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청년실업률은 IMF 위기로 실업률이 급등했던 1999년(11.3%)보다 높은 수치(2018.2 11.6%)를 기록한 후 10월 기준 8.4%(35만 9천 명)로 다소 하향 조정되었다. 청년실업의 원인으로서 이미 많은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인 ‘고용 없는 성장’의 구조화와 함께 한국의 전형적인 사회구조적인 노동시장 문제(노동시장 수급 불균형)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결합되며 청년실업의 문제가 전체 노동시장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고용구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청년고용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위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이 시도되지 못한다면 생활기반의 부족에 따른 소득격차 확대, 사회보장 시스템의 약화 등을 초래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사회불안의 증대와 저출산의 심각한 원인 그리고 타 지역으로 인구 유출 등으로 귀결될 수 있어 적극적인 노력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Contents
요 약 i
제1장 서 론 (김기선) 1
제2장 독일 청년고용의 실태와 일자리의 질에 대한 평가 (권준화) 4
제1절 독일 청년고용 실태 4
제2절 독일 청년 근로자의 노동 질에 대한 평가 6
제3장 독일의 청년고용정책:청년고용과 정부의 역할 (오상호) 11
제1절 독일의 교육정책과 직업교육정책 11
제2절 독일의 직업양성교육과 법적 근거 28
제3절 연방정부의 청년고용 지원대책 36
제4장 독일의 청년고용과 기업:독일 기업의 청년고용 촉진방안과 사례를 중심으로 (권준화) 48
제1절 독일 기업의 청년고용 촉진방안 현황 48
제2절 독일 기업의 청년고용 촉진방안에 대한 사례 분석 59
제5장 독일의 청년고용의 질 제고를 위한 제도적 장치:직업훈련생을 중심으로 (김기선) 71
제1절 직업훈련생의 근로조건 보장 71
제2절 직업훈련생의 이익대변 75
제6장 결 론 (김기선) 77
참고문헌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