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과 더불어 현존하는 여성 리더의 대표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안보보좌관, 국무부장관
콘돌리자 라이스에게는 '최연소, 첫 여성, 첫 흑인' 등의 수식어가 줄곧 따라다닌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미 국무장관이라는 명패는 세계인의 머릿속에 가장 깊숙이 새겨진 타이틀이다. 아버지 부지에서 아들 부시로 이어지는 동안 정치권에 몸을 담으면서 보여준 그녀의 행보는 말 그대로 놀랍다.
콘돌리자 라이스의 자서전인 이 책은 8년 동안의 백악관 시절을 회고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9.11 테러가 일어난 시점부터, 그 사건이 어떻게 전쟁과 연결되었는지, 또 중동의 화약고와 북핵을 둘러싸고 각국의 정상들과 협상하는 과정의 긴박한 전개가 무려 1,000페이지에 달하는 분량 속에 담겨있다. 그 과정에서 각국 정상들에 대한 평가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에둘러 말하는 법도 없고, 숨기려는 의도도 없이 그녀는 직설적으로 묘사한다. 푸틴을 극도로 미워했으며, 카다피를 무시했고, 무바라크를 안타까워하기도 했다. 특히 김정일을 비롯해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대통령 등 한국의 세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이채롭다.
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은 무엇보다 언론의 가공을 거친 껍데기가 아니라 그녀의 눈을 통해 사건의 본질을 낱낱이 보여준다는 사실이다. 그는 ‘덧칠’되지 않은 생생한 현장감을 전달한다. 복마전과 같은 세계 각국의 마찰 또는 외교적인 쟁점이 어떻게 전개되고, 그 알맹이가 어떤 것인지를 솔직하면서도 거침없이 털어놓는다. 독자들은 약속과 배신, 회유와 협박, 대립과 화해 등 끊임없이 순환을 거듭하는 세계 정세의 흐름 속에서 콘돌리자 라이스가 어떻게 대처했는지에 대한 솔직한 고백을 읽을 수 있다.
Contents
프롤로그
들어가며
1.시간의 흐름이 뒤엉키기 전에
2.끝없는 알력, 럼즈펠드와 파월
3.바그다드가 망친 멕시코 순방
4.영원한 앙숙,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5.푸틴에게 속다
6.테러가 발생했습니다!
7.탈레반과의 전쟁
8.테러와의 전쟁 선포 이후의 국내 전선상황
9.아시아에 핵전쟁 위기가 발생하다
10.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벽 허물기
11.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무기
12.사담 후세인의 재등장
13.국제사회에 타협의 여지가 없음을 알리다
14.이라크의 해방
15.아프리카에 대한 부시 대통령의 애정
16.이라크에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다
17.9.11 청문회
18.이라크는 자치 정부가 있어야 합니다.
19.팔레스타인 독립 국가를 향해 한 걸음 더 전진하다
20.부시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다
21.국무장관이 되다
22.해외 순방에 나서다
23.험준한 산과 흙
24.색깔 혁명이 급물살을 타다
25.바그다드와 카이로
26.다르푸르에서 벌어진 참사
27.카트리나
28.극적인 뉴스거리를 만들다
29.상황이 지금보다 더 나빠질 수 있을까?
30.변혁 외교
31.인도와 다시 시작하다
32.라틴 아메리카의 민주주의를 위하여
33.새로운 이라크 총리가 등장하다
34.이란 정책의 방향을 바꾸다
35.중동 지역이 전쟁에 휩싸이다
36.테러와의 전쟁 체제를 개편하다
37.이라크가 수렁에 빠지다
38.북한의 핵무기 실험이 미-중 관계를 위기에 빠뜨리다
39.마지막 카드를 꺼내다
40.외교 정책이 급물살을 타다
41.라틴 아메리카 정책을 재정비하다
42.팔레스타인 안정화에 힘쓰다
43.이라크와 국내 전선
44.아나폴리스로 가는 길
45.비상사태가 선포되다
46.최종 회담을 시작하다
47.백악관에서 보낸 마지막 1년
48.잊을 수 없는 추억
49.중국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50.올메르트가 손을 내밀다
51.유럽의 통합, 자유, 평화를 위하여
52.그루지야에 전쟁이 발발하다
53.이라크, 인도와 외교관계를 돈독히 하다
54.카다피를 만나다
55.북한에게 마지막 기회를 주다
56.2008년에 찾아온 금융위기
57.뭄바이 테러
58.팔레스타인 국가를 건설할 단 한 번의 마지막 기회
에필로그
Author
콘돌리자 라이스,정윤미
부시 행정부 1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자 2기 행정부의 흑인 여성 최초 국무장관. 1954년 인종차별이 심한 앨라배마주 버밍햄에서 교육자 부모 사이의 무남독녀로 태어났다. 1963년 극우단체 KKK단의 폭발 사고로 유치원 급우를 잃는 등 흑인 민권 운동의 소용돌이 속에 있었지만 부모의 강력한 지원과 보호 아래 유복하게 성장했다. 아버지가 콜로라도주 덴버로 전근하면서 고교생 라이스는 바로 덴버대학의 대학 과정을 밟기 시작했다. 당초 음악을 전공했으나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국국무장관의 아버지인 조세프 코벨 교수의 스탈린 강의를 들은 뒤 옛 소련 및 동유럽 정치학으로 전환해 19세 때 학사, 26세 때 소련 및 동유럽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국무부에서 인턴 근무를 마친 후 1981년 26세에 스탠퍼드대 교수가 된 라이스는 곧 소련 분야에서 학자로서의 명성을 얻었고 레이건 행정부 시절인 1986년 휴직 후 국방부 자문역을 맡아 1987년에는 합참의장의 전략핵 정책 고문 자격으로 소련과의 핵무기 감축 협상에 참여했다.
