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이 알려주는 바처럼 이 책은 한국어 음운론을 어문규범과의 관계 속에서 연구한 것이다. 음운론을 어문규범과 함께 보아야 할 이론적 필요성은 무엇보다 한글 낱글자는 음소에, 한글 맞춤법에 따른 표기형은 기저형에 해당하는 데 있다. 문법 교육은 ‘학교문법, 어문규범, 사전’ 이 셋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많은 국가 차원의 평가는 이 틀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음운론을 어문규범과 함께 살펴야 할 현실적 필요성은 더 뚜렷했다. 이런 생각은 외국인을 위한 음운교육을 다룬다.
Contents
제1장 음운론과 어문규범
1. 음운론의 연구 대상과 목표 9
2. 어문규범과의 관계 19
2.1. 한글 맞춤법과 음운론 19
2.2. 표준 발음법과 음운론 23
2.3. 외래어 표기법과 음운론 26
2.4. 국어의 로자자 표기법과 음운론 29
제2장 음성학과 음성
1. 음성학 31
1.1. 조음 음성학 32
1.2. 음향 음성학 35
1.3. 청취 음성학 36
2. 음성 38
2.1. 국제음성기호 40
2.2. 자음 44
2.3. 모음 58
제3장 음소와 음소체계
1. 음성과 음소 66
2. 음소 분석 69
2.1. 최소대립쌍과 음소 70
2.2. 배타적 분포와 결합 변이음 72
2.3. 자유 분포와 임의 변이음 75
3. 음소 목록 77
3.1. 자음소와 어문규범 79
3.2. 모음소와 어문규범 80
4. 이음규칙 88
5. 음소체계 90
5.1. 변별자질 90
5.2. 단모음 체계 94
5.3. 반모음과 이중모음 체계 96
5.4. 자음 체계 98
제4장 음절
1. 음절과 음절 구조 105
2. 음절 구조 제약 112
2.1. 초성 제약 112
2.2. 중성 제약 113
2.3. 종성 제약 115
3. 음소 결합 제약 120
3.1. 음절 내부 제약 120
3.2. 형태론적 정보와 관련된 제약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