예창쇄기(藝??記)』·『화호집문초(畵虎集文抄)』·『(경자)도문기변삼십수절구[(庚子)都門紀變三十首?句]』·『황실견문록(皇室見聞錄)』·『부찰유문록(富察遺聞錄)』 등이 전한다.
부찰돈숭(富察敦崇, 1855∼1922)은 만주 귀족의 후예로 자는 예신(禮臣), 호는 철사도인(鐵獅道人)이다. 그는 대대로 돈혜백(敦惠伯)의 지위를 세습해 온 승간당공(承簡堂公)의 둘째 아들이며 만주 세가(世家)인 태부대학사(太傅大學士) 마문목공(馬文穆公)의 먼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지혜가 뛰어났으나 족인(族人)으로 회피(廻避)당해 우도(牛刀)를 시험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후 관례에 따라 관직을 받아 동삼성(東三省)의 도원(都員)을 지냈다. 퇴청 후에는 서사(書史)를 읽으며 마음을 달래어 국조[國朝, 청조(淸朝)]의 옛 역사 제도의 전고(典故)에 관해 그 본원(本源)을 깊게 탐구했다. 일찍이 육군부낭중(陸軍部郞中)·광서사은부지부(廣西思恩府知府) 등을 거쳐 선통(宣統) 2년 조정의 명을 받들어 북경·찰합이(察哈爾)·하북(河北)·호북(湖北)·강소(江蘇)·절강(浙江) 등지의 군대·학교·공장 등을 조사하는 사무를 보았다. 이듬해 7월 병가를 얻어 북경으로 돌아와 혁명을 피해 두문불출했다. 그는 평생 문사를 좋아해 풍부한 저술을 남겼는데 『융유황태후대사기(隆裕皇太后大事記)』·『남행시초(南行詩草)』·『자등관시초(紫藤館詩草)』·『예창쇄기(藝??記)』·『화호집문초(畵虎集文抄)』·『(경자)도문기변삼십수절구[(庚子)都門紀變三十首?句]』·『황실견문록(皇室見聞錄)』·『부찰유문록(富察遺聞錄)』 등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