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의례(國譯儀禮) 제례편(祭禮篇)

$63.25
SKU
978899797073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5/27
Pages/Weight/Size 188*257*35mm
ISBN 9788997970735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인생 4계절의 지침서, 《의례》

옛 사람은 사람이 사람인 이유는 禮가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 禮는 履, 곧 실천한다는 의미로, 국가를 경영하고 사직을 안정시키고 상하의 질서를 바로 세우고 후사를 이롭게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옛 문헌에 의하면 이러한 예가 經禮는 3백 가지, 曲禮는 3천 가지였다. 禮의 중요함과 동시에 예의 복잡다단함을 알 수 있다. 冠禮와 昏禮는 喪禮ㆍ祭禮와 함께 사람이 살아가면서 치르는 가장 중요한 의식이다. 이 때문에 이 네 가지 예를 四禮라고 일컬으며 오늘날까지도 중시하고 있는 것이다.

《禮記》〈曲禮〉에 “군자는 예를 행할 때 풍속을 바꾸는 것을 구하지 않는다.[君子行禮, 不求變俗.]”라고 하였다. 예의 근본정신은 稱情이다. 《의례》에서 언급하고 있는 세세한 의절을 비롯한 의복·음식·기물 등이 오늘날과 맞지 않기 때문에 행하기 어렵다고들 하지만, 그 의미를 담을 수 있다면 오늘날의 실정에 맞게 오늘날의 의복·음식·기물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 또한 예에 맞는 것이다. 공자는 교만하지 않은 부자가 예를 좋아하는 부자만 못하다고 하였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진 오늘날, 작지만 이 번역서가 예를 좋아하는 사회로 변모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Contents
발간사 (성백효)
일러두기
《의례》 에 대하여 (楊天宇)

특생궤식례特牲饋食禮

一. 正祭前
1. 祭日을 점침(筮日)
2. 시동을 점침(筮尸. 3일전)
3. 시동에게 재차 알림(宿尸. 2일전)
4. 賓에게 재차 알림(宿賓. 2일전)
5. 제기를 살피고(視濯), 희생을 살피고(視牲), 제사 시간을 정함(爲期) (1일전)

二. 正祭
6. 祭日의 진설과 陰厭 전의 자리에 나아감
7. 室의 서남쪽 모퉁이에 신이 흠향하도록 음식을 진설하고 祝이 술을 올림(陰厭)
8. 시동을 맞이하고, 시동이 室에 들어가 9飯함(尸九飯)
9. 주인이 시동ㆍ축ㆍ좌식에게 헌주, 시동이 주인에게 酢酒, ?辭함(主人初獻)
10. 주부가 시동ㆍ축ㆍ좌식에게 헌주, 시동이 주부에게 酢酒함(主婦亞獻)
11. 賓長이 시동ㆍ축ㆍ좌식에게 헌주하고 주인ㆍ주부에게 致酒, 주인과 주부가 서로에게 致酒, 시동ㆍ주인ㆍ주부가 빈장에게 酢酒함(賓三獻)
12. 주인이 賓長ㆍ衆賓ㆍ長兄弟ㆍ衆兄弟ㆍ內兄弟에게 헌주, 賓長에게 酬酒함(賓三獻)
13. 長兄弟가 시동에게 加爵하고 주인과 주부에게 致酒함
14. 衆賓長이 시동에게 加爵함
15. 陰厭 때 祝이 올렸던 술을 嗣子가 마시고 시동에게 헌주함
16. 兄弟弟子가 長兄弟에게 擧?(여수례의 발단), 빈장이 장형제에게 酬酒(1차 여수례), 장형제가 장빈에게 酬酒(2차 여수례)
17. 賓弟子와 兄弟弟子가 長賓과 長兄弟에게 擧?(무산작례의 발단), 賓들과 형제들이 서로 酬酒함(무산작례)
18. 利가 시동에게 헌주함
19. 利成을 고하고(告利成), 시동이 廟門을 나가고, 시동의 집으로 尸俎를 보내고, 庶羞를 거둠

三. 正祭後
20. 嗣子와 長兄弟가 대궁을 먹고(?禮), 주인이 사자와 장형제에게 헌주, 사자가 주인에게 酢酒함
21. 음식을 室 안 서북쪽 모퉁이에 옮겨 진설하고(陽厭), 利成을 고하고(告利成), 제사가 끝났음을 고함(告事畢)

