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정치학자이자 인문주의자, 유능하고 공정한 법률가이자 행정가인 토머스 모어의 편지들이 현재 우리에게 전해질 수 있었던 것은 대체로 그의 벗들의 깊은 존중심 덕택이다. 예를 들어 에라스뮈스와 뷔데는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서 모어에게서 받은 편지를 출판햇다. 또한 메헬렌 대평의회 의원이었던 그의 또 다른 벗, 프란시스퀴스 판 크라네벨트는 모어의 편지를 다른 사람들의 편지들과 함께 연대순으로 정리해서 보관했다. 그래서 우리는 분명 모어가 썼을 수천 통의 편지들 가운데 현재 남아 있는 127편을 읽을 수 있다. 이들 가운데 몇몇은 그의 저작에 대한 서문이거나 헌사이다. 이 편지들은 학문적 가치를 가지는 한편 모어가 다른 학자들과 맺은 친분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도 흥미롭다.
Contents
서문
토머스 모어 서한집
1. [2] 존 홀트에게. 《런던, 1501년 11월경》.
2. [3] 존 콜레트에게. 런던, 《1504년》 10월 23일.
3. [8] 존 콜레트에게. 《런던? 1512년? 3월경》.
4. [15] 마르턴 도르프에게. 브뤼헤, 《1515년》 10월 21일.
5. [16] 에라스뮈스에게. 런던, 1516년 2월 17일경.
6. [20] 에라스뮈스에게. 런던, 《1516년》 9월 3일.
7. [22] 에라스뮈스에게. 런던, 《1516년 9월 20일경》.
8. [23] 에라스뮈스에게. 런던, 《1516년 9월 22일》.
9. [26] 에라스뮈스에게. 런던, 《1516년》 10월 31일.
10. [28] 커스버트 턴스톨에게. 《런던 1516년 11월경》.
11. [29] 에라스뮈스에게. 《런던 1516년 12월 4일경》.
12. [30] 에라스뮈스에게. 런던, 《1516년》 12월 15일.
13. [31] 윌리엄 워럼에게. 《런던, 1517년 1월》.
14. [32] 왕좌 재판소 판사에게. 《런던, 1517년 1월》.
15. [34] 안토니오 에게. 《런던, 1517년 1월?》.
16. [37] 커스버트 턴스톨에게. 《런던, 1517년?》.
17. [43] 딸들과 마거릿 자이지에게. 《1517년?》.
18. [57] 존 피셔에게. 《1517-1518년경》.
19. [60] 옥스퍼드 대학교에. 애빙던 《1518년》 3월 29일.
20. [63] 윌리엄 고넬에게. 궁정에서 《1518년?》 5월 22일.
.
.
(중략)
Author
토머스 모어,이미애
영국의 대법관이자 인문주의자이며 주저인 『유토피아Utopia』로 인해 유토피아 사상의 창시자로 평가고 있는 인물이다. 1478년 2월 6일 런던에서 법률가의 아들로 태어나 성 앤서니 학교를 거쳐 옥스퍼드 대학에 입학했으나 아버지의 뜻에 따라 학교를 중퇴한 후 링컨 법학원에서 공부했다. 1501년 정식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여 법률가로서의 직업에 충실하면서도 신학, 철학, 예술, 문학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던 그는 한때 성소를 느끼고 이에 응답하고자 4년 동안 카르투지오회 수도자들의 영성 수련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평신도의 길을 선택했고 일생 동안 기도와 단식을 충실히 함으로써 하느님을 자신의 삶의 중심에 둔 참된 신앙인으로 살았다. 헨리 8세가 영국국교회의 수장이 되는 것에 반대하여 1535년 7월 6일 반역죄로 참수형에 처해진 그는 1935년 5월 20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의 저서로는 『피코 델라 미란돌라전傳』(1510년)과 『유토피아』(1516년), 그리고 미완성인 채로 남았지만 후대 역사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리처드 3세전傳』(1543년) 등이 있다.
영국의 대법관이자 인문주의자이며 주저인 『유토피아Utopia』로 인해 유토피아 사상의 창시자로 평가고 있는 인물이다. 1478년 2월 6일 런던에서 법률가의 아들로 태어나 성 앤서니 학교를 거쳐 옥스퍼드 대학에 입학했으나 아버지의 뜻에 따라 학교를 중퇴한 후 링컨 법학원에서 공부했다. 1501년 정식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여 법률가로서의 직업에 충실하면서도 신학, 철학, 예술, 문학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던 그는 한때 성소를 느끼고 이에 응답하고자 4년 동안 카르투지오회 수도자들의 영성 수련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평신도의 길을 선택했고 일생 동안 기도와 단식을 충실히 함으로써 하느님을 자신의 삶의 중심에 둔 참된 신앙인으로 살았다. 헨리 8세가 영국국교회의 수장이 되는 것에 반대하여 1535년 7월 6일 반역죄로 참수형에 처해진 그는 1935년 5월 20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의 저서로는 『피코 델라 미란돌라전傳』(1510년)과 『유토피아』(1516년), 그리고 미완성인 채로 남았지만 후대 역사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리처드 3세전傳』(1543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