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흐름인지 2018평창 동계올림픽에 북측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북한 선수 참가를 선언하고 평화와 통일의 싹이 움트기 시작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 등 남북 연합팀이 구성되어 참가하기도 하였다. Korea(코리아)란 이름으로 단일팀 깃발은 한반도기, 국가는 아리랑을 사용하기로 했다. 남북한 선수가 같은 기를 사용하고 같은 복장에 동시에 입장하는 모습은 평화를 넘어 통일로 가는 걸음일 것이다. 이미 우리는 1991년 4월 세계 탁구 선수권대회, 같은 해 5월 FIFA 세계청소년 축구 선수권대회, 2018아시안게임 여자 농구 등 8차례나 연합팀을 구성해 본 경험이 있다. 아직은 아쉬운 부분이 많지만 같이 응원하면서 한반도기를 같이 흔들며 고향의 봄, 아리랑을 같이 부르는 우리 동포를 보면서 평화를 넘어 통일을 생각해 본다.
이처럼 통일이 금방 올 것 같이 2018년 봄에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평양과 백두산 천지를 방문하고 가을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답방으로 서울을 온다는 약조를 하면서 평화와 통일이 아마도 쉽게 될 것 같았다. 나도 통일 시대에 그 무엇을 하고자 2019 전남통일희망열차학교에 지원하게 되었으며 8반 담임으로써 국내 캠프 및 국외 긴 대장정을 학생들과 같이하게 되는 행운을 얻게 되었다. 우리 학생들과 같이 고민하고 같이 생각을 나눈 이야기를 여기에 적고자 한다. 우리는 평화 와 통일에 앞서 조선의 국권 상실, 독립운동, 독립운동을 하던 중 핍박받은 이야기,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했던 아픈 역사를 가슴에 새기게 되었다. 이야기를 나누는 중 운동을 좋아 한 학생들이 박지성, 손흥민, 막내 리더쉽을 가진 이강인 등 좋아하는 축구 선수는 참 많았다. 그 중에 나의 맘을 사로잡은 선수가 있었다. 그 이름은 정대세…….
미스터피○, 숙취해소 상쾌○×혜리&대세 광고를 보면서 더욱더 알 고 싶어 졌다. 정대세의 가족사를 보면서 우리 민족의 아픔역사, 현재의 격고 있는 고통들, 미래에는 우리민족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야기를 같이 나우고 싶었다. 우리 한민족의 아픈 역사 중 독립운동과 평화통일을 이루어 가는 도중 무국적자들의 과거, 현재, 미래의 모습을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Contents
1부 THE PAST, 역사 속 무국적자
1장 나의 어머니, 무국적자 13
│참고자료1, 정대세 축구 선수의 애달픈 가족사│
│참고자료2, 일본 지역의 무국적 사례, 김홍재│
│참고자료3, 러시아 지역의 무국적 사례와 해결 촉구│
│참고자료4, 독립운동가의 무국적 사례 사례와 해결│
2장 함께 해요, 까레이스키 고려인 21
│참고자료1, 연해주 고려인의 이주 역사│
1. 까레이스키 고려인의 연해주로 재이주
2. 고려인의 고국에서 새로운 삶
3. 고려인 1020세대의 생각들
3장 누가 애국자인가? 34
1. 아들보다 애국하는 아버지?
2. 일본보다도 친일파가 더 문제,
◀ 같이 생각해 봅시다.
3. 독도는 우리 땅, 한번 웃어 봅시다.
2부: THE PRESENT, 나의 친구는 무국적자:
1장 무국적자 41
1. 한국에서의 불법 체류자
2. 미국에서 불법 체류 한 한국인
2장 한국사회의 이주노동자의 실태 및 인권 44
◀ 같이 생각해 봅시다.
3장 북·중 접경 지역의 무국적자 54
│참고자료1, 탈북지원단체 인터뷰│
│참고자료2, 미국 탈북자지원단체, 에녹(ENoK)│
3부: THE FUTURE, 안고 같이 가야 할 무국적자
1장 인천공항의 무국적자 59
1. 공항에서 사는 루렌도 가족
2장 국적 미취득 결혼이민자 직업 훈련 가능 62
1. 나는 투명인간, 옆에 있어도 보이지 않는 아이들.
