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밀턴 에릭슨의 이론에 대한 자료들이 누적되었고, 일부 학자들은 이 누적된 자료를 통합하여 그의 상담이론모형을 구성한 후 책으로 발간해 왔다. 이 책도 그런 책들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아마 국내에서는 가장 오랜 기간 동안 밀턴 에릭슨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연구한 결과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 책은 지난 30여 년간 밀턴 에릭슨의 상담이론과 실제를 연구하고, 또 상담실무에 적용해 온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크게 8개의 장으로 이루어졌다. 즉, ‘진단, 탈이론적 접근, 상담자 몰입, 밀턴 에릭슨식 최면, 트랜스와 상담사례’ 등을 포함하는 접근의 개별화, ‘신뢰관계 형성, 공감적 이해, 희망의 고취, 참여적 관찰과 적극적 경청’ 등을 포함하는 인간적인 만남, ‘욕구 수용과 따라가기, 부정적 경험의 수용, 안전감 확보, 심리적 향상’ 등을 포함하는 현실 수용, ‘잠재능력 접근, 내담자의 무의식과 관계맺기, 은유, 내담자 은유의 활용’ 등을 포함하는 간접적이고 허용적인 접근, ‘저항 접근, 무의식 초대, 책임 수용과 선택, 선택권과 상담사례’ 등을 포함하는 저항을 수용하고 선택권 주기, ‘관계 문제, 관계 패턴의 문제 탐색, 상담자와 문화의 중개, 문화 인식의 중요성’ 등을 포함하는 관계와 문화의 문제 그리고 ‘호흡에 주의를 기울이기, 호흡 명상, 감각 인식’ 등을 포함하는 호흡에 집중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1장 밀턴 에릭슨의 상담
2장 접근의 개별화
1. 정확한 진단은 가능한가
2. 탈이론적인 접근(활용 전략)
3. 상담자의 몰입
4. Erickson 최면의 특성
5. 트랜스 상담 사례
3장 인간적인 만남
1. 신뢰관계 형성
2. 공감적인 이해
3. 희망의 고취
4. 참여적인 관찰과 적극적인 경청
4장 현실 수용
1. 내담자의 욕구를 수용하고 따라가기
2. 부정적인 경험 수용
3. 내면에 안전감 확보
4. 심리적 수준의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