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학살

한국 현대사, 기억과의 투쟁
$34.56
SKU
978899477103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12/15
Pages/Weight/Size 154*225*31mm
ISBN 9788994771038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에서 2006년 6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4년 6개월 동안 근무하면서 국가공권력에 의한 민간인 학살과 무자비한 고문과 인권침해의 적나라한 실상을 생생하게 들여다본 저자는 인터넷신문 [통일뉴스]에 38회에 걸쳐 “임영태의 한국현대사, 망각과의 투쟁”을 연재했다. 저자는 이를 토대로 한 권의 책으로 『한국에서의 학살 - 한국 현대사, 기억과의 투쟁』을 펴냈다. 일제치하로부터 해방후 첫 민간인 학살이랄 수 있는 1946년 10월 민중항쟁(대구폭동)부터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날 때까지의 기록이다.

46년 10월 민중항쟁, 여순사건, 제주4.3사건, 국민보도연맹 사건, 형무소 재소자 학살사건, 부역혐의 학살 사건, 후방지역 민간인 학살, 국민방위군 사건,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 미군에 의한 학살사건이 순서대로 다뤄졌다. 현대사 전문가인 저자는 민간인 학살이 발생하게 된 역사적 맥락을 폭넓게 제시함으로써 기존 진실화해위원회 사안별 조사보고서를 뛰어넘는 시야를 제공하고, 또한 사안별 조사 결과와 데이터들을 꼼꼼하게 인용하고 있다. 이 한 권의 책으로 현대사 속에서의 민간인 학살을 망원경과 현미경으로 동시에 살필 수 있게 된 셈이다.

특히 기존의 연구와 저술들이 제대로 다루지 못한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을 두 개의 장에 걸쳐 상세히 서술한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전쟁 직전 공작원과 유격대 남파’라든가 ‘유엔군의 지주가 될 요소를 제거할 것’ 등은 인민재판이나 인민군 후퇴시 대량 학살과는 달리 잘 알려지지 않은 역사적 사실들이다.

“실제로는 혁명을 위한다는 명분 아래 좌익세력들도 많은 인민을 학살했다. 이른바 ‘혁명의 적’인 지주나 자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미들도 학살 대상이 되었다… 이제는 이념의 잣대로 바라보지 않고 사실에 기초해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시점이 되었다. 그런 점에서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 문제도 어느 정도 이성적인 평가가 가능한 상황이 되었다”(416~418쪽)

국민방위군 사건을 민간인 학살의 범주에 포함시킨 것도 사실상 첫 시도랄 수 있다. 이 사건은 군대나 경찰에 의한 직접적인 민간인 학살 행위는 아니었지만 그에 못지않은 참상을 연출한 사건이었고, “국가권력의 미필적 고의에 의한 또 다른 학살사건”(한홍구 교수)이기 때문이다.

Contents
머리말 역사는 망각과의 투쟁이다
프롤로그 한국 현대사와 과거사 청산 문제

1 1946년 10월 민중항쟁 - 한국 현대사, 비극의 출발점
2 여순사건 - 보복의 악순환이 막을 올리다
3 제주4.3사건(1) - 유채꽃 제주도는 왜 ‘피의 바다’가 되었을까?
4 제주4.3사건(2) - 역사의 진실을 기억하고 지키기 위한 투쟁
5 국민보도연맹 사건(1) - 국가 권력의 조직적인 학살 행위
6 국민보도연맹 사건(2) - 보도연맹원은 어떤 사람들이었나?
7 국민보도연맹 사건(3) - 누가 학살을 주도했나?
8 형무소 재소자 학살사건 - 대구, 여순, 제주 그리고 형무소 학살
9 부역혐의 학살사건 - 도망간 정부가 피난하지 못한 국민을 심판하다
10 후방지역 민간인 학살(1) - 11사단의 견벽청야와 함평 민간인 학살
11 후방지역 민간인 학살(2) - 거창·함양·산청 사건과 호남지역 학살
12 국민방위군 사건 - 1951년 초 한국 겨울의 연옥도
13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1) - 좌우 갈등과 투쟁의 폭력화
14 좌익에 의한 민간인 학살사건(2) - 북한의 남한 점령과 인민 학살
15 미군에 의한 학살사건(1) - 노근리와 공중폭격, 남한에서의 미군 학살
16 미군에 의한 학살사건(2) - 미군기의 북한 초토화 작전과 민간인 학살

에필로그 ‘역사의 심판’을 기대하며
미주


Author
임영태
1959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나 거창고등학교와 동국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때부터 사회문제에 눈 떴고, 청년 시절에는 민주화·노동운동에 관계했다. 지금은 한국 근현대사와 세계사, 인문·사회와 관련한 집필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사)현대사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포괄적 과거사 정리기구인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일하며 공식 보고서 발간 작업을 총괄했다.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 세대가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대중적인 역사·인문·사회 교양서를 쓰는 것에 관심이 많다. 멕시코·쿠바의 역사와 사회문제를 여행기와 결합한 이번 책에 이어 동북아시아 역사와 평화문제를 여행기와 결합한 책을 구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솔직하고 발칙한 한국 현대사』(내일을여는책, 2016), 『스토리 세계사 1~10』(21세기북스, 2014), 『두 개의 한국 현대사』(2014, 생각의길), 『산골대통령 한국을 지배하다』(2013, 유리창), 『국민을 위한 권력은 없다』(2013, 유리창), 『대한민국사 1945~2008』(2008, 들녘), 『거꾸로 읽는 한국사』(공저, 2002, 푸른나무>, 『거꾸로 읽는 통일이야기』(공저, 2002, 푸른나무), 『북한 50년사 1, 2』(1999, 들녘), 『대한민국 50년사 1, 2』(1998, 들녘), 『1980년대 한국 노동운동사』(공저, 1988, 조국) 등이 있다.
1959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나 거창고등학교와 동국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때부터 사회문제에 눈 떴고, 청년 시절에는 민주화·노동운동에 관계했다. 지금은 한국 근현대사와 세계사, 인문·사회와 관련한 집필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사)현대사연구소’ 연구위원으로 활동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포괄적 과거사 정리기구인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일하며 공식 보고서 발간 작업을 총괄했다.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 세대가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대중적인 역사·인문·사회 교양서를 쓰는 것에 관심이 많다. 멕시코·쿠바의 역사와 사회문제를 여행기와 결합한 이번 책에 이어 동북아시아 역사와 평화문제를 여행기와 결합한 책을 구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솔직하고 발칙한 한국 현대사』(내일을여는책, 2016), 『스토리 세계사 1~10』(21세기북스, 2014), 『두 개의 한국 현대사』(2014, 생각의길), 『산골대통령 한국을 지배하다』(2013, 유리창), 『국민을 위한 권력은 없다』(2013, 유리창), 『대한민국사 1945~2008』(2008, 들녘), 『거꾸로 읽는 한국사』(공저, 2002, 푸른나무>, 『거꾸로 읽는 통일이야기』(공저, 2002, 푸른나무), 『북한 50년사 1, 2』(1999, 들녘), 『대한민국 50년사 1, 2』(1998, 들녘), 『1980년대 한국 노동운동사』(공저, 1988, 조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