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철학적 전통을 하나의 문화로서 세계화 시대에 내놓는다면 우리는 무엇을 가지고 자랑할 수 있을까? 우리는 퇴계와 율곡을 상식적으로 많이 거론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학자의 학술 논문에서도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우리는 알고 있다. 전통적인 방법인 문헌해설적 연구, 소위 고증학적 연구는 아주 잘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것을 토대로 약간 보완할 수 있는 작업의 하나로 현대 철학적 해석의 하나의 시론으로서 화이트헤드(A.N. Whitehead, 1861~1947)의 과정철학(process philosophy)과 주자학(넓게 말하면 성리학)을 비교하였다.
주자학의 이러한 해석은 앞에서 말한 대로 동양철학을 현대적 언어논리에서 논해 보려는 의도이지만, 마지막 목적은 이것을 계기로 우리나라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를 시발로 한 조선조 성리학의 특성을 드러내려는 것이다. 퇴·율 성리학의 근본이 주자의 성리학이지만, 수용하고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우리 나름의 특징이 생겼다고 보고, 그것을 ‘한국의 철학적 사유의 전통’으로 부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의 원전 자체가 난해하여 본서는 비교론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성리학 이해의 방편으로 생각해주면 좋겠다.
Contents
머 리 말
제1부 주자학과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1장. 주자의 기(氣)의 개념에 대하여
2장. 주자의 리(理)에 대한 일고찰
3장. 주자 태극론(太極論)의 철학적, 종교적 의미
10장. 녹문 임성주 유기론(唯氣論)의 과정철학적 의미
11장. 노사 기정진 유리론(唯理論)의 과정철학적 의미
참고문헌
Author
이동희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졸업, 동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철학박사)하였다. 동양철학연구회 회장, 한국동양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계명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 『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사유와 쟁점』, 『주자―동아시아 세계관의 원천』『주자학 신연구』,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과 조선조 성리학』 등이 있다. 논문으로 「라이프니츠에 있어서 중국철학 수용과정에 대한 연구」, 「牛溪 成渾의 性理說과 조선후기 ‘折衷派’」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졸업, 동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철학박사)하였다. 동양철학연구회 회장, 한국동양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계명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 『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사유와 쟁점』, 『주자―동아시아 세계관의 원천』『주자학 신연구』,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과 조선조 성리학』 등이 있다. 논문으로 「라이프니츠에 있어서 중국철학 수용과정에 대한 연구」, 「牛溪 成渾의 性理說과 조선후기 ‘折衷派’」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