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날 세계인구의 절반이 가난 속에서 고통 받으며 살고 있다
- 글로벌 자본주의는 본래 타고난 모순 때문에 몰락하고 있다
- 미래의 열쇳말: 지역공동체, 협동조합, 경제민주주의, 영성
“한국인들은 위대한 보물들인 아름다운 언어, 문화, 경관을 지니고 있으며 그 보물들은 이상적인 사회를 만드는 투쟁에서 훌륭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이 책에서 ‘우리의 문화가 우리의 힘이다’라고 설명한 바와 같이, 문화는 사람들을 통합시키고 어떤 걸림돌이라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강인함을 줍니다.”
- 지은이 다다 마헤슈와라난다 ‘한국의 독자들에게’
21세기의 첫 10년은 글로벌 자본이 가진 혼돈성, 비인간성, 파괴성을 극적으로 보여주었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지닌 문제점을 분명하게 드러냈다. 이런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바탕으로, 다다 마헤슈와라난다는 《자본주의를 넘어》에서, 인도의 사상가이자 사회실천가이면서 저명한 영적 수련가인 사카르가 창안한 ‘프라우트PROUT’를 기본으로 한 대안적인 경제사회시스템을 다양한 각도에서 소개하고 있다.
Contents
감사의 글
한국의 독자들에게
한국어판을 펴내면서 ? 모심과살림연구소
권하는 글 - 마르코스 아루다
저자 서문
1장 글로벌 자본주의의 실패와 경제공황
2장 영적 가치에 기반을 둔 새로운 사회체제
3장 살아갈 권리를!
4장 경제민주주의
5장 더 좋은 세상을 위한 협동조합
6장 농업혁명과 환경보호
7장 계급, 계급투쟁, 혁명에 관한 새로운 시각
8장 영적 혁명가
9장 윤리와 정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
10장 “우리의 문화가 우리의 힘이다” 문화적 정체성과 교육
11장 프라우트의 관리체제(거버넌스)
12장 행동의 요청: 프라우트의 실행 전략
13장 노엄 촘스키와의 대담
후기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것은 우리의 손에 달려 있다 - 프레이 베투
부록
A - 토의할 질문들
B - 프라우트 공부·행동 모임 만들기
C - 우리 지역과 연관된 경제적, 사회적 질문
D - 6장의 구역 단위의 계획수립 연습에 대한 해답
E - 프라우트 슬로건
옮긴이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