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울림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 향상에 초점을 맞춘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는 ‘신체활동’과 ‘마음활동’으로 나뉘며, ‘신체활동’은 ‘관심’ ‘배려’ ‘협동’으로, 마음활동은 ‘감정’ ‘소통’ ‘격려’로 총 여섯 가지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진정한 친구란 누구인가를 자연스럽게 체득하게 되고, 친구와의 대화는 어떻게 하는 것이 유용한 것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답변과 자신의 감정이 중요하듯 타인의 감정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는 과정을 알아 간다. 한편, ‘뻔뻔학애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학습동기강화와 진로탐색에 초점을 맞춘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는 ‘동기부여’ ‘자기이해’ ‘의사결정’의 세 파트와 열 가지의 주제로 나뉘어져 있다. 공부를 왜 하는가에 대한 답과 자신의 진로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탐색과정을 제공하여 청소년들에게 학습과 진로에 대한 생각을 한 단계 높여 준다.
Contents
머리말
활동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이해
어울림 프로그램
관심
배려
협동
감정
소통
격려
어울림 다이어리
프로그램 부록 활동지
뻔뻔학애 프로그램
동기부여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뻔뻔학애 워크북
프로그램 부록
참고문헌
목차
머리말
Author
채선기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석사
한남대학교 상담학과 상담전공 석사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철학전공 박사 수료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학과 아동청소년상담전공 박사
현 한국다움상담연구소 소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과 특임교수
춘천교육대학교 객원교수
한국여성심리학회 이사 및 자격관리위원장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석사
한남대학교 상담학과 상담전공 석사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철학전공 박사 수료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학과 아동청소년상담전공 박사
현 한국다움상담연구소 소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과 특임교수
춘천교육대학교 객원교수
한국여성심리학회 이사 및 자격관리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