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민족사에서 출간한 《출가란 무엇인가?》는 《출가, 세속의 번뇌를 놓다》(2007)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던 책의 원제를 살려 재출간한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고대 인도로부터 전해오는 빠알리 율장 자료로 붓다 당시 승단의 생활 모습을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불교 승단의 성립과 구성, 승단의 개념, 출가의식, 승단 내 경제, 승단의 교육제도, 여성의 수계, 승단 내의 남녀평등 등의 주제로 승가의 기본 운영이념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에 충분한 텍스트로 율장 연구의 자료로도 손색이 없다.
또한 이 책은 출가라고 하는 주제를 통해 불교와 사회와의 관계를 밝혀내고 있다. 저자는 초기 승단의 모습을 비교의 자로 삼아 현대 불교가 안고 있는 갖가지 문제점의 본질이 어디에 있는지 파헤친다. 이를 통해 승단이 없는 일본불교를 반성하는 동시에, 이 책을 읽는 한국의 독자들로 하여금 한국의 상황에 맞게 불교가 나아갈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에 즈음하여
들어가는 말
제1장 불교 승단의성립과 구성
1. 석가모니의 출가
2. 석가모니의 수행
3. 불교승단의 성립
4. 승단의 구성원
5. 승단의 생활원리
제2장 율장
1. 율장이란
2. 율장과 부파 분열
3. 율장 연구의 의의
4. 계란 무엇인가
5. 승단의 개념과 계
제3장 출가의식
1. 여러 가지 출가 코스
2. 신도의 획득
3. 삼귀의와 오계의 서원
4. 재가신도의 존재 의미
5. 사미 출가(출가생활의 시작)
6. 수계
제4장 차법
1. 차법이란 무엇인가
2. 비구가 될 수 없는 사람들
(1) 전향자 (2) 외도 (3) 중병인 (4) 관사(관리) (5) 범죄자 (6) 부채자 (7) 노예 (8) 20세가 되지 않은 자
(9) 부모의 허가를 얻지 못한 자 (10) 황문(거세자 및 동성애자) (11) 적주자(가짜비구) (12) 축생 (13) 오역죄를 범한 자 (14) 비구니를 더럽힌 자 (15) 양성구유자(양성을 함께 가지고 있는 자) (16) 신체장애자 및 병자
3. 차별성의 의미
4. 여성의 수계
제7장 승단과 일반사회와의 관계
1. 개방공간으로서의 승원
2. 출가자와 그 가족
3. 신도와의 친밀감
4. 승·속의 균형
5. 신도와의 트러블
6. 금전관리
7. 옷을 중심으로 한 승단 내 경제
제8장 승단의 교육제도
1. 화상이란 무엇인가
2. 화상의 책임과 제자의 의무
3. 아사리
4. 아사리의 또 다른 의미
5. 새로운 아사리의 발생
⑴ 출가아사리와 수계아사리 ⑵ 교수아사리
6. 교수아사리의 특수성
제9장 불교 승단과 여성
1. 차별받는 비구니들
2. 팔경법
3. 비구니의 바라이법
4. 비구니의 승잔법
5. 신참자로서의 비구니 승단
6. 승단 내의 남녀 평등성
7. 대승불교의 여성관
약호표
후기
찾아보기
Author
사사키 시즈카,원영
과학자가 되고 싶어 교토대학교 공업화학과에서 공부했다. 그러나 자신의 길이 아님을 깨닫고는 졸업 후 같은 학교에서 다시 불교학을 전공했다. 대학 시절부터 과학과 불교의 접점에서 인간 세계를 고민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였다. 현재는 하나조노대학교 불교학과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1992년 일본 인도학 불교학회상을, 2003년 스즈키 학술재단 특별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는 『붓다와 아인슈타인』, 『불교는 우주를 어떻게 보았나』, 『출가란 무엇인가?』, 『인도불교의 변천』, 『일일시수행』, 『‘율’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출가적 인생에 대한 조언』 등이 있다.
과학자가 되고 싶어 교토대학교 공업화학과에서 공부했다. 그러나 자신의 길이 아님을 깨닫고는 졸업 후 같은 학교에서 다시 불교학을 전공했다. 대학 시절부터 과학과 불교의 접점에서 인간 세계를 고민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였다. 현재는 하나조노대학교 불교학과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1992년 일본 인도학 불교학회상을, 2003년 스즈키 학술재단 특별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는 『붓다와 아인슈타인』, 『불교는 우주를 어떻게 보았나』, 『출가란 무엇인가?』, 『인도불교의 변천』, 『일일시수행』, 『‘율’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출가적 인생에 대한 조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