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단순한 중국 현대철학사가 아니라 한편으로는 철학사적 시각을 유지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학술 이론의 변화와 내용을 심도 있게 서술한 보기 드문 연구서다. 특히 저자의 말처럼 이 책은 타인의 연구를 인용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미일관하게 논리적으로 서술되었다. 이 점은 바로 이 책의 큰 장점이며, 그 장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저자는 짧지 않은 서론에서 먼저 현대 중국철학의 흐름을 간단명료하게 개괄함으로써 독자들이 현대 중국철학에 대한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도록 안내했다.
둘째, 본론에서 저자는 현대 중국철학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철학사상으로 현대 신유가 사조 · 중국 실증철학 사조 ·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 사조를 선정하여 그 철학 사상을 깊이 분석 설명하였다. 각 단원의 첫머리에서는 먼저 그 역사적 흐름을 개술하고 그다음 각 철학 사조의 대표적 인물을 선정하여 그들의 핵심 이론을 심도 있게 설명하였다. 이 두 가지 형식은 바로 철학사와 철학 이론을 함께 서술한 이 책의 장점으로 보인다.
셋째, 전체적으로 이 책은 현대 중국철학을 서술하면서 시종일관 중국 고유철학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중국 전통철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래해 온 서양철학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넷째, 결론과 부록에서 저자는 보충 형식으로 당대(當代) 철학을 요약 설명함으로써 간략하게나마 현대를 넘어 ‘바로 지금의 중국철학’과 연결하고 있다. 이 점은 ‘바로 지금’의 중국 철학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다.
Contents
서 론 중국철학의 새로운 단계
1. 현대철학 학문분과 의식의 자각
(1) 현대의식의 자각
(2) 철학 학문분과 의식의 자각
2. 사상의 자원
(1) 고유의 자원
(2) 외래적 자원
3. 기본적 구도
(1) 현대 신유가 사조
(2) 중국 실증철학 사조
(3)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 사조
4. 주요 문제
5. 이론 특색
제1장 현대 신유가 사조
1. 개 설
(1) 현대 신유가 사조의 발생원인
(2) 현대 신유가 사조의 발전 과정
(3) 현대 신유가의 유형
2. 양수명(梁漱溟)
(1) ‘대 생명(大生命)’의 본체론
(2) ‘삼량설(三量說)’의 인식론
(3) ‘세 방향 노선(三路向)’의 문화관
(4) ‘내면에서 찾는’ 가치관
3. 웅십력(熊十力)
(1) ‘체용불이(體用不二)’론
(2) ‘성체가 드러남(性體呈露)’이론
4. 당군의(唐君毅)
(1) ‘도덕자아’ 본체론
(2) 심령구경설
5. 모종삼(牟宗三)
(1) 도덕형이상학
(2) 내성(內聖)에서 신외왕(新外王)이 출발함
6. 풍우란(馮友蘭)
(1) ‘이세계(理世界)’의 본체론
(2) 인생경지설
7. 하린(賀麟)
(1) ‘심리합일(心理合一)’의 본체론
(2) 신식 유학자 인격론
제2장 중국 실증철학 사조
1. 개 설
(1) 역사적 발전 과정
(2) 학술적 특색
(3) 관련된 사회 사조
2. 호적(胡適)
(1) 도구적 이성에 관심을 쏟음
(2) 경험주의적 실재론
(3) 도구주의적 진리론
(4) 실증주의적 방법론
3. 정문강(丁文江)
(1) 과학과 현학 논쟁을 일으킴
(2) 과학 만능론
(3) 과학과 인생관의 관계를 논함
(4) 유각주의[感覺主義]와 존의주의(存疑主義)[不可知論]
4. 장동손(張東蓀)
(1) 유각주의에 관한 질의
(2) 존재하지 않는 것의 감각재료[感相]와 잠재된 조리(條理)
(3) 직관적 형식과 판단적 형식
(4) 마음을 본위로 하는 중간 단계론
5. 김악림(金岳霖)
(1) 주관주의를 비평함
