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의 낭송을 통해 양생과 수행을 함께 이루는, ‘몸과 고전의 만남’ “낭송Q시리즈” 동청룡(봄의 기운)편의 여섯 번째 책. 동아시아 유학사에서 주자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양명학의 고전 전습록은 명나라의 유학자 왕양명이 제자들을 비롯해 동시대 주자학자들과 나눈 강학의 기록이다. 전습록은 대화의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물론 대화 형식 자체가 특별히 양명 문도들만의 것은 아니지만 스승과 제자가 서로 ‘전’(傳)하고 ‘습’(習)하며, ‘앎=삶’이라는 집단적 신체를 구성하는 공동체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이전의 철학서들과 궤를 달리한다. 『낭송 전습록』은 ‘누구나 쉽게 읽어 볼 수 있게 함’이라는 원칙하에 전습록을 편집·번역·윤문한 책이다. 여기서 ‘읽는다’는 것은 묵독이 아닌 소리 내어 읽는 낭독이며 나아가 암송을 포함한 낭송을 말한다. 입시나 취업 등에 내몰리고 성적과 평가에 목을 매는 현대인들에게 양명이 말하는 공부의 원칙과 마음가짐은 각자의 현장에서 실천해 볼 수 있는 수행지침이 될 수 있다. 하여 『낭송 전습록』의 문장들 역시 그런 점에 마음을 담아 선별했다. 한 구절, 한 구절씩 큰 소리를 내어 읽어보는 것만으로 이미 다른 공부가 시작될 수 있도록 말이다.
Contents
『전습록』은 어떤 책인가 : 『전습록』을 읽는 세 개의 키워드
1. 왕양명 밴드???함께 묻고 배운다
1-1. 사람은 누구나 다 성인을 품고 있다
1-2. 업무가 바빠 공부할 수 없다는 하급 관리에게
1-3. 성인의 가르침은 기질을 속박하지 않는다
1-4. 양지가 내 불자(拂子)다
1-5. 그대들은 요즘 왜 질문이 적은가?
1-6. 참된 자기를 위하라
1-7. 성인의 학문이 도교나 불교보다 간결하고 크다
1-8. 오이맛을 알고 싶으면 오이를 먹어 보아야 한다
1-9. 마음이 성성하게 깨어 있어야 한다
1-10. 나의 단점을 공격하는 사람이 나의 스승이다
1-11. 순임금은 최고의 불효자다
1-12. 거리에 가득 찬 사람이 모두 성인이다
1-13. 즉문즉설???함께 묻고 답하다
1-14. 주자 만년의 후회에 관하여
1-15. 공자의 인과 묵자의 겸애는 어떻게 같고 다른가
1-16. 주자와의 차이에 대하여
1-17. 학문은 나무 기르는 일과 같다
1-18. 도(道)란 곧 우주다
1-19. 성인은 스스로 낮추지 않는다
1-20. 부족함을 느끼는 공부와 남는 것을 느끼는 공부
1-21. 학문하는 법
1-22. 육징이 도의 정밀함과 거칢에 관해 묻다
1-23. 아이가 아파 마음이 괴로운 지금이야말로 공부할 적기!
1-24. 일을 추진하고자 할 때에는 의도하거나 고집을 부려서는 안 된다
1-25. 참된 공부는 선을 행하는 데 있다
2. 마음이 이치다
2-1. 깊은 산 바위 틈에 홀로 피고 지는 꽃나무
2-2. 마음의 본체가 도심(道心)이다
2-3. 마음은 맑은 거울과 같다
2-4. 지극한 선은 오직 마음에서 구할 뿐이다
2-5. 앎과 행위에 순서가 있다는 말에 관하여
2-6. 양지는 마음의 본체인데, 왜 배움에 의지해야 하는가
2-7. 성인은 본성에 따라 행할 뿐이다
2-8. 공경히 삼가는 것과 이치를 탐구하는 일은 다르지 않다
2-9. 꽃과 풀에는 선도 없고 악도 없다
2-10. 성인의 마음은 순금에 비유할 수 있다
2-11. 마음의 본체를 다하는 것은 재질을 통해 드러난다
2-12. 한가한 생각이나 잡념도 사욕이다
2-13. 성인과 순금에 관하여 다시 묻다
2-14. 중(中)을 살피는 문제에 관하여
2-15. 이치와 마음은 다르지 않다
2-16. 마음에 근심이 있는 것처럼 공부하라
2-17. 아직 감정이 움직이지 않은 마음의 상태
3. 길 혹은 도(道)
3-1. 근본에서 힘을 기울여야 한다
3-2. 몸과 마음과 뜻과 앎과 사물은 하나다
3-3. 양지는 견문에서 얻는 것이 아니지만 견문 역시 양지의 작용이다
3-4. 속임수와 불신에 대처하는 군자의 자세
3-5. 학문은 마음에서 얻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3-6. 치양지는 다른 사람의 선행을 자기 것으로 여긴다
3-7. 아동교육의 대의를 보이다
3-8. 역사가 경전이고, 경전이 역사다
3-9. 상달(上達)은 오직 하학(下學)에 있다
3-10. 『대학』과 『중용』의 핵심을 말하다
3-11. 발본색원(拔本塞源) 혹은 성인들의 공동체
3-12. 사구교(四句敎), 마음의 본체는 선도 없고 악도 없다
3-13. 대학문(大學問)???대인은 천지만물을 한몸으로 여긴다
3-14. 지행(知行)은 하나다
3-15. 앎은 행위의 시작이고 행위는 앎의 완성이다
3-16. 공자의 정명(正名)을 말하다
3-17. 한 구간을 가야 비로소 한 구간을 알 수 있다
3-18. 안회가 죽자 성인의 학문도 사라졌다
3-19. 기꺼이 광자(狂者)의 길을 가리라
3-20. 남이 말해 주는 것은 자신이 뉘우치는 진실됨만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