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근대는 가족과 가족주의의 탄생사였다. 전통적 씨족/친족 가족주의가 새로운 옷을 입고 현대적 핵가족의 가족주의로 탄생, 강화되었다. 가족주의는 차별받던 여성과 하층민의 인정투쟁이었다. 가족주의는 문화적 현상이라기보다는 정치경제적 현상이자, 한국식 근대의 집약체다.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는 위기와 기회의 시기를 지나며 한국인들이 생존하고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계층상승이나 지유를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로서 가족주의를 고찰한다. 모든 사회의 근원적 작동의 원리는 바로 가족에서 출발하지만, 특히나 1987년 민주화 이후에도 공적 조직운영이나 공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한국사회의 가족, 연고주의적인 행태가 강하게 작동하게 한 한국의 가족주의는 과연 어떤 과정을 거치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한국의 근대는 서구와 달리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개인’, 독자적 의무와 책임을 한 몸에 지닌 ‘개인’의 탄생사가 아니라, 가족이라는 유기적 단위 속의 개인, 즉 ‘가족 개인’의 탄생사로 보고, 가족주의를 통해 한국 근대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살펴보고 정리했다.
한국 가족주의를 ‘보호적 가족주의’와 ‘지위유지(상승)적 가족주의’로 구분하고, 가족주의가 상속을 통해 지위를 유지하고, 자녀 교육으로 지위를 상승하는 발판이자 지렛대로 삼아 생존의 단위로서 가족에 엄청난 열정과 기대를 쏟는 행동으로 분석한다. 또한, 근대 이전에 차별받던 여성과 상민(常民)층의 ‘인정투쟁’이기도 했다는 점을 발견한다.
1. 한국의 가족, 개인, 그리고 공공성 … 213
(1) 개인의 탄생? ‘가족 개인’으로서 한국인 … 213
(2) 전통가족주의와 현대가족주의 … 218
(3) 한국 가족주의의 앙면성: 공공성 부재와 역동성의 기반 … 223
2. 동아시아와 한국의 가족주의 … 229
3. 가족주의는 한국과 동아시아만의 특수한 현상인가? … 246
Ⅵ. 맺음말 … 255
1. 근현대 한국 가족주의 강화의 메커니즘 … 257
2. ‘가족’의 해체, 가족주의의 해체? … 267
3. 가족주의를 넘어서 … 274
참고 문헌 … 283
찾아보기 … 299
Author
김동춘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범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에서 「한국 노동자의 사회적 고립」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판적 사회학자로 학계와 시민운동 진영에서 활동하면서 『역사비평』 편집위원, 『경제와사회』 편집위원장,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참여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같은 대학 민주주의연구소 소장으로서 학교 민주시민교육 과제를 수행 중이다. 제20회 단재상과 제10회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반공자유주의』 『대한민국은 왜?』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사회학자 시대에 응답하다』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전쟁과 사회』 『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 『독립된 지성은 존재하는가』 『분단과 한국사회』 『한국 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한국사회 노동자 연구』 등이 있다.
사회학자. 서울대학교 사범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에서 「한국 노동자의 사회적 고립」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판적 사회학자로 학계와 시민운동 진영에서 활동하면서 『역사비평』 편집위원, 『경제와사회』 편집위원장,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참여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같은 대학 민주주의연구소 소장으로서 학교 민주시민교육 과제를 수행 중이다. 제20회 단재상과 제10회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반공자유주의』 『대한민국은 왜?』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사회학자 시대에 응답하다』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전쟁과 사회』 『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 『독립된 지성은 존재하는가』 『분단과 한국사회』 『한국 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한국사회 노동자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