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이 통합교육의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행위자가 될 수 있도록, 특히 다양성이 존중받고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발전시켜 나가도록 지원해 주고 있다. 이 책은 오늘날 통합교육 상황에 있는 모든 학생과 이들을 지도하는 교육자들에게 참석에 그치지 않고 참여와 성취를 이룰 수 있는 지침서이다.
Contents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통합교육 전략 적용을 통한 교육 절차 변형의 전제조건: 이론적 배경
1. 통합교육의 변형적 측면
2. 유럽 교육의 새로운 현상으로서 보편적 학습 설계
3. UDL 맥락에서 학생 고유성 개념의 형성
4. UDL 개념에서 교육 차별화의 개념화
5. 전통적인 교육 및 UDL 맥락에서 교육 목표의 변형
6. UDL 접근법 실행의 구조
7. UDL 접근법에서 성공적인 학습 개념
8. 일반화하기: 전통적 교육 맥락에서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제2장 보편적 학습 설계의 목표: 모두를 숙련된 학습자로 개발하기
1. 왜 숙련된 학습자인가
2. 숙련된 학습자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
3. 통합교육 맥락에서 숙련된 학습자의 특징
4. UDL 기반 숙련된 학습자의 프로필
5. 토론 및 결론
제3장 실행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검증: 과학적 연구의 방법론
1. 연구의 이론적 관점
2. 참여적, 협력적 실행연구의 방법론적 접근
3. 실행연구의 주기
4. 연구방법
5. 실행연구의 질과 타당성
제4장 UDL 접근법의 렌즈를 통한 폴란드 학교 수업의 전통적인 교수-학습 과정
1. 서론: 폴란드 현대 학교 교육의 현실과 과제
2. UDL 실현 렌즈를 통한 교수-학습 과정 분석에 대한 방법론적 가정
3. 통합된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과정: UDL 접근법 렌즈를 통한 교사와 학생 역할 및 활동 분석
4. 논의 및 결론: 할 만한 가치 있는 것
제5장 UDL 접근법 실행의 결과로서의 통합교육을 향한 교수-학습 과정의 혁신
1. 서론: 폴란드의 통합된 수업에서 UDL 접근을 통한 교수-학습 과정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
2. UDL 접근법을 실행할 때 교수-학습 과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 폴란드의 한 통합된 수업 사례
3. UDL 접근법 적용에 따른 통합교육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변화 및 성찰
4. 토론 및 결론: UDL 접근법 실행에 따른 통합교육을 향한 교수-학습 과정의 변화
제6장 팬데믹 기간에도 불구하고 통합교육의 성공 요인으로서 UDL 접근법의 사용
1. 소개 팬데믹 시대의 교육: 교수-학습 과정의 변화를 위한 위험과 기회
2. 팬데믹 기간 중 온라인 교육에서의 UDL 접근법 실현 경험에 관한 연구
3. 토론 및 결론: 통합교육을 향한 단계로서 온라인 교육에서 UDL 접근법 실현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의 새로운 경험
제7장 지식과 자원이 풍부한 학습자 개발
1. 서론
2. 연구의 방법론적 접근 방식
3. 공동 실행연구: 진화적이고 획기적인 변화의 과정
4. 학생들이 지식이 풍부하고 풍부한 숙련된 학습자가 되기 위한 교육 실제
5. 학습 장벽을 극복하고 지식과 자원이 풍부한 학생으로 거듭나기
6. 토론 및 결론: 통합교육 요소와 지식과 자원이 풍부한 학습자의 연결 고리
제8장 전략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학생: 기대와 현실
1. 소개
2. 실행연구의 방법론적 토대
3. 기대가 현실이 되는 방법
4. 토론 및 결론: 전략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학생 육성하기
제9장 UDL 실현: 목적의식이 있고 동기가 부여된 학생의 개발
1. 소개
2. 연구의 방법론적 토대
3. ‘관심 있는 학습자’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4. 학습자의 관심 유지
5. 노력과 끈기 개발하기
6. 학습자의 노력과 끈기를 위한 전제 조건 만들기
7. 자기 주도 학습 지원
8. 학생의 자기 규제 강화
9. 논의 및 결론
제10장 UDL로 다양성을 위한 교육하기: 교사 역량 분석
1. 소개
2. MAP 모델에서의 UDL 및 교사 역량
3. 공동 실행연구 근거
4. 핀란드 사례: 교사 역량 측면에서 본 UDL 원칙
5. 논의 및 결론
제11장 통합교육의 우수 실천: UDL 관점에서 이미 존재하는 정교한 교실 실천의 참여적 재해석
1. 도입: 확립된 교육학적 관점에서 본 UDL
2. 방법론 및 자료베이스
3. 연구 절차, 결과,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