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의 교실은 섬처럼 따로 존재합니다. 개별 교사만의 특수한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교실의 특수성 때문에 다른 교사들의 교실 문턱을 넘기가 쉽지 않습니다. 더구나 코로나19로 원격 수업이 이뤄지면서부터는 교실에서 어떤 교육이 진행되는지 더욱 알 수 없게 되었습니다.
도대체 지금 우리 아이가 배우는 교실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다른 학교 동료 교사들은 교실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어떻게 고민하고 어떻게 헤쳐 나가고 있을까요? 학부모님도 현장 속으로 들어가 보시고, 우리 아이 담임 선생님께도 이 책을 선물해 보세요. 특히 교육 당국의 학교 정책 담당에게는 시행착오를 줄여 주는 제안 묶음입니다.
경기도 초등학교 교사 11명이▶온라인 수업▶민주적인 학교 운영▶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마을과 지역이 함께하는 교육▶동학년 교사들의 협력▶사교육▶SNS 선용▶기초 학력 부진▶진로 교육▶글쓰기 교육 등 10개 영역에 걸쳐 발로 뛴 경험을 통해 제시한 79편의 제안이 담겨 있습니다.
Contents
01 온라인 수업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
- 감염병에 대비해 장기적인 교육 정책 세워라 14
- 코로나 이후에는 평가 시스템부터 개선해야 17
- 저학년 맞춤형 플랫폼 개발과 학부모 연수 필요 22
- 분야별 튜터제 도입해 학생 개인차 줄여야 한다 25
- 학생 주도의 온라인 수업 콘텐츠 개발해야 28
- 온라인 수업에 증강 현실 도입 시급하다 31
- 토의토론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구축하자 34
- 저작권과 초상권 지침 마련해야 한다 37
-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 위해 노력하자 40
- 국가 교육 정책을 교사의 헌신에 기대지 마라 42
- 나는 어떤 배움을 주는 교사인가 깨달아야 45
- 코로나 이후 경쟁력 없는 교사는 설 자리 없다 48
02 코로나19 상황에서 민주적인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학교 운영
- 구성원 모두 주인 의식 가져야 공동체 완성 54
- 관리자를 선거로 뽑을 수 있어야 한다 56
- 의사 결정 과정에 학생을 배제하지 말자 58
- 단위 교육 기관에도 교육위 설치해 갈등 조정해야 60
- 소통 가로막는 교실 벽부터 허물자 62
- 교직원 회의를 최대한 활용하자 64
- 코로나19가 빚은 공동체 위기 극복은 리더십에 달렸다 66
- 젊은 교사의 패기와 경력 교사의 경험 조화 필요 68
- 학교 민주화부터 이뤄야 자치 가능하다 70
03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실태와 개선 방안
- 미래 교육에 대비하는 틀로 활용해야 74
- 교사와 학교, 교육청이 합심해야 한다 76
- 학교가 아닌 교사 공동체 단위의 지원 필요하다 78
- 운영 목적과 방향부터 확실하게 정하라 81
- 역량 있는 리더 교사 양성 필요하다 83
- 행정 업무 줄어야 내실 갖춘다 85
- 교사의 열정에 기대지 말고 학교 시스템을 바꿔라 87
04 마을과 지역이 함께하는 창의적 교육 과정의 운영 방안
- 교육 공간 확장부터 이뤄져야 한다 92
- 마을 교육 공동체 운영했더니 교육 만족도 높아져 94
- 무너진 공동체 복원의 중심에 학교가 있어야 한다 96
- 전통적 마을 공동체 정신 회복해야 교육 바로 선다 98
- ‘탄력적 교육 과정 운영’ 성패 학생 특성 반영에 달렸다 100
- 동두천을 꿈의학교로 만드는 초석 놓고 싶어 103
05 동학년 교사들의 협력 활성화를 위한 제언
- 자아 실현의 성취감 맛볼 수 있어야 한다 108
- 교사들의 상호 존중이 필요하다 110
- 인간적인 관심부터 가져라 112
- 공통의 가치관 도출이 필요하다 114
- 공감 능력을 갖춘 언행일치의 리더 필요 116
- 교사 협력 구축 열쇠는 상호 존중 리더십 118
- 학년 공동 프로젝트부터 만들어라 120
- 학년별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활용하자 122
- 학교 안 협력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에서 찾자 124
06 사교육이 공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공교육 바로 세우기
- 자본주의에 매몰되지 않도록 연대와 협력 가르쳐야 128
- 공교육 경쟁력 높이려면 사교육 선용해야 131
- 공교육과 사교육의 공존이 필요하다 133
- 질문이 있는 학교를 만들자 135
- 학생 지식 수준 미리 파악하고 수업 설계해야 137
- 고급 사고력 기르는 교육 이뤄져야 사교육과 구분돼 139
- 학생 참여 중심의 교육 과정 재구성 필요하다 142
- 학급 인원 감축해 개별 맞춤 교육 실시하라 144
- 사교육의 질 뛰어넘는 프로그램 마련되어야 146
07 온라인 공간(SNS)에서 일어나는 문제 상황과 슬기로운 지도 방법
- 금지보다는 올바른 사용법 가르쳐 맞서게 하라 150
- 가상 공간에서 폭넓은 관점 배울 기회 갖도록 하라 153
- SNS를 교사와 학생의 소통 도구로 활용하자 155
- 체계적인 정보 활용 교육 급하다 157
- SNS 정보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눈 길러 주자 159
- 학생 인권 침해 예방 교육 강화 필요 161
- SNS의 위험성을 각성시켜야 한다 163
- 올바른 SNS 언어 사용 습관 가르치자 165
- 온라인에 의존할수록 망각에 익숙해진다는 점 알아야 167
08 기초 학력 지도의 문제점 어떻게 해결할까
- ‘한 명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 실천이 필요하다 172
- 기초 학력 부진 학생을 위한 교수법 설계 절실 174
- 교사의 관심과 피드백이 최고의 학력 안전판 176
- 학습 부진 학생 위해 전문가 집단 적극 활용하자 178
09 4차 산업혁명과 초등학교 진로 교육
- 학생 발달 상황 종합적으로 보여 주는 평가 체계 갖춰야 182
- 디지털 사회에 대비해 진로 교육을 보강하라184
- 독서와 연계된 진로 교육 개발 필요 186
- 평생 교육 관점에서 진로 교육 체계 갖추자 189
- 진로 교육은 학생의 자기 알기부터 시작하라 192
- 교사의 자아 실현 과정 보여 주는 것이 산 진로 교육 194
10 겁주는 글쓰기 교육과 행복한 글쓰기 교육
- 학생과 교사가 소통하는 글쓰기 198
- 한두 문장이라도 매일 자기 경험 표현하게 하라 200
- 삶의 일부가 되는 쓰기 교육 실천하자 203
-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 이뤄져야 205
- 글쓰기가 사회를 바꾸는 도구라는 사실 경험시켜야 208
- 프랑스처럼 쓰기 교육 생활화해야 한다 210
- 교실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쓰기 프로그램 연수 확대해야 212
- 실생활과 연계된 글쓰기 교육을 실시하자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