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장애의 이론적 틀
Ⅰ. 서론
Ⅱ. 장애의 개별적 모델
Ⅲ. 장애의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
Ⅳ. 장애 이론을 위한 네 가지 패러다임과 그 변형
Ⅴ. 페미니스트 장애 이론
Ⅵ. 상대적 상호작용론 관점
Ⅶ. 결론
참고문헌
제4장 장애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연구 방법의 철학적 가정과 연구 패러다임의 유형
Ⅲ. 질적 연구의 접근 방법
Ⅳ. 질적 연구 방법의 절차 및 관련 이슈
Ⅴ. 발달장애인과 함께 연구하기
Ⅵ. 결론
참고문헌
제2부 장애의 맥락
제5장 장애의 정치경제학
Ⅰ. 서론
Ⅱ. 정치·경제의 결과물로서의 장애
Ⅲ. 통제와 배제의 메커니즘으로서의 사회 정책
Ⅳ. 사회 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제6장 장애 정체감·자부심, 그리고 장애 문화의 가능성의 탐색
Ⅰ. 서론
Ⅱ. 장애 정체감에 대한 이해
Ⅲ. 장애 정체감을 둘러싼 논의들
Ⅳ. 장애 자부심에 바탕을 둔 장애 문화의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제7장 장애와 문화: 그 역사적 질곡과 복원에의 염원
Ⅰ. 서론
Ⅱ. 장애 문화의 지역적 다양성과 역사적 굴곡
Ⅲ. 농문화와 이에 대한 관점
Ⅳ. 종래의 관점에 대한 반동으로서의 장애 문화 운동
Ⅴ. 문화 향유의 객체 내지 주체로서의 장애인
Ⅵ. 결론
참고문헌
제8장 장애의 윤리학에 관한 소고
Ⅰ. 서론
Ⅱ. 윤리적 인식에 있어서 패러다임의 전환
Ⅲ. 우생학
Ⅳ. 장애 예방
Ⅴ. 안락사
Ⅵ. 21세기 새로운 우생학: ADHD에 대한 현대 사회의 대처
Ⅶ. 결론
참고문헌
제9장 근·현대 장애인복지 제도를 통해 본 한국 장애인의 역사
Ⅰ. 서론
Ⅱ. 일제 강점기: 방치와 격리 수용 그리고 훈육의 시작
Ⅲ. 한국전쟁: 충성을 둘러싼 장애인의 구분
Ⅳ. 1960∼1970년대: 산업 발전, 그리고 장애인에게 강요된 인내
Ⅴ. 1980∼1990년대: 복지 수혜자로서의 장애인
Ⅵ. 2000년대: 중증장애인, 세상 밖으로 나오다
Ⅶ. 결론
참고문헌
제10장 한국 장애인운동의 역사
Ⅰ. 서론
Ⅱ. 부모와 전문가에 의한 운동(1960∼1985년)
Ⅲ. 사회 변혁적 장애인운동의 준비(1986∼1987년)
Ⅳ. 사회 변혁적 장애인운동의 실천(1988∼1989년)
Ⅴ. 사회 변혁 운동의 유지를 위한 조직 통합과 해체(1990∼1998년)
Ⅵ. 중증장애인 운동과 장애인운동의 대통합(1999∼2007년)
Ⅶ. 결론
참고문헌
제3부 장애여성과 장애아동
제11장 장애여성의 생애 경험: 억압과 자기재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한국 장애여성의 사회적·경제적 현황
Ⅲ.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련된 이론적 설명
Ⅳ. 한국 장애여성의 경험들
Ⅴ. 결론
참고문헌
제12장 장애아동과 교육
Ⅰ. 서론
Ⅱ. 특수교육학의 장애 이해 관점에 대한 비판적 성찰
Ⅲ. 장애인 교육관의 재정립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