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부한 운동 경험을 갖춘 저자는 전 세계의 운동에 관한 방대한 역사적 자료를 연구하여 이 책을 집필했다. 여기에는 인도 독립 운동, 베트남전 반대 운동, 영국의 선거권 확대 운동, 이집트의 민주화 운동에 관한 생생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정부가 대항권력에 어떻게 맞서는지, 운동은 기업권력에 어떻게 저항하는지, 그리고 사회 변화를 이뤄내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설명도 들을 수 있다. 아시아(특히 버마), 동유럽, 아프리카의 사회변화를 위한 운동은 물론 기후 변화 등 요즘 핵심 이슈로 떠오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운동도 다뤄지고 있다. 젊은 행동가뿐만 아니라 사회 정의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읽어야 할 것이다.
Contents
서론
제1장 대항권력은 운동의 승리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제2장 인도는 어떻게 독립을 쟁취했는가?
제3장 정부는 대항권력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제4장 베트남 전쟁은 어떻게 멈추게 되었나?
제5장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는 어떻게 종식되었는가?
제6장 영국의 선거권 쟁취 운동은 어떻게 승리했는가?
제7장 기업권력에 어떻게 저항했는가?
제8장 이집트인은 어떻게 독재정권을 무너뜨렸는가?
제9장 결론: 변화를 일으키는 방법
- “내부자”와 “외부자” 중 어느 게 효과적인 방법인가?
- 시위는 효과가 있는가?
- 어떤 전술을 동원해야 할지 결정하는 방법은?
- 주류 언론매체는 운동가의 행동을 제대로 보도하는가?
- 언제 투쟁의 전선을 확대시켜야 하는가?
-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하는가?
- 운동은 변화를 만들어내는가?
Author
팀 지
집단적 행동을 조직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조직가이자 행동가이다. 런던 G20 정상회담을 앞두고 3만5천 명이 참석한 거리 시위, 전 세계에서 1억 명 이상이 참여한 ‘세계 빈곤 퇴치의 날’ 행사 등을 조직하는 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후 캠프와 풀뿌리 지역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할 때부터 학생운동에 뛰어들었다. 행동가를 위한 행동 지침서를 만들고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에도 일가견이 있다.
집단적 행동을 조직하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조직가이자 행동가이다. 런던 G20 정상회담을 앞두고 3만5천 명이 참석한 거리 시위, 전 세계에서 1억 명 이상이 참여한 ‘세계 빈곤 퇴치의 날’ 행사 등을 조직하는 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후 캠프와 풀뿌리 지역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에딘버러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할 때부터 학생운동에 뛰어들었다. 행동가를 위한 행동 지침서를 만들고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에도 일가견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