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20년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사업’ 선정작인 [책문화학술] 시리즈 제3권『지역출판과 독서문화』는 일본의 지역출판과 독서문화 사례를 통해 한국의 지역출판을 이해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한국의 지역출판 진흥 방안을 모색한다.
총 3장으로 구성된 『지역출판과 독서문화』 제1장은 지금 왜 지역출판을 생각해야 하는지, 지역출판의 중요성과 한국에서 지역출판산업을 육성해야 할 필요성을 논했다. 제2장과 제3장에서는 일본의 지역독서운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제2장은 일본의 지역도서관을 중심으로 독서운동에 대해서 정리를 하였다. 나가노현의 시오지리시립도서관과 돗토리현의 현립도서관을 중심으로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화와 독서활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독서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과의 상생 전략의 사례를 모았다. 여기에서는 지자체가 지역재생을 위해 ‘책’을 활용한 전략과 지역출판 활성화를 위해 지역이 앞장서고 있는 사례도 함께 살펴보았다. 부록에는 제1회부터 제4회까지 한국지역도서전이 개최된 지역의 지역선언을 담았다.
Contents
서문
제1장 지역출판의 의의
1. 지역출판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1) 지역쇠퇴와 지역재생
2) 지역재생과 문화
3) 왜 지금 지역출판을 말하는가
4) 출판시장의 열쇠, 지역출판
2. 지역커뮤니티와 출판생태계
1) 지역커뮤니티와 지역활성화
2) 지역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책문화생태계
3) 지역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지역출판의 활성화
3. 지역출판산업 육성정책
1) 지역출판산업 육성 정책의 필요성
2) 지역출판 생태계 현황
3) 지역출판에서 필요한 정책
제2장 일본 지역도서관의 독서운동
1. 일본의 지역출판 배경
2. 일본 지역도서관의 독서진흥 활동 : 시오지리시립도서관(?尻市立?書館) 사례
1) 시오지리시립도서관의 기본 특징
2) 시오지리시립도서관의 독서진흥 활동
3. 일본 지역출판의 중심, 돗토리 : 북인돗토리와 돗토리현립도서관
1) 일본의 하나밖에 없는 지역도서전, 북인돗토리
2) 책의 학교와 나가이노부카즈
3) 돗토리의 중심 도서관, 돗토리현립도서관
4. 일본 지역 독서문화의 중심, 돗토리 : 마을 도서관과 지역서점 테이유도(定有堂)
1) 돗토리에서 가장 작은 마을의 도서관
2) 책의 비오탑, 테이유도
제3장 일본의 지역과 독서문화 상생 전략
1. 일본의 독서문화 상생 모델
1) 일본의 지역출판현황
2) 지자체의 어린이 독서마을 선언
3) 독서문화 상생 방안
2. 일본 지자체의 ‘책’을 활용한 지역재생 전략
1) 지역과 책
2) 하치노헤시의 책마을 만들기
3) 그림책마을 아리타가와
4) 지역재생과 책문화 활성화
3. 일본의 읽기문화 증진을 위한 독서활성화 연구
1) 일본의 독서 환경 및 정책
2) 일본의 독서활성화 사례
3) 독서활성화를 위한 연계활동의 중요성
부록 한국지역도서전 선언문
참고문헌
Author
김정명
신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과 겸임교수이다. (사)한국출판학회 총무이사, 한국지역출판연대 학술이사를 맡고 있다. 한국에서 출판학을 전공하고, 일본 츄오(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마케팅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새로운 환경 하에서의 출판생태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출판 활성화와 일본 출판생태계의 비교 분석 등을 연구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상품개발력을 기른다』, 『일본출판 들여다보기』가 있다. 저서 및 연구 논문으로는 『책은 冊이 아니다』(2014년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 공저),『책문화생태계의 현재와 미래』(공저),「책을 중심으로 한 지역재생 연구」,「AHP를 이용한 지역 출판산업 육성 정책의 우선순위 분석」(공저),「지역커뮤니티와 책문화생태계 연구」등이 있다.
신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과 겸임교수이다. (사)한국출판학회 총무이사, 한국지역출판연대 학술이사를 맡고 있다. 한국에서 출판학을 전공하고, 일본 츄오(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마케팅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새로운 환경 하에서의 출판생태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출판 활성화와 일본 출판생태계의 비교 분석 등을 연구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상품개발력을 기른다』, 『일본출판 들여다보기』가 있다. 저서 및 연구 논문으로는 『책은 冊이 아니다』(2014년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 공저),『책문화생태계의 현재와 미래』(공저),「책을 중심으로 한 지역재생 연구」,「AHP를 이용한 지역 출판산업 육성 정책의 우선순위 분석」(공저),「지역커뮤니티와 책문화생태계 연구」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