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불안장애를 위한 정서중심치료

두 의자 대화와 빈 의자 대화를 중심으로
$25.92
SKU
978899972800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1/15
Pages/Weight/Size 188*254*30mm
ISBN 9788999728006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이 책은 범불안장애(GAD) 치료에 정서중심치료(EFT)의 고유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특히 단기 치료를 어렵게 할 수 있는 이 장애의 만성적이고 발달적인 경로를 조명하여 치료의 저항성에 대한 이해를 도우며, 정서중심치료의 접근 과정을 사례 예시와 함께 명료하게 보여 준다.

Contents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론

제1장 범불안장애의 정서중심치료 사례 공식화
범불안장애
범불안장애의 이론
불안에 대한 정서중심치료
범불안장애의 발달
사례 예시: 실패할 운명
취약한 자아감의 발달
범불안장애를 위한 정서중심치료

제2장 범불안장애에서 정서의 역할
정서적 고통
정서와 신체
정서도식
정서의 유형
정서와 불안
정서변화의 원리
결론

제3장 치료의 틀
정서중심치료의 주요 처치 원칙
사례 공식화
사례 예시: 범불안장애를 위한 사례 공식화
표식으로 유도된 개입
범불안장애를 위한 정서중심치료 매뉴얼
사례 예시
결론

제4장 치료적 관계
치료적 현전
수용과 온정
공감
일치
치료적 태도의 표현
긍정적인 치료적 관계의 효과에 대한 연구
협업과 작업동맹의 발달
신뢰와 안전감 쌓기
치료사 반응성의 발달
관계의 결렬

제5장 취약한 자아의 강화
더 긍정적인 자기 조직화의 조성
경험의 상징화
부정적인 자기 대우의 변화와 정동 처리
사례 예시: 과도한 책임을 지는 자아
관계 책임성의 재균형화 및 자아의 재정의
사례 예시: 침범적인 타인의 영향
내담자의 근접발달영역에서의 작업
결론

제6장 걱정과의 작업: 불안 분열
걱정 대화
변화 촉진을 위한 성장 경계에서의 작업
애착 상처의 구조화
더 탄력적인 자기 조직화의 발달
두려움과 슬픔으로 부드러워지기
걱정 대화 작업의 어려움

제7장 부정적인 자기 대우 바꾸기: 두 의자 대화
부정적인 자기 대우를 위한 두 의자 대화
두 의자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변형: 자기 진정을 발달시키기

제8장 고통의 변형: 범불안장애의 빈 의자 대화 작업
애착 상처의 해결을 위한 빈 의자 대화
상대방과 대화하기
변형
빈 의자 대화의 어려움

제9장 범불안장애의 정서 변형과 자비적 자기 진정
대처적이고 변형적인 자기 진정의 구축
자기 진정 과제를 위한 표식
대처적 자기 진정
변형적 자기 진정
자기 진정의 차단과 작업하기
변형: 정서와 대인관계
사례 예시: 로슬린
정서 변형
사례 예시: 소피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Jeanne C. Watson,Leslie S. Greenberg,윤명희,안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