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농업과 먹거리를 한국의 연구자들이 분석한 책이 드디어 나왔다. 그간 먹거리와 농업을 체계적으로 다룬 책은 대부분 번역서였고, 우리의 구체적인 현실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책은 거의 없었다. 도서출판 따비의 신간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 한국 농식품체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대안》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먹거리의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농식품체계의 형성에서부터 대안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Contents
책을 내며 한국 농식품체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 4
1부 현대 농식품체계의 형성
1장 현대사회의 먹거리와 농업: 현대 농식품체계의 이해 _김철규
들어가며 … 17
현대 농식품체계와 사회학적 상상력 … 18
현대 농식품체계의 형성 … 21
세계화와 기업식량체제 … 24
현대 농식품체계의 이해를 위한 몇 가지 개념 … 26
맺음말: 먹거리시민과 먹거리정치 … 33
2장 한국 농업근대화의 사회정치적 기원과 귀결 _박동범
들어가며 … 36
근대식민주의 체제의 흥망과 농업의 자본주의적 재조직화 … 38
발전주의 체제의 흥망과 ‘농업근대화’ 구상의 국제적 확산 … 45
세계화 프로젝트의 흥망과 대안농업의 지구정치 … 54
나가며: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64
2부 한국 농식품체계의 특징
3장 한국 농업의 전개와 농업·농촌의 변화 _송원규
한국 농업의 전개 … 71
한국 농업의 산업화와 농업·농촌의 변화 … 75
한국 농업구조 변화의 결과: 농업·농촌의 위기 … 81
농업·농촌의 새로운 움직임 … 87
4장 식품산업과 한국의 기업식량체계 _송인주
자본주의와 식품산업 … 90
기업식량체계와 식품안전 문제 … 93
한국 식품산업의 발전 과정 … 105
기업식량체계와 한국사회의 먹거리불안 … 118
5장 한국사회의 먹거리아노미와 한식문화 _정혜경
음식과 문화 … 126
현대의 음식문화 아노미 … 128
한국 음식문화의 변화와 먹거리정책의 대응 … 138
대안음식으로서 ‘한식’의 가치 … 145
한국 음식문화의 미래 … 149
3부 먹거리체계의 대안을 찾아서
6장 먹거리정치: 담론과 실천 _이해진
왜 먹거리정치인가? … 155
식량안보 담론의 정치 … 162
식량주권 운동의 정치 … 170
식품안전과 소비의 정치 … 176
먹거리시민권 정치와 주체 형성 … 183
대안 먹거리정치를 향해 …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