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도교와 관련된 몇 가지 측면을 철학과 문화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여 고찰한 것이다. 첫째, 도교의 철학적 측면이다. 도교철학이란 무엇인가? 이것에 대한 정의는 간단하지 않다. 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르다. 어떤 학자들은 ‘도교에도 철학이 있는가?’라고 질문한다. 그러나 선진시대 도학, 특히 노장철학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어떤 학자는 도교에서 노장철학을 이용한 것뿐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아무튼 도교는 종교이다. 그런 까닭에 선진시대 노장철학에서 형이상학적 핵심 개념이었던 ‘도’를 신격화하였다. 그래서 도에 의한 천지만물의 탄생을 신비화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뿐만 아니라 노자라는 인물을 신격화하기도 한다. 그 결과 한대에 노자는 ‘태상로군’(太上老君)이 되었다. 뒤에는 불교와의 교섭을 통해 도교의 천계를 구성하고 그에 맞게 수많은 새로운 신들을 만들었다. 도교의 천계와 여러 신들을 고찰해보면 그 세계와 신들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교의 천계는 33천설, 36천설, 9천설 등이 있다. 또 그곳을 다스리는 신들이 각각 있다. 최상의 신 역시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달라졌다. 이것은 민중의 필요에 적응한 결과로 보인다.
둘째, 도교의 문화적 측면이다. 우리는 흔히 유학을 중국문화의 핵심 또는 전부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유학은 관방철학으로서 역할을 했지만(그것도 한나라 무제 이후, 더 정확히는 송대 성리학 성립 이후이다) 일반 백성들의 삶, P. 틸리히가 말한 이른바 ‘궁극적 관심’의 문제라는 측면에서 볼 때 그 역할은 매우 미미하였다. 다시 말해 중국문화라는 틀에서 보면 일반 백성들의 삶에서 유학의 영향은 어떤 면에서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러한 한계를 보완했던 것이 도교이다. 인간은 윤리도덕만으로 삶을 영위할 수 없다. ‘종교적’인 것을 필요로 한다. 특히 문자도 모르는 일반 백성들에게 유학에서 말하는 문자화된 문헌을 통해 윤리도덕을 습득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그런 까닭에 ‘믿음’에 바탕을 한 종교적 신앙은 매우 중요하였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제1장 도교란 무엇인가? …… 10
제1절 종교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 …… 10
1. 원시종교 …… 14
2. 고등종교 …… 15
제2절 도교의 개념적 정의 …… 18
제3절 도교의 발생원인 …… 25
제4절 도교의 특징 …… 27
제2장 신선이란 무엇인가? …… 31
제1절 고대 중국 역사에서 신선이 출현하게 된 배경 …… 31
1. 역사적 측면 …… 35
2. 이론적 측면 …… 43
제2절 인간의 실존적 한계와 신선 …… 45
1. 인간의 실존적 한계 …… 45
2. 신선의 개념과 특징 …… 47
(1) 신선의 개념 …… 47
(2) 신선의 특징 …… 49
제3장 노장철학에 나타난 신선사상 …… 54
제1절 노장철학의 세계관 …… 55
1. 도 …… 55
2. 덕 …… 61
3. 기 …… 65
제2절 노장철학의 신선사상 …… 68
1. 수양에 대한 일반적 고찰 …… 68
2. 몸의 수양과 마음의 수양 …… 68
3. 노장철학과 신선 …… 69
제4장 신선이 되는 길(1): 외단(外丹) …… 75
제1절 전국시대 중기의 신선사상 …… 75
제2절 인간, 현실과 이상 사이를 방황하다 …… 79
1. 우리가 삶에서 꿈꾸는 것들은 무엇인가? …… 80
2. 삶은 왜 이렇게 괴로운 것일까? …… 83
제3절 제왕과 불로장생 …… 87
1. 진시황 …… 87
2. 한나라 무제 …… 91
제4절 고대 중국의 과학과 외단황백술 …… 95
1. 고대 중국의 과학 …… 95
(1) 철과 철기의 제작 …… 96
(2) 동·서양의 연금술 …… 104
(3) 그 밖의 자연과학 …… 106
2. 단약을 만들 수 있는 이론적 근거 …… 117
(1) 고대 중국인의 세계관 …… 117
(2) 고대 중국인의 인체관 …… 119
3. 단약 만들기 …… 126
(1) 단약에 대한 일반적 고찰 …… 126
(2) 단약의 제조 과정 ……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