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학통사 (중)

$43.20
SKU
978899484445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8/15
Pages/Weight/Size 152*223*18mm
ISBN 9788994844459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지난날 출간된 ‘유학사’류와 달리 서술의 하한선을 8·15 광복 이후까지 연장하여 한국유학의 역사를 국고정리(國故整理) 차원이 아닌 현재 살아 있는 유학사로 꾸민 점이 특징이다. 학구적이고 이지적인 색채를 강하게 풍겼던 종래 유학사의 서술방식에서 일정하게 탈피하여 사회사상사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모색하였으며, 유학사상의 다양한 영역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기 위해 학술사의 성격을 넘어 정치사상사, 사회경제사, 문화사 등의 연구 성과를 섭취, 반영하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와의 연관성을 중시, 한국유학사의 흐름을 통해 한국사에 대한 재조명을 시도하였고, 우리 역사의 여러 방면에 끼친 유학사상의 영향과 사회적 기능, 역사적 의의 등을 폭넓게 고찰함으로써 한국유학의 본질과 응용을 바르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Contents
제13부 穆陵盛世의 文運과 성리학의 융성

제3장 退溪·栗谷前後의 名儒(一)
제4장 退溪·栗谷 前後의 名儒(二)
제5장 壬辰倭亂과 義理思想

제14부 17세기 중엽 이후 정계 및 학계의 동향

제1장 胡亂과 斥和·主和의 思想史的 意義
제2장 崇明排淸義理 및 北伐論의 春秋學的 意義
제3장 慕華思想의 高調와 箕子思想의 顯揚
제4장 崇用山林의 氣風과 그 정치적 기능
제5장 朋黨政治의 발달과 근본 성격
제6장 懷尼是非와 老少分黨
제7장 宋時烈의 학술·사상과 儒學史上 위치
제8장 조선유학의 心學化와『心經』의 位相
제9장 仁祖 이후의 名儒와 그 思想

제15부 禮學의 성립과 발전

제1장 序說
제2장 禮學의 성립과 禮思想의 전개
제3장 仁祖朝의 典禮問題
제4장 顯宗·肅宗朝의 服制問題 - 己亥服制是非

제16부 脫朱子學風의 胎動과 主體的 經傳註解

제1장 朱子絶對主義의 형성 과정과 배경
제2장 주체적 철학사상의 선구
제3장 탈주자학풍과 주체적 경전주해의 선봉
제4장 주자절대주의와 탈주자학풍의 영향 및 의의

제17부 陽明學의 수용과 발전

제1장 양명학의 전래와 수용
제2장 양명학의 개요와 末弊
제3장 양명학에 대한 비판과 배척
제4장 양명학파의 성립과 발전
제5장 양명학이 조선에 끼친 역사적 영향

제18부 實學思想의 擡頭와 그 先導者

제1장 序說
제2장 李順光의 懋實思想과 實用精神
제3장 韓百謙의 田制硏究와 實證精神
제4장 金堉의 經世思想과 爲民精神
제5장 柳馨遠의 實學史上 위치

제19부 湖洛學派의 논쟁과 그 의의

제1장 호락논쟁의 기원
제2장 호락학파의 성립과 논쟁의 발전
제3장 논쟁의 思想史的 意義와 문제점

제20부 實學思想의 전개와 특성

제1장 序說
제2장 經世致用派의 활동과 사상적 기반
제3장 北學派와 사상적 특질
제4장 조선실학의 掉尾
제5장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架橋者-崔漢綺
Author
최영성
1985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한국철학과를 졸업, 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영산대학교 전임강사에 임용된 뒤, 2000년부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 대학 학술정보관장, 전통문화연구소장, 교학처장 등 보직을 맡았으며,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한국유교학회 부회장, 한국철학사연구회 회장, 국제유교연합회 이사 등을 지냈다. 현재 간재학회(艮齋學會) 회장, 농산학회(農山學會) 회장으로 재임 중이다.

전공분야는 한국철학이다. 한국 고대사상 연구를 통해 한국사상의 원형을 발굴, 정립하는 데 힘써왔으며, 한국의 고대 사상가 가운데 최치원을 중시하여 최치원의 사상이 갖는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유학사의 통사적 저술을 기획하여 『한국유학사상사』 전5권(1994-1997)을 펴냈고, 2006년에 이를 재정리하고 보완하여 『한국유학통사』 전3권(2,370쪽)으로 다시 펴냈다. 학계에서 ‘한국유학사 연구의 이정표’라는 평가를 받는 『한국유학통사』는 이 분야 연구의 필수도서로 꼽히며 2016년에 개정중판이 나왔다. 국내는 물론 미국의 하버드대학 등 외국의 각급 대학 및 연구소에 비치되어 있다.

주요 저서 및 번역서로는 『역주 최치원전집』(1997-1998), 『한국의 학술연구: 동양철학편』(공저, 2001), 『역주 매죽헌문집』(2002), 『한국철학사상사』(공저, 2003), 『고운 최치원의 철학사상』(2012), 『역주 한재집』(2012), 『한국의 금석학 연구』(2014), 『사상으로 읽는 전통문화』(2016), 『사상과 문헌을 통한 한국사의 재발견』(2018) 등 다수가 있고, 1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1985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한국철학과를 졸업, 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영산대학교 전임강사에 임용된 뒤, 2000년부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 대학 학술정보관장, 전통문화연구소장, 교학처장 등 보직을 맡았으며,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한국유교학회 부회장, 한국철학사연구회 회장, 국제유교연합회 이사 등을 지냈다. 현재 간재학회(艮齋學會) 회장, 농산학회(農山學會) 회장으로 재임 중이다.

전공분야는 한국철학이다. 한국 고대사상 연구를 통해 한국사상의 원형을 발굴, 정립하는 데 힘써왔으며, 한국의 고대 사상가 가운데 최치원을 중시하여 최치원의 사상이 갖는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유학사의 통사적 저술을 기획하여 『한국유학사상사』 전5권(1994-1997)을 펴냈고, 2006년에 이를 재정리하고 보완하여 『한국유학통사』 전3권(2,370쪽)으로 다시 펴냈다. 학계에서 ‘한국유학사 연구의 이정표’라는 평가를 받는 『한국유학통사』는 이 분야 연구의 필수도서로 꼽히며 2016년에 개정중판이 나왔다. 국내는 물론 미국의 하버드대학 등 외국의 각급 대학 및 연구소에 비치되어 있다.

주요 저서 및 번역서로는 『역주 최치원전집』(1997-1998), 『한국의 학술연구: 동양철학편』(공저, 2001), 『역주 매죽헌문집』(2002), 『한국철학사상사』(공저, 2003), 『고운 최치원의 철학사상』(2012), 『역주 한재집』(2012), 『한국의 금석학 연구』(2014), 『사상으로 읽는 전통문화』(2016), 『사상과 문헌을 통한 한국사의 재발견』(2018) 등 다수가 있고, 1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