1989년에는 부시 전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인 브렌트 스코크로프트(Brent Scowcroft)에 발탁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소련 및 동유럽 담당 책임자로 임명됐다. 이때 부시 가문과 처음 인연을 맺었으며, 부시 전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간의 전략무기 감축협상에 실무를 담당했고, 소련이 독일의 통일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는 데도 일조했다. 부시 행정부 1, 2기를 통틀어 외교 정책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국무장관에서 물러난 이후 스탠퍼드대 교수로 돌아온 콘돌리자 라이스는 1994년 '최연소, 첫 여성, 첫 흑인'이라는 진기록을 세우며 스탠퍼드대 부총장으로 취임하기도 했다.
베스트셀러 『최고의 영예:콘돌리자 라이스, 불꽃처럼 산 워싱턴 시절의 기록』, 『민주주의:자유를 향한 긴 여정Democracy:Stories from the Long Road to Freedom』, 『특출하고 평범한 사람들Ordinary People:A Memoir of Family』 등 다양한 저서와 공저를 집필했다.
부시 행정부 1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자 2기 행정부의 흑인 여성 최초 국무장관. 1954년 인종차별이 심한 앨라배마주 버밍햄에서 교육자 부모 사이의 무남독녀로 태어났다. 1963년 극우단체 KKK단의 폭발 사고로 유치원 급우를 잃는 등 흑인 민권 운동의 소용돌이 속에 있었지만 부모의 강력한 지원과 보호 아래 유복하게 성장했다. 아버지가 콜로라도주 덴버로 전근하면서 고교생 라이스는 바로 덴버대학의 대학 과정을 밟기 시작했다. 당초 음악을 전공했으나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국국무장관의 아버지인 조세프 코벨 교수의 스탈린 강의를 들은 뒤 옛 소련 및 동유럽 정치학으로 전환해 19세 때 학사, 26세 때 소련 및 동유럽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국무부에서 인턴 근무를 마친 후 1981년 26세에 스탠퍼드대 교수가 된 라이스는 곧 소련 분야에서 학자로서의 명성을 얻었고 레이건 행정부 시절인 1986년 휴직 후 국방부 자문역을 맡아 1987년에는 합참의장의 전략핵 정책 고문 자격으로 소련과의 핵무기 감축 협상에 참여했다.
1989년에는 부시 전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인 브렌트 스코크로프트(Brent Scowcroft)에 발탁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소련 및 동유럽 담당 책임자로 임명됐다. 이때 부시 가문과 처음 인연을 맺었으며, 부시 전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간의 전략무기 감축협상에 실무를 담당했고, 소련이 독일의 통일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는 데도 일조했다. 부시 행정부 1, 2기를 통틀어 외교 정책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국무장관에서 물러난 이후 스탠퍼드대 교수로 돌아온 콘돌리자 라이스는 1994년 '최연소, 첫 여성, 첫 흑인'이라는 진기록을 세우며 스탠퍼드대 부총장으로 취임하기도 했다.
베스트셀러 『최고의 영예:콘돌리자 라이스, 불꽃처럼 산 워싱턴 시절의 기록』, 『민주주의:자유를 향한 긴 여정Democracy:Stories from the Long Road to Freedom』, 『특출하고 평범한 사람들Ordinary People:A Memoir of Family』 등 다양한 저서와 공저를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