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나라 공사장

$16.20
SKU
97889974568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2/20
Pages/Weight/Size 152*223*30mm
ISBN 9788997456802
Categories 종교 > 기독교(개신교)
Description
하나님을 사랑하고 생명을 가진 모든 것들을 사랑하는 뜨거운 가슴을 지닌 이신현 작가의 영성 소설이다. 한국에서 일백 교회를 개척하면 한 교회 정도 살아남는다는 개척교회의 현실. 그 현장에서 온갖 풍파와 좌절, 기도의 줄을 붙잡고 살아가는 작가의 내면세계와 한국교회 현실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소설이다.

공중 대축제, 치열한 전투, 특명, 생명의 주인, 불의 계절, 공중제국의 긴급참모회의, 부활의 새싹들 같은 내용 소제목들에서 보듯이 주인공 목사를 통한 개척교회 현실, 영적인 투쟁, 종말론적 세계관을 그려내고 있다.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는 영혼을 간직한 사람들이 육신의 욕망과 현실세계 탐욕의 늪을 지나가며 고뇌하고 회개하며 다시 나아가는 순례의 여정이기도 하다.

이 나라 이 민족을 향한 구원의 소망을 키워가면서도 궁핍한 생활현실, 한 남자로서 갖게되는 성적 욕망을 제어해가는 이야기들도 인간적으로 와닿는다. 아내의 절박한 투병생활, 아이들 양육에 따르는 막막함, 끊임없는 가난을 딛고 일어서는 과정들, 이단들과의 대적 등이 소상히 그려진다.

어지러운 세상 가운데 우리가 붙잡고 지켜가야 할 가치관이 무엇인지, 어떤 비전을 갖고 나아가야 하는지, 육신의 욕망을 절제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어떻게 냉엄히 다스리며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 개척교회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아울러 일부 부패한 한국교회와 신학대학들의 실상과 교단 정치꾼 목사들의 비루한 모습들을 통해 우리들이 무엇을 회개해야 하는지도 알려준다. 이것은 일면 우리의 초라한 자화상이요, 한편으로는 영적 지침서이기도 하다.
Contents
1. 공중 대 축제
2. 치열한 전투
3. 특명
4. 브니엘의 영광을 위하여
5. 생명의 주인
6. 불의 계절
7. 가롯 유다의 후예들
8. 꺼져가는 촛불들
9. 대 결단
10. 공중제국의 긴급 참모회의
11. 부활의 새싹들
12. 사랑의 증명
13. 쉬지 말고 기도하라
Author
이신현
전남 진도에서 출생하여 성결대학교와 동대학원 신학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석사), 호서대학교 대학원(철학박사, 구약학)을 졸업하였다.
1980년 장편소설 『거울 속의 타인』을 출간하면서 문필생활을 시자하였고, 월간 ‘한맥문학’을 통해 시인으로도 등단하였다. 1987년부터 목회를 시작하였고, 1988년 신학교와 대학의 강의를 시작하였다. 지금은 성결대학교에 출강하고 있으며, 안산시에 있는 ‘푸른숲교회’에서 목회하고 있다. 문학작품으로는 장편소설 『이브의 초상』, 『가고 또 가고』, 『공존의 그늘』(공저), 『구도자』, 『목회자』등이 있으며, 단편집 『빛의 능선』, 시집『외롭다는 이에게』, 『성도여 일어나소서』, 『그 강』등이 있다.
전남 진도에서 출생하여 성결대학교와 동대학원 신학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석사), 호서대학교 대학원(철학박사, 구약학)을 졸업하였다.
1980년 장편소설 『거울 속의 타인』을 출간하면서 문필생활을 시자하였고, 월간 ‘한맥문학’을 통해 시인으로도 등단하였다. 1987년부터 목회를 시작하였고, 1988년 신학교와 대학의 강의를 시작하였다. 지금은 성결대학교에 출강하고 있으며, 안산시에 있는 ‘푸른숲교회’에서 목회하고 있다. 문학작품으로는 장편소설 『이브의 초상』, 『가고 또 가고』, 『공존의 그늘』(공저), 『구도자』, 『목회자』등이 있으며, 단편집 『빛의 능선』, 시집『외롭다는 이에게』, 『성도여 일어나소서』, 『그 강』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