(2) 소여(所與)는 객관이 드러난 것
(3) 의념(意念)[槪念]의 디자인에 소여를 받아들임
(4) 사고의 법칙[思議原則]과 귀납의 법칙
(5) 참과 거짓의 정의와 표준
제3장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 사조
1. 개 설
(1) 마르크스주의의 중국 전래
(2) 중국이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선택한 논리적 필연성
(3)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 사조의 발전 과정
2. 이대소(李大釗)와 진독수(陳獨秀)
(1) 이대소가 유물사관을 받아들인 사상적 바탕색
(2) 이대소의 유물사관 이해
(3) 진독수의 유물사관 이해
3. 구추백(瞿秋白)
(1) 중국에서 마르크스주의 전파의 두 번째 절정
(2) 마르크스주의 이론체계에 대한 구추백의 새로운 인식
(3) 변증법적 유물주의에 대한 구추백의 이해와 서술
4. 이달(李達)과 애사기(艾思奇)
(1) 중국에서 마르크스주의 전파의 세 번째 절정
(2)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대한 이달의 규범화적 이해
(3)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대한 애사기의 통속화적 보급
5. 곽말약(郭沫若)과 후외려(侯外廬)
(1) 곽말약: 유물사관을 사용하여 전통 학술 사상 연구
(2) 유학에 대한 곽말약의 공감적 이해
(3) 유학에 대한 곽말약의 분석과 비평
(4) 후외려의 유학 연구
6. 모택동(毛澤東)
(1) 중국화로 넘어가는 새로운 단계
(2) 모택동 사상의 철학적 창신
(3) 중국철학의 현대적 변혁
결 어 “당대 중국철학의 새로운 장을 보충하여 쓴다.”
1. 현대화에 적응하며 자기의 길을 걸어가자
2. 세계화에 적응하며 발전 공간을 폭넓게 확장해 가자
3. 정확한 방향을 견지하고 발전의 계기를 파악하자
4. 중국 실증철학에의 응답: 이론을 방법으로 변용하자
5. 현대 신유가에의 응답: 이론을 덕성으로 변용하자
부 록 중국 근현대철학 연구의 새로운 진전
1. 연구 시각의 창신
2. 현대 신유가 연구의 창신
3. 중국 실증철학 연구의 창신
4.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 연구의 창신
후기(後記)
Author
송지명,고재욱
중국 길림대학(吉林大學)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 수료. 중국 인민대학 철학박사. 현(現) 중국현대철학연구회 명예회장. 인민대학학술위원회 위원 역임, 중국현대철학연구회 회장 역임. 중국철학사학회 부회장 역임. 공자연구원학술위원회 위원. 국제유학연합회 고문. 저서: 『현대신유가연구(現代新儒家硏究)』 『중화학술원류(中華學術源流)』 『중국고대철학연구(中國古代哲學硏究)』 『웅십력평전(熊十力評傳)』 『하린평전(賀麟評傳)』 『풍우란평전(馮友蘭評傳)』 『중국전통철학통론(中國傳統哲學通論)』 『중국현대철학통론(中國現代哲學通論)』 『중국고대철학통사(中國古代哲學通史)』 『중국근현대철학통사(中國近現代哲學通史)』 『중국고대철학연구방법신탐(中國古代哲學硏究方法新探)』 등 30여 권의 저서와 3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중국 길림대학(吉林大學) 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 수료. 중국 인민대학 철학박사. 현(現) 중국현대철학연구회 명예회장. 인민대학학술위원회 위원 역임, 중국현대철학연구회 회장 역임. 중국철학사학회 부회장 역임. 공자연구원학술위원회 위원. 국제유학연합회 고문. 저서: 『현대신유가연구(現代新儒家硏究)』 『중화학술원류(中華學術源流)』 『중국고대철학연구(中國古代哲學硏究)』 『웅십력평전(熊十力評傳)』 『하린평전(賀麟評傳)』 『풍우란평전(馮友蘭評傳)』 『중국전통철학통론(中國傳統哲學通論)』 『중국현대철학통론(中國現代哲學通論)』 『중국고대철학통사(中國古代哲學通史)』 『중국근현대철학통사(中國近現代哲學通史)』 『중국고대철학연구방법신탐(中國古代哲學硏究方法新探)』 등 30여 권의 저서와 300여 편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