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사의 여러 가지 주제들 가운데, 사회사와 사상사에 관한 저자의 논문을 엮은 것이다. 흔히 참다운 교육을 통하여 훌륭한 인재를 많이 양성하여야 사회가 발전한다고 한다. 그만큼 교육을 통한 인재양성은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이 책은 우리의 고대사에서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흐름을 밝힌다. 또한 이러한 교육의 바탕이 되는 사상 및 그 특징을 함께 연구한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고대의 교육과 사회
제1장 고대의 교육과 인재양성
제2장 고구려 왕릉 순장자의 사회적 처지
-고구려사회의 노예제설 비판의 일환으로-
제2부 고대 사회의 발전과 통일
제1장 백제초기 소국의 형성과 연맹의 발전
-『삼국사기』의 기록을 중심으로
제2장 신라의 서울지역 진출과 삼국통일
제3부 고대의 사회와 사상
제1장 보덕의 사상과 활동
제2장 보덕의 불교수호운동과 열반사상
제3장 신라시대 『효경』의 수용과 그 사회적 의의
제4장 신라하대 선종 사자산문의 사회적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