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한 대조 입능가경 식육품 연구

$19.44
SKU
978899893814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10/30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98938147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입능가경』 「식육품」에 대한 문헌학적 사상적인 연구
불전에 나타난 ‘식육’, 산스크리트어 원본으로 살피고
한국불교에서 육식의 담론을 고찰


4세기말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입능가경』은 대승불교 중심 사상인 중관·유식·여래장·선종 사상 등과 함께 대승계율 그리고 동북아시아 불교의 교학과 수행에 많은 영향을 준 대표적인 대승경전이다. 이와 같이 대승불교의 중심 사상이 수록되어 있는 『입능가경』은 중국과 티베트에 전래되어 5세기부터 9세기경까지 중국에서는 3종류의 한역 이역 본, 티베트에서는 2종류의 티베트어 이역 본이 각각 번역 영인되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티베트어 이역 본들과는 다르게 한역 이역 본들은 산스크리트어 원전의 내용과는 상이한 축역·의역·첨가와 내용 전후 전환 등의 부분들이 다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입능가경』이 산스크리트어 원전과는 다른 내용으로 전래되어 교학·연찬이 전개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주목해 저자 보산 스님은 『범·한 대조 입능가경 식육품 연구』에서 산스크리트어 본 『입능가경』 10품 중의 여덟 번째 품인 「식육품」을 한역 이역본과 각각 문헌학적인 대조와 한글 번역을 시도하고, 식육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 초기·부파·대승불교의 시대별 문헌을 각각 대조·분석하였다. 또한 한국불교에 있어서 육식에 대해서 다양하게 연구 고찰하였다.
Contents
발간사/5
서론
1. 연구 목적/10
2. 연구 범위와 방법/14
3. 입능가경 해제/17
1) 입능가경이 갖는 의미/17
2) 입능가경의 성립 시기/20
3) 입능가경의 중심 사상/22
4) 입능가경의 교정본과 번역서/25

범본 한역 이역본의 석주해와 대조
1.0. Nanjio, p.244·2/29
1.1. Nanjio, p.244·3/30
1.2. Nanjio, p.244·7/31
1.3. Nanjio, p.244·10/32
1.4. Nanjio, p.244·13/34
1.5. Nanjio, p.245·1/36
1.6. Nanjio, p.245·5/38
1.7. Nanjio, p.245·8/39
1.8. Nanjio, p.245·10/41
1.9. Nanjio, p.246·1/46
1.10. Nanjio, p.246·4/47
1.11. Nanjio, p.247·8/54
1.12. Nanjio, p.248·3 /59
1.13. Nanjio, p.p.248·8 /61
1.14. Nanjio, p.248·14/65
1.15. Nanjio, p.249·14/70
1.16. Nanjio, p.250·13/76
1.17. Nanjio, p.251·5/78
1.18. Nanjio, p.251·12/82
1.19. Nanjio, p.252·2/84
1.20. Nanjio, p.252·15/87
1.21. Nanjio, p.253·10/94
1.22. Nanjio, p.254·8/97
1.23. Nanjio, p.255·1/99
1.24. Nanjio, p.255·7/101
1.25. Nanjio, p.255·18/103
1.26. Nanjio, p.256·6/106
1.27. Nanjio, p.256·9/107
1.28. Nanjio, p.256·11/108
1.29. Nanjio, p.256·13/108
1.30. Nanjio, p.256·15/109
1.31. Nanjio, p.256·17/110
1.32. Nanjio, p.257·2/111
1.33. Nanjio, p.257·4/112
1.34. Nanjio, p.257·6/113
1.35. Nanjio, p.257·8/113
1.36. Nanjio, p.257·10/114
1.37. Nanjio, p.257·12/114
1.38. Nanjio, p.257·14/115
1.39. Nanjio, p.257·16/116
1.40. Nanjio, p.258·2/117
1.41. Nanjio, p.258·4/118
1.42. Nanjio, p.258·6/118
1.43. Nanjio, p.258·8/119
1.44. Nanjio, p.258·10/119
1.45. Nanjio, p.258·12/120
1.46. Nanjio, p.258·14 /121
1.47. Nanjio, p.258·16/121
1.48. Nanjio, p.259·2/122
1.49. Nanjio, p.259·4/123
1.50. Nanjio, p.259·6/124

불교의 육식에 관한 연구
1. 불교에 있어서 육식 문제/126
1) 초기 불교에 있어서 육식/127
(1) 불살생/127
(2) 걸식/133
(3) 육식과 삼종정육/140
(4) 사의법/152
(5) 육식과 부정/158
2) 부파불교에 있어서 육식 /162
(1) 부파불교의 성립/162
(2) 부파교단의 생활/163
(3) 부파불교의 육식 허용 문제/165
3) 대승불교에 있어서 육식/166
(1) 대승불전에 나타난 육식/167
(2) 불식육계에 대한 문제점/214

한국의 불교 수용과 계율에 나타난 육식
1. 한국불교의 수계/222
1) 한국불교의 계율과 정체성 /227
2) 한국불교 계율과 육식 /230
2. 육식과 건강/239
1) 환경과 생물 /239
2) 육식과 채식/241
3) 대승불교의 동제대비/242

결론
참고 문헌/253
Author
보산 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