2. 미등록 이주 아동, 학교 교육은 꿈도 못 꿔
3장 애달픈 경계인, 김동철 박사 65
4장 재외동포에게 자립의 기회를 68
│참고자료1, 대한민국에서 복수국적을 취득하는 방법│
│참고자료2, 한국인 이면서 복수국적자 명단│
◀ 같이 생각해 봅시다.
정답이 없는 문제, 답?
5장 무국적자도 인간, 인권이 있어요 74
1. 우리나라는 난민 협약국이자 유엔아동권리 협약국
2. 난민(무국적자)를 보호해야 할 법적 근거
3. 출생신고도 못하는 난민 아동(무국적자)
4부: THE REUNIFICATION,
지금도 진행 되고 있는 통일, 진정한 통일 81
1장 동북 3성에서 통일 81
1. 두만강을 동북아 평화·번영의 거점으로(GTI계획)
2. 동북 3성, 중국 북방실크로드 개발의 핵심지역
3. 남북 경협 물꼬, 동북 3성 - 백산수 신공장
4. 동북 3성 지역의 경제적· 정책적 변화 분석
5. 길림성 연변대학의 안국산 교수의 말에 의하면
2장 연해주에서 통일 92
│참고자료1. 잊혀진 경제도시 크라스키노‘북방교류의 모델’│
│참고자료2. 무국적 고려인들의 명예회복의 길
│참고자료3. 2019 CIS·유럽 경제인 대회, 영화로웠던 실크로드 무역
│참고자료4. 연해주지역에서 러·한 경제 협력 및 부흥
│참고자료6. 북한, 러시아 극동 지역과 농업 협력에 가속도
│참고자료7. 국내 광주 제1회 고려인마을 방문의 날│
1. 연해주 고려인마을 - 고향마을, 우정마을
2. 연해주 바리의 꿈
3장 일본에서 통일 105
1. 재일동포의 통일운동
│참고자료1, 지충남. 2015.재일동포 사회의 통일운동, 민족연구 64호
민단, 조총련, 원코리아를 중심으로│
2. 사죄 먼저 ? or 용서 먼저 ? , 용서먼저 !!!
│참고자료2,
‘용서를 위한 여행’ 서울에서 도쿄까지 2,300km 여행│
3. 극일을 넘어 협일
│참고자료3. 천지만리, 지일(知日)없는 극일(克日)없다│
5부 THE FUTURE, HOPE 통일 한반도를 꿈꾸며 113
1. 통일이 되면 좋을까요?
2.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 4국의 이해 (미?중?일?러)
3. 통일 한반도, 투트랙(two-track)
- 북한 주민 마음 얻기, 통합과 통일주체의 포용력
4. 남북한 청년들의 스타트업 협력 구상
5. 2032년 올림픽 남북한 공동 개최 추진
6. 코트 위 하나된 남북 농구선수들, 관중석에선 ‘고향의 봄’
7. 통일원년, 2045년 '광복100年' 통일 One Korea,
◀ 같이 생각해 봅시다, DMZ 평화공원 제안 .
부록 140
1. 국외 유라시아 대장정 동안 보고 느끼고 통일 다짐의 글
2. 국외 유라시아 대장정 동안 학부모 응원 글
3. 2019 전남통일희망열차학교 동영상들
마무리 164
Author
최강희
광주교육대학교 초등도덕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전남 순천·광양 등 지역에서 20여년 초등학교 근무했다. 2018 봄 백두산 천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만남을 보고 남북 협력과 평화·통일의 꿈을 꾸며 2019전남통일희망열차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평화를 기원하며 조국통일을 기다리며 오늘도 그 무엇을 기다린다.
광주교육대학교 초등도덕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전남 순천·광양 등 지역에서 20여년 초등학교 근무했다. 2018 봄 백두산 천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만남을 보고 남북 협력과 평화·통일의 꿈을 꾸며 2019전남통일희망열차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평화를 기원하며 조국통일을 기다리며 오늘도 그 무엇을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