四. 記
22. 제사에 착용하는 衣冠
23. 祭物과 祭器의 진설법
24. 시동이 손씻는 예
25. 佐食과 宗人의 일과 위치
26. 內尊의 진설 및 內兄弟의 방향과 위치
27. 아궁이에 제사하는 예(祭?)
28. 賓이 시동을 전송하고 廟門 안으로 돌아가는 禮
29. 正祭 때 각 俎에 담는 牲體
30. 公有司와 私臣의 廟門 안 위치 및 주인에게서 獻酒를 받을 때의 차례

소뢰궤식례少牢饋食禮

一. 正祭前
1. 祭日을 점침(筮日. 10일 전)
2. 여러 祭官에게 재차 알리고(宿諸官), 시동을 점치고(筮尸), 시동에게 재차 알림(宿尸)(1일전)
3. 제사 시간을 정함(爲期. 1일전)
4. 희생을 잡고 제기를 씻음 (祭日)
5. 祭物을 ?에서 꺼내 鼎에 담고 祭具를 진열함(祭日의 진설)
6. ?筵과 술 단지를 진설하고, 鼎을 묘문 안에 진열하고, 祭物을 俎에 담음

二. 正祭
7. 室의 서남쪽 모퉁이에 신이 흠향하도록 음식을 진설하고 祝이 술을 올림(陰厭)
8. 시동을 맞이함
9. 시동이 室에 들어가 11飯함(尸十一飯)
10. 주인이 시동에게 헌주함(主人初獻)
11. 시동이 주인에게 酢酒, 祝이 ?辭함(主人初獻)
12. 주인이 祝에게 헌주함(主人初獻)
13. 주인이 두 좌식에게 헌주함(主人初獻)
14. 주부가 시동에게 헌주함(主婦亞獻)
15. 시동이 주부에게 酢酒함(主婦亞獻)
16. 주부가 祝에게 헌주함(主婦亞獻)
17. 주부가 두 佐食에게 헌주함(主婦亞獻)
18. 賓長이 시동에게 헌주함(賓三獻)
19. 시동이 賓長에게 酢酒함(賓三獻)
20. 賓長이 祝에게 헌주함(賓三獻)
21. 시동이 廟門을 나감
22. 두 佐食과 두 賓長이 대궁을 먹음(?禮)

유사철有司徹

一. ?尸禮(시동을 賓으로 대접하는 상대부의 禮)
1. ?尸禮에서 음식을 거두고 俎의 음식을 데우고 侑를 뽑음(?尸 준비)
2. ?尸禮에서 주인이 시동과 侑를 맞이함
3. ?尸禮에서 鼎과 俎를 뜰에 진열함
4. ?尸禮에서 주인이 시동에게 헌주함(主人初獻)
5. ?尸禮에서 주인이 侑에게 헌주함(主人初獻)
6. ?尸禮에서 시동이 주인에게 酢酒함(主人初獻)
7. ?尸禮에서 주부가 시동에게 헌주함(主婦亞獻)
8. ?尸禮에서 주부가 侑에게 헌주함(主婦亞獻)
9. ?尸禮에서 주부가 주인에게 致酒함(主婦亞獻)
10. ?尸禮에서 시동이 주부에게 酢酒함(主婦亞獻)
11. ?尸禮에서 上賓이 시동에게 헌주함(賓三獻. 爵止)
12. ?尸禮에서 주인이 시동에게 酬酒함(賓三獻)
13. ?尸禮에서 東房의 음식과 庶羞를 시동ㆍ侑ㆍ주인ㆍ주부에게 올림(賓三獻)
14. ?尸禮에서 주인이 長賓(上賓)에게 헌주함(賓三獻)
15. ?尸禮에서 주인이 衆賓에게 두루 헌주함(賓三獻)
16. ?尸禮에서 주인이 長賓을 대신하여 自酢함(賓三獻)
17. ?尸禮에서 주인이 長賓에게 당 아래에서 酬酒함(賓三獻)
18. ?尸禮에서 주인이 長兄弟, 衆兄弟에게 헌주함(賓三獻)
19. ?尸禮에서 주인이 內賓에게 헌주함(賓三獻)
20. ?尸禮에서 주인이 私人에게 헌주함(賓三獻)
21. ?尸禮에서 시동이 三獻(上賓)이 올렸던 술을 마시고 삼헌에게 酢酒함(賓三獻)
22. ?尸禮에서 두 사람이 시동과 侑에게 擧?(여수례의 발단), 시동이 주인에게 酬酒함(1차 여수례)
23. ?尸禮에서 兄弟의 後生者가 長兄弟에게 擧?(무산작례의 발단)
24. ?尸禮에서 衆賓長이 시동에게 加爵함
25. ?尸禮에서 賓 1인이 시동에게 酬酒함(2차 여수례)
26. ?尸禮에서 賓들과 兄弟들이 서로 酬酒함(무산작례)
27. ?尸禮에서 시동과 侑가 廟門을 나가고, 시동과 侑의 집으로 俎를 보내고, 薦俎를 거둠

