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물 그리고 삶

$12.96
SKU
97889961142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3/1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96114260
Categories 종교 > 역학/사주
Description
공동저자 7명은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동양사상학과 철학박사(전통의례지리산업학 전공) 동문으로 우리전통에 맞춘 동양사상(풍수지리, 전통의례, 동양철학, 명리학 등)에 관한 내용을 쉽게 접근하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논어(論語)』 「위정(爲政)?편에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옛 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면 스승이 될 수 있다”하였습니다. 이 말을 흔히 우리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고 표현하는데, ‘우리의 전통문화와 학문을 충분히 익히면 현재 우리의 인격함양(人格涵養)에 좋은 스승이 될 수 있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도시의 입지선정과 공간구성
(전통도시[한성/읍성]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글
2. 조선시대 중심도시 한성[서울]과 지방도시 읍성
3. 전통도시 한성[서울]과 읍성의 입지
4. 전통도시 한성[서울]과 읍성의 공간구성
5. 나가는 글

제2장 우리시대의 풍수는 어떠해야 하는가?
(풍수사들의 도전과제 / 우리시대 풍수에 대한 이해와 방향)
1. 시작하는 글
2. 풍수지리와 동기감응[氣] 이해
3. 풍수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풍수사들의 도전과제
4. 오늘날 풍수사들이 가져야 할 자세
5. 마무리 글(새로운 풍수지리의 방향)

제3장 자연장(自然葬)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1. 들어가는 글
2. 자연장 관련법 개정 내용
3. 우리나라 장사(葬事) 시설의 문제점
4. 선진국 장사시설의 운영 사례의 시사점
5. 자연장지 조성유형과 효율적 관리방안
6. 유형별 자연장지 조성모델
7. 나가는 글

제4장 조선시대에는 어떤 기준으로 집터를 정했을까?
1. 들어가는 글
2. 주택의 역사와 조선시대 주택의 특징
3. 집터선정의 실제적인 사례
4. 나가는 글

제5장 포항(浦項) 비학산(飛鶴山)과 법광사(法光寺) 터 이야기
1. 들어가는 글
2. 비학산(飛鶴山)
3. 법광사(法光寺)
4. 나가는 글

제6장 풍수지리[형국]와 마을지명
1. 들어가는 글
2. 기(氣)와 상(象), 형국
3. 지명 속에 함의된 풍수형국
4. 나가는 글

제7장 행복은 운명인가, 선택인가?
1. 행복을 논하면서
2. 행복을 찾아가는 나의 이야기
3. 내가 체험해본 유대인의 하브루타 태교
4. 아이의 미국유학 생활 속에서 느낀 행복
5. 행복은 운명인가, 선택인가?
6. 글을 맺으면서

제8장 팔공산(八空山)이 말하는 풍수(風水) 이야기
1. 팔공산 프롤로그(Palgongsan prologue)
2. 봉황의 배를 지나 최고봉으로 치닫는 비로봉 코스
3. 봉황의 왼쪽날개 끝자락 삿갓봉에서 문득 오르다
4. 봉황의 오른쪽 날갯죽지 암릉 서봉에서 눈꽃에 홀리다
5. 경산 팔공산 갓바위에서 딱 한 가지 소원을 말하다
6. 봉황의 오른쪽 날개 끝자락 파계봉에 올라 눈 덮인 톱날능선을 굽어보다
7. 팔공산 에필로그(Palgongsan epilogue)

제9장 전통(傳統) 상례(喪禮)의 염습(斂襲)에 내재된 음양오행 고찰
1. 머리말
2. 염습의 의미와 절차
3. 염습에 내재된 음양오행
4. 맺음말

제10장 왕충에 있어서의 ‘진리(眞理)와 지배(支配)’ 관(觀)
1. 머리말
2. 왕충이전에 있어서의 ‘진리와 지배’관
3. 왕충에 있어서의 ‘진리와 지배’관
4. 맺음말
Author
김형근,문정우,박영숙,유병우,김상수,노인영,박미향
한국불교법사대학을 수료하고 동명대학교 공학 석사, 대구한의대학교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구한의대학교와 동대학 평생교육원에서 객원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원각전통문화연구원장 직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정통 명리학 Ⅰ 개론』, 공저로는 「한국 전통사상과 풍수 문화」, 『풍수명당 설계와 장례 문화 1, 2』,「음양오행설과 명리·풍수의 발전에 관한 연구」,「전통도시의 공간구성과 풍수」, 『바람·물 그리고 삶』, 등이 있다.
한국불교법사대학을 수료하고 동명대학교 공학 석사, 대구한의대학교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구한의대학교와 동대학 평생교육원에서 객원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원각전통문화연구원장 직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정통 명리학 Ⅰ 개론』, 공저로는 「한국 전통사상과 풍수 문화」, 『풍수명당 설계와 장례 문화 1, 2』,「음양오행설과 명리·풍수의 발전에 관한 연구」,「전통도시의 공간구성과 풍수」, 『바람·물 그리고 삶』,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