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70여 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수리, 과학 영역과 문제해결력을 평가하고 방대한 교육 자료를 수집하는 OECD의 진짜 목적은 무엇일까? “국제 학업성취도 1등” “학습 동기 최하위” 같은 말은 익숙해도 그 말 속에 담긴 PISA의 진짜 의미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대한민국 언론과 교육계는 이제껏 PISA 보고서를 오로지 성취도 지표로만 활용해 왔다. 하지만 성취도와 순위는 전체 보고서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교육 개혁이 말뿐인 슬로건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분석이 필요하다. 교육학자, 사회학자이자 현직 교사인 저자는 특기인 사회과학 조사방법을 동원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수천 쪽에 이르는 PISA 보고서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교육의 현실을 진단한다. 장밋빛 희망도, 무책임한 절망도 아닌 객관적 자료와 논리적 분석을 통해 내다본 교육 개혁의 길은 어떤 모습일까?
Contents
프롤로그|우리는 왜 PISA에 열광하는가?
1 PISA를 말하다
PISA의 목적은 교육이 아니다?
만 15세, 자본으로서의 인간
패러다임의 전환 ? 자본에서 지식으로
2 PISA를 들여다보다
무엇을 평가하는가? - 21세기의 핵심역량
어떻게 평가하는가? - PISA 미리보기
3 PISA를 통해 본 대한민국 교육
그래서, 몇 등이야?
상위권을 판쓸이한 동아시아
PISA 12년, 무엇이 바뀌었나?
왜 순위가 높은데도 인재는 부족할까?
4 PISA를 읽는 또 다른 코드
교육 격차의 다양한 양상들
학생을 사랑하지만 학교에 지친 교사들
가장 똑똑하지만 가장 불행한 아이들
성취도에 관한 오해
5 PISA보다 PIAAC이 문제다
평균 이하의 대한민국 성인
학습이 불가능한 사회
6 PISA로부터 배울 것
다시, 제대로 보는 대한민국 교육의 자리
PISA의 교훈과는 거꾸로 가는 교육정책
넘치는 것을 버리고 부족한 것을 채우자
혁신학교가 가야 할 길
문제는 학생이 아니라 성인, 학교가 아니라 사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