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넘게 남북관계와 통일문제를 집중 탐구해온 저널리스트가 햇볕정책의 공과와 의미를 종합적으로 짚어본 책. 저자는 대북송금에 대한 특검 수사가 햇볕정책 전체를 훼손하고 이로 인해 남북관계가 퇴보하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이 책을 썼다고 밝힌다. 한때는 너무 고평가됐다가 지금은 바닥으로 떨어진 햇볕정책의 위상이 민족사에서 정당하게 차지해야 할 본래의 제 자리를 되찾도록 해야 한다고 저자는 촉구한다.
Contents
머리말
프롤로그-영광과 좌절
1장 김대중 정부와 햇볕정책
햇볕정책을 말하다
취임사에서 천명한 대북 3원칙/햇볕정책 추진방향/햇볕정책, 북한에 따뜻한 빛을…
/햇볕정책 명칭에 대한 북한의 반발/소모적 논쟁 피해간 김 대통령
호기 날려버린 남북의 기 싸움
보수에는 보수로! 강인덕 통일부 장관 발탁/상호주의에 발목 잡힌 베이징
차관급회담/서해교전으로 2차 차관급회담 또 결렬
햇볕정책의 첫 시련, 서해교전
해상충돌 부추긴 보수언론/계획적 도발인가, 우발적 충돌인가/NLL 논쟁 바로 알기
/3년 만에 재발한 제2 서해교전
햇볕정책의 동반자 현대그룹과 금강산 관광
정주영 회장의 집념과 소떼 방북/교류와 협력의 상징, 금강산 관광사업
/수지 못 맞춰 난관에 빠진 금강산 관광/정주영 회장 상가에 온 조문사절단
2장 남북 정상회담 전후
정상회담 특사접촉
정상회담 합의 깜짝 발표/베일을 벗은 싱가포르 비밀접촉/베를린 선언과
특사접촉의 상관관계/박지원 장관이 나선 까닭/총선 앞둔 발표로 ‘정치적 이용’
구설수 자초/뒤늦게 안 미국의 분노와 의심/판문점에서의 정상회담 준비접촉
세계를 놀라게 한 정상회담
방북 첫째 날-예상 밖 공항영접/방북 둘째 날-남북 정상회담
/방북 셋째 날-오찬과 귀환
6.15 공동선언의 역사적 의미
통일문제의 자주적 해결 다짐/통일방안의 공통점 인정/인도적 문제 해결
남북 정상회담, 그 후
봇물 터진 남북 교류와 협력/임동원-김용순 두 대리인의 밀착 협상
/눈물바다 된 이산가족 상봉/남북 교류협력의 획기적 진전/속도조절론의 함정
/의미 깊은 남북 국방장관회담/역풍 만난 남북관계
3장 북한의 선택
김정일 정권의 전략적 변화
김정일 체제, 닻을 올리다/적극적 외교전략만이 살 길이다/개혁과 개방을 향해
/신의주특구, 개성특구 지정
4장 햇볕정책 성패 가른 미국
클린턴 정부와 햇볕밀월
갈등과 협상 반복한 북미관계/클린턴 정부의 로드 맵, 페리 보고서
/조명록 차수의 미국 방문/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
부시 대통령과 9.11 테러 이후의 한반도
클린턴 정부에 반대한다/공화당의 대북정책 로드 맵, 아미티지 보고서
/첫 정상회담서 김 대통령 홀대한 부시/일방적인 대북 대화재개 선언
/9.11 테러 사태에 휘말린 한반도/악의 축/미국, 핵 선제공격 가능성을 열어두다
/미국의 한반도 전쟁 시나리오
5장 햇볕정책의 시련
북미 핵 갈등에 치인 햇볕정책
켈리 특사 방북과 핵 시인 파문/한국 반응 떠본 맞춤형 봉쇄
/어렵게 열린 베이징 3자회담/이라크와는 다른 북한/
/1994년 핵 위기 때와 다른 점/미국 페이스에 끌려간 노무현-부시 정상회담
/평화번영정책과 햇볕정책
국내 정치에 치인 햇볕정책
햇볕정책에 대한 북한의 반응/햇볕정책에 대한 미국의 반응/햇볕정책에 대한
주변국들의 반응/국내 정치적 지지기반이 취약했던 이유/대북송금 의혹과
특검 수사결과 발표/햇볕정책의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