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를 지키는 우리 야생화 (큰글자책)

$32.40
SKU
978899882267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6/30
Pages/Weight/Size 188*257*20mm
ISBN 9788998822675
Categories 자연과학
Description
천연기념물 336호 독도는 섬일까, 아닐까? 육지와 연결된 적 없었던 한국의 갈라파고스 독도에 식물들은 어떻게 살게 되었을까?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이다. 고종황제가 1900년 10월 25일 대한제국칙령 제41호에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명시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독도는 우리의 영토주권을 따지는 대명사다.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의 집요한 역사 왜곡을 막아낼 근본적인 방법은 역사학자나 정치가들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다. 독도는 아직 국제법상으로는 섬이 아닌 바위라는 주장도 있다. 사람과 식수와 나무가 있어야 온전한 섬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에 독도에 살고 있는 나무와 풀은 그만큼 중요한 의미가 있다.
우리 국토의 ‘막내’라 불리는 독도에는 어떤 식물들이, 얼마나 살고 있을까? 한 번도 육지와 연결된 적이 없었던 화산섬 독도에 살고 있는 야생화들의 기원은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된 것일까? 독도의 얕은 지표면에는 어떤 식물들이 버티고 있어야 좋을까? 이 책은 영남대 박선주 교수 등이 수년간 독도 현지를 방문하며 관찰하고 연구해온 독도 야생화에 대한 따뜻한 관심의 기록이자 독도 식물 생태보고서다.
Contents
서문 독도의 야생화가 갖는 의미

1장 독도의 봄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갓 독도의 봄을 알리는 식물 14
갯괴불주머니 괴불주머니를 닮은 독도의 장난감 18
개쑥갓 태어나자 마자 늙어 버린 꽃 22
갯장대 굿판에 사용하는 깃대 26
댕댕이덩굴 채반, 조리, 소쿠리를 만드는 식물 32
도깨비쇠고비 독도의 유일한 고사리 종류 36
땅채송화 독도의 귀염둥이 40
마디풀 독도의 아픔을 대변하는 마디풀 44
민들레 결혼하지 않고 자식을 낳는 꽃 48
방가지똥 노란똥을 분비하는 만능풀 52
별꽃 독도의 땅에 뿌려진 별 56
비짜루 기침에 아주 좋은 야생화 60
산달래 마늘의 대용 식물 64
새포아풀 햇빛을 싫어하는 식물 69
섬괴불나무 괴불을 닮은 꽃 72
질경이 밟아도 밟아도 살아남는 끈기 있는 식물 76
참빗살나무 먹으면 설사를 일으키는 식물 80
참소리쟁이 독도의 소리꾼 84
초종용 독도의 유일한 기생식물 88
콩다닥냉이 냉이의 가장 가까운 친구 92
큰개미자리 개미를 먹여 살리는 풀 96
큰두루미꽃 보석처럼 아름다운 꽃 99
큰이삭풀 보리처럼 생겼지만 먹지 못하는 식물 102
2장 독도의 여름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가는갯는쟁이 독도의 염생식물 108
가는명아주 꽃잎이 없는 식물 112
개머루 곤충들이 가장 좋아하는 꽃 116
개밀 먹지 못하는 밀가루 120
갯까치수영 독도의 향기 124
갯사상자 뱀이 좋아하는 풀 129
갯제비쑥 연미복처럼 예쁜 잎을 가진 야생화 133
까마중 독도의 귀화식물 137
닭의장풀 닭의 혓바닥을 닮은 풀 141
돌피 공기총 탄환으로 이용하는 종자 145
바랭이 강인한 생명력을 소유한 식물 149
박주가리 겨울을 날 수 있는 보온재 식물 153
사철나무 독도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157
산쑥 울릉도와 독도에만 자라는 쑥 162
선괭이밥 고양이에게 좋은 식물 166
섬기린초 전 세계에서 울릉도와 독도에만 자라는 식물 170
섬초롱꽃 남을 위해 기도하는 식물 174
쇠무릎 무릎관절에 특효약 178
쇠비름 우리 몸의 독을 빼주는 장수식물 182
술패랭이꽃 독도의 추위에 머리를 풀어헤친 꽃 186
왕호장근 독도 어부들의 비상 식량 190
참나리 가장 지체 높은 꽃 196
큰방가지똥 단백질이 풍부한 식물 200

3장 독도의 가을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강아지풀 개의 꼬리를 닮은 풀 208
갯강아지풀 바닷가 근처에서만 자라는 강아지풀 212
금강아지풀 노란 강아지 꼬리를 닮은 식물 216
둥근잎나팔꽃 나팔을 닮은 꽃 220
번행초 위장에 좋은 한국산 시금치 224
보리밥나무 새들이 좋아하는 열매 228
왕김의털 김에 붙어 있는 가느다란 털 232
참억새 옛날에 지붕을 만드는 데 사용했던 식물 235
해국 독도의 대표꽃 239
흰명아주 독도의 약용식물 246


4장 독도의 겨울을 지키는 우리 야생화


동백나무 추운 겨울에 꽃을 피우는 야생화 252

참고자료 258
학명색인 263
Author
박선주,정연옥
고려대학교 생물학과에서 식물분류학전공으로 이학박사를 취득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자원식물학회 부회장, 지방대구환경청 전문위원, 과학기술부 엠버서더(과학홍보대사), 경상북도 문화재 전문위원, 자연보호 중앙협의회 학술이사, 자연보존협회 대구, 경북지부장, 한국식물분류학회 이사, 자원식물학회 편집위원 및 상임이사, 한국식물학회 이사, 미국식물분류학회, 미국식물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통령상, 환경부장관상, 식물분류학회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저서로는『생물의 세계』, 『기초생명과학』, 『자연생태길라잡이』, 『식물계통분류학』, 『생명과학』, 『압량벌에 핀 아름다운 야생화』, 『식물형태학』 외 다수의 국내외 논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생물학과에서 식물분류학전공으로 이학박사를 취득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자원식물학회 부회장, 지방대구환경청 전문위원, 과학기술부 엠버서더(과학홍보대사), 경상북도 문화재 전문위원, 자연보호 중앙협의회 학술이사, 자연보존협회 대구, 경북지부장, 한국식물분류학회 이사, 자원식물학회 편집위원 및 상임이사, 한국식물학회 이사, 미국식물분류학회, 미국식물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통령상, 환경부장관상, 식물분류학회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저서로는『생물의 세계』, 『기초생명과학』, 『자연생태길라잡이』, 『식물계통분류학』, 『생명과학』, 『압량벌에 핀 아름다운 야생화』, 『식물형태학』 외 다수의 국내외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