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大學)』은 주희(朱熹)에 의해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의 사서(四書) 반열에 오를 만큼 동양 정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경전이다. 그런데 『대학』은 이 사서 가운데서도 일반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경전이며, 동시에 전공자들은 가장 짧은 분량인 이 경전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대학』에 대해서 본격적인 고찰을 수행하고 있는 책이 바로 이 『대학의 종합적 고찰』이다.
전공자들은 『대학』을 이해하기 위한 어떠한 관점들이 존재하며, 같은 『대학』이라도 해석자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특히 독자들은 『대학』이 중국적 전개와 한국적 전개 가운데서 정말 수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는 점에서, 『대학』이 갖고 있는 경전으로서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 책에서 제시된 『대학』에 관한 다양한 해석들은 주희와 왕양명의 지행(知行) 논쟁, 리기론(理氣論) 논쟁과 관련된 핵심적인 쟁점들을 이해하기 위한 관건이 되고 있다. 그만큼 『대학』은 동양 정신사에서 핵심적인 주제가 담겨 있는 보고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책은 그 핵심에 접근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Contents
서문
1부 학제 간 고찰
『대학』의 이념과 방법론 / 임헌규
『대학』의 정치철학 / 안외순
『대학』의 교육학적 접근
-듀이와 화이트헤드의 교육관과 연관하여 / 신창호
『대학(大學)』에 인용된 『시경(詩經)』 구절의 문학적 효용성 / 김형태
2부 중국적 전개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대학』 해석
-격물치지론(格物致知論)을 중심으로 / 서근식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대학(大學)』 해석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중심으로 / 지준호
왕수인의 대학관 연구
-「대학문(大學問)」을 중심으로 / 임홍태
왕부지의 『대학』 이해 / 임옥균
3부 한국적 전개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대학』 해석 / 서근식
육곡 이이의 『대학』 해석
-『성학집요』로의 학문적 심화 / 신창호
사계 김장생의 『대학』 이해
-『대학변의(大學辨疑)』를 중심으로 / 김현수
백호(白湖) 윤휴의 『대학』 해석
-삼강령(三綱領)과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이해를 중심으로 / 신창호
서계 박세당(西溪 朴世堂)의 대학 인식(大學認識)과 사회적 반향(反響) / 김세봉
하곡 정제두의 『대학』 해석 / 힘홍태
성호 이익(星湖 李瀷)의 대학관(大學觀) / 김인규
다산 정약용의 『대학』 해석
-주자의 『대학장구』와 비교를 통하여 / 임헌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