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조란 천명을 받아 천하를 통치하는 천자의 조정을 말한다. 이 책은 ‘천하’와 ‘천조’라는 키워드를 통해 전통적 중화 제국의 행동 원리를 추적하고 탐구해본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중국의 역사를 천하와 천조의 역사로 다시 파악해보는 것이다. 중화 제국의 행동은 천조의 논리에 따르기만 한다면 모두 정당화되었으며, 역대 왕조들은 그 논리를 현실 정치에 적용하고자 힘썼다. 천조 체제는 시대에 따라 내실을 크게 변화시키면서도 천년의 역사를 넘어 현대에까지 숨쉬고 있다. 중국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며, 중국의 오늘날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
제1장 넓은 하늘 아래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다 ?-춘추 · 전국시대
천조와 중국
천하란? / 중국인에게 있어서의 천하
하에서 제화로 / 화하족의 동류의식
중국의 확대 / 중화의 탄생
융은 금수이다 / 중심과 주변
오복도가 말한다 / 포개진 모양의 천하
제2장 천조 체제의 구조 -진·한
교사와 종묘사 / 교묘 제도의 시작
유교의 국교화 / 황제 지배의 정당화
황제 육새 / 황제와 천자 사이의 본질적 모순
대동의 세 / 소강의 세 / 천하일가의 바뀐 해석
다양한 천하일가 관념 / 넓은 의미의 천하일가 관념
제3장 북쪽의 천하, 남쪽의 천하 -한·위진남북조(1)
화이를 구별하는 세 가지 유형
중국으로 나아가면 그것을 중국으로 여겼다
호와 한이 잡거하는 중국
우리 족류가 아니라면, 그 마음도 반드시 다르다
황제의 후예들 / 부견의 화이 관념
육합일가 / 부견이 꿈꾸었던 천하
북위의 화북 통일 / 국사의 옥
효문제의 화화 정책 / 화화와 한화의 사이
중화와 남하 / 남벌의 행방
치천하대왕 / 왜왕 무의 천하
한반도 여러 국가들의 천하
하늘의 동생, 해의 형 / 해가 뜨는 곳의 천자
번왕과 천자의 이중 잣대 / 동이의 소제국
천조를 칭했던 것 / 두 가지 소천하
제6장 동아시아의 천하 시스템 -당
천가한 / 기미주의 확대 / 천가한의 화이관
세 가지 층위의 천하 / 천조의 전성기 / 원회의례
군신 질서와 종법 질서 / 천하일가의 가시화
동아시아의 소천하 / 천하와 천하의 경합
천하 시스템의 완성 / 천조 체제와 천조의 논리
교역의 의례화
제7장 천조의 행방 -오대십국, 송, 요, 금
거란과 사타 / 군신의 예에서 가인의 예로
요의 중원 지배 / 후주의 세종과 송의 태조
전연의 맹 / 맹약의 시대
두 개의 천하, 두 개의 천조 / 송과 요의 화이관
요의 중국화 / 금과 남송 / 해릉왕의 야망
천도와 남벌 / 소요순의 세상 / 남북의 화이관
제8장 천하일가의 완성 -원
쿠빌라이의 한지 지배 / 원조사와 몽골사
중화 왕조라는 겉모습 / 원은 언제 성립했는가?
중화개통 / 하늘의 법칙 / 천조의 수도
크구나, 건원이여 / 대원의 천하
남북의 통일 / 무한대의 천하
홍건의 난 / 대원의 황혼 / 천하의 종언
제9장 천하일가에서 화이일가로 -명
원·명 혁명의 정당화 / 중화의 부흥
대명의 천하일가 / 공포정치 / 장성과 해금
화이의 군주이다 / 홍무에서 영락으로
화이일가를 목표로 / 쿠빌라이를 뛰어넘어
영락제의 전성기 / 화이일가의 실체화
화이일가의 붕괴 / 중국 침입 / 대천하의 위기
제10장 화이변태와 중외일가 -청
청의 흥기와 화이변태 / 중하의 주인
만한일가 / 만한일가에서 중외일가로
증정 사건 / 십전노인의 천하
황청의 중하 / 중화와 외이
조선의 소중화사상 / 일본형 화이 질서
남쪽의 중화 / 천조의 동요
제11장 중화민족의 대가정 -근현대
무술변법 / 화이의 구별과 대일통
신해혁명 / 중국과 중화민족
쑨원의 중화민족론 / 중외일가의 동요
중국공산당의 민족 정책 / 중화민족의 다원일체구조
천하관이 남긴 영향 / 새로운 천하의 창설
에필로그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Author
단조 히로시,권용철
1950년생으로 교토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주로 명 제국 시대의 정치, 제도 등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해온 학자이다. 저서로는 『명 태조 주원장』, 『명조 전제지배의 사적구조』, 『영락제·화이질서의 완성』, 『명대 해금=조공 시스템과 화이질서』, 『육해의 교착·명조의 흥망』 등이 있다.
1950년생으로 교토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주로 명 제국 시대의 정치, 제도 등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해온 학자이다. 저서로는 『명 태조 주원장』, 『명조 전제지배의 사적구조』, 『영락제·화이질서의 완성』, 『명대 해금=조공 시스템과 화이질서』, 『육해의 교착·명조의 흥망』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