二. 不?尸禮(시동을 賓으로 대접하지 않는 하대부의 禮)
28. 不?尸禮에서 시동이 室에서 11飯을 들 때 8飯 이후 下大夫의 禮
29. 不?尸禮에서 주인이 시동ㆍ축ㆍ좌식에게 헌주함(主人初獻)
30. 不?尸禮에서 주부가 시동ㆍ축ㆍ좌식에게 헌주함(主婦亞獻)
31. 不?尸禮에서 賓長이 시동ㆍ축ㆍ좌식에게 헌주, 주인과 주부가 서로 致酒, 빈장이 주인ㆍ주부에게 致酒, 시동이 빈장에게 酢酒, 주인과 주부가 빈장에게 酢酒함(賓三獻)
32. 不?尸禮에서 주인이 衆賓ㆍ형제ㆍ私人과 東房 안의 內賓에게 두루 헌주함(賓三獻)
33. 不?尸禮에서 衆賓長이 시동에게 加爵함
34. 不?尸禮에서 賓들과 형제들이 서로 酬酒함(무산작례)
35. 不?尸禮에서 上佐食이 시동에게 加爵하고 祝에게 헌주함
36. 不?尸禮에서 利成을 고하고(告利成), 시동이 廟門을 나가고, 시동의 집으로 尸俎를 보내고, 薦俎를 거둠
37. 不?尸禮에서 2명의 佐食과 2명의 賓長이 대궁을 먹음(?禮)
38. 不?尸禮에서 음식을 室의 서북쪽 모퉁이에 옮겨 진설하고(陽厭), 利成을 고하고(告成), 衆賓이 廟門을 나가고, 祭物을 거둠

? 참고문헌
? 부록
1. 제례 내용 분석표
2. 주요범례
3. ?廷堪의 《禮經釋例》
4. 張惠言의 《儀禮圖》 卷1 〈宮室〉
5-1. 張惠言의 《儀禮圖》 卷6 〈特牲饋食禮〉
5-2. 張惠言의 《儀禮圖》 卷6 〈少牢饋食禮〉
5-3. 張惠言의 《儀禮圖》 卷6 〈有司徹〉
6-1. 黃以周의 《儀禮圖》 卷48 〈禮節圖三 祭 特牲〉
6-2. 黃以周의 《儀禮圖》 卷48 〈禮節圖三 祭 少牢〉
6-3. 黃以周의 《儀禮圖》 卷48 〈禮節圖三 祭 徹〉
7. 漢簡本對校表
8. 용어색인

후기(이상아) - 《국역의례》 祭禮篇 출간을 앞두고
이 책을 번역하고 엮은 이
Author
이상아,박상금,최진
1967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났다. 공주사범대학 중국어교육과,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및 상임연구부에서 한문을 수학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 번역전문위원을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다. 석사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가례작의’ 역주』, 박사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제례고정’ 역주』이다.

번역서로 『무명자집 7, 8, 15, 16』, 『삼산재집 1, 2, 3, 4, 5』, 『일성록』(공역), 『국역기언 1』(공역), 『대학연의 1, 2, 3, 4, 5』(공역), 『석견루시초』, 『국역 의례(상례편)』(공역), 『국역 의례(관례혼례편)』(공역), 『국역 의례(제례편)』(공역), 『예기독본 1? 2?3』(공역), 『교감학개론』(공역), 『주석학개론 1, 2』(공역), 『사고전서 이해의 첫걸음』(공역) 등이 있다.
1967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났다. 공주사범대학 중국어교육과,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및 상임연구부에서 한문을 수학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 번역전문위원을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다. 석사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가례작의’ 역주』, 박사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제례고정’ 역주』이다.

번역서로 『무명자집 7, 8, 15, 16』, 『삼산재집 1, 2, 3, 4, 5』, 『일성록』(공역), 『국역기언 1』(공역), 『대학연의 1, 2, 3, 4, 5』(공역), 『석견루시초』, 『국역 의례(상례편)』(공역), 『국역 의례(관례혼례편)』(공역), 『국역 의례(제례편)』(공역), 『예기독본 1? 2?3』(공역), 『교감학개론』(공역), 『주석학개론 1, 2』(공역), 『사고전서 이해의 첫걸음』(공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