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당으로는 안된다

4.15총선 평가와 22년 대선 전망
$10.80
SKU
978899462788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1/27
Pages/Weight/Size 148*210*11mm
ISBN 9788994627885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2006년부터 사회디자인연구소를 운영하면서 국가, 정당, 지자체, 이념·정책 혁신 운동을 해 온 김대호 소장이 자유·보수·우파의 이념적 지평 위에서 펼쳐 보이는 국가비전 전략서. 2019년 4.15총선에 미래통합당 관악을 후보로 출마했다가 ‘세대 비하’ 막말 논란에 휘말려 당시 비대위원장인 김종인의 독단에 의해 선거 하루 전날 후보 자격을 박탈당한 김대호의 4.15총선에 대한 성찰적 평가와 2022년 제21대 대통령선거와 제8회 지방선거 전망과 자유 보수 애국 우파의 승리를 위한 방법론을 담았다.
Contents
서문

1부 길고 깊은 성찰

1장 4.15총선의 교훈과 과제

1절 4.15총선의 충격-- 15
2019. 10. 3 광화문광장의 함성과 2020. 4. 16 삼성전자 연구실의 하이파이브-- 16 | 부모 세대와 자식 세대의 반목과 증오-- 20 | 붉은광장의 훈장 달고 행진하던 볼세비키 노인네?-- 24

2절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총선 백서-- 27
출입기자 대상 설문조사로 잡은 목차-- 28 | 2016년 백서와 2020년 백서-- 31 | 중도층 지지 회복 부족? 거대한 착각의 원천-- 33 | 막말 논란? 책임 전가의 전형-- 44 | 보수·자유·우파의 정체성과 매력의 원천?-- 50 | 공천 실패와 추태-- 52

3절 선거 평가의 기본-- 56
정당 득표율-- 56 | 호남 득표율-- 60 | 대통령 직무 평가와 여론조사-- 62 | 미래통합당의 판세 분석과 결과-- 65 | 공천 실패는 과연 반복되지 않을 수 있을까-- 67 | 비호감도를 어떻게 낮출 것인가?-- 70 | 세대 교체론(3040 기수론)과 경제 전문가 기수론-- 73 | 4.15총선 전면 무효론-- 75

2장 1987체제 성찰-- 79

1절 1987년 이후 역사-- 79
주요 선거 득표율-- 79 | 무인·상인 정신의 퇴조-- 84 | 이명박, 박근혜와 찬탄파의 오류-- 89

2절 1987체제 성찰-- 95
조선 체제의 유산-- 96 | 1987체제의 특성-- 100 | 1987체제의 유전자-- 104 | 반복되는 성찰?반성의 부재와 정치?정책 실패-- 114

2부 국민의힘으로는 왜 안 되나

1장 국민의힘의 실체-- 121
당원과 골조-- 121 | 의원들과 리더십-- 125 | 김종인 비대위라는 창으로 들여다본 국민의힘의 속살-- 130

2장 국민의힘의 강령(2020. 9. 2)-- 137

3장 국민의힘의 치명적 한계-- 153
혼魂이 없는 정당-- 154 | 성찰과 반성이 없는 정당-- 156 | 통찰과 비전이 없는 정당-- 158 | 배신과 뺄셈 정치 정당-- 161 | 민주주의를 무서워하고 기피하는 임명된 엘리트 정당-- 164 | 인지부조화 정당-- 165 | 민주당 2중대 정당-- 166 | 김종인 하나만 문제인가-- 167

4장 보수판 백만민란 운동은 가능한가?-- 171

5장 위대한 정당 없이 위대한 정치 지도자 없다-- 177
Author
김대호
1963년 경남 사천에서 태어나 진주고를 거쳐 서울대 공대를 졸업했다. 20대에는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30대에는 대우자동차에서 엔지니어 생활을, 40대 초반(2006년)부터는 사회디자인연구소를 운영하면서 국가, 정당, 지자체, 이념·정책 혁신 운동을 해왔다. 대한민국은 어디쯤 있고, 어디로 가야 할지, 나는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할지를 쉬지 않고 고민하고 실천해 왔다. 20여 년 동안 20권 가까운 책을 썼지만, 학위를 획득하거나 연구 실적을 쌓기 위해 쓴 책은 한 권도 없다. 모든 책은 온 몸을 던져 결행한 운동에 대한 치열한 성찰과 모색의 산물이다. 1972년부터 2021년까지 49년 동안 일기를 써 왔고, 17년에 걸쳐 강령적 선언(자유책임 시민정당 제안)을 다듬었으며, 6년 걸려 ‘7공화국’ 시리즈(『7공화국이 온다』, 『왜 7공화국인가』)를 썼다. 1990년대 중반부터 화석화된 민주화운동, 노동운동, 진보적 정치·사회운동이 개혁의 견인차이기는커녕 청년에게 최악의 체제를 만드는 주범임을 절감하고, 노동·공공 개혁을 부르짖고, 보편 지성과 양심에 부합되는 종합적 국가비전 정립을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런데 한국 정치의 문제가 지식, 지혜의 부족이 아니라 소명, 용기, 강단의 실종임을 절감하고, 사상이론가의 자리를 박차고 나와 정치가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다. “삶의 터전이 쇠락하는 연안수산업(사천)-지방중소도시(진주)-구로·금천 지역 중소제조업-대우자동차와 협력업체로 이어져 왔기에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고통과 불안을 항상 의식하고 있다. 경제의 글로벌화와 디지털화, 중국의 경제적 비상, 4차산업혁명 등에서 기회와 희망을 찾으려 노력하면서도, 저출산 쓰나미가 밀어닥치는 지방, 코로나19에 초토화된 내수 자영업, 최저임금과 주 52시간 근무제 등 우악스러운 경제정책의 직격탄을 맞은 중소제조업, 민노총과 외국인 노동자(중국인 십장)에 휘둘리는 건설 인력시장, 결혼과 출산을 연기 기피하면서 영혼을 팔아서라도 취직하고 싶어하는 청년들의 한숨과 비원을 단 한 순간도 잊지 않고 있다. 2006년 이후 사회디자인연구소 소장을 맡아 대한민국의 경세방략經世方略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대우자동차 하나 못 살리는 나라』, 『한 386의 사상혁명』, 『진보와 보수를 넘어』, 『희망한국 프로젝트』(김대호 김두수 공저), 『노무현 이후-새 시대 플랫폼은 무엇인가』 『새우가 고래를 이기는 매니페스토-영혼이 있는 선거전략』(김대호, 정창교 공저), 『2013년 이후-희망 코리아로 가는 길』, 『결혼불능세대』(김대호. 윤범기 공저), 『안철수의 생각을 생각한다』(김대호, 윤범기 공저), 『간절하게 당당하게』(강운태, 김대호 공저), 『미래를 위한 제언 2016』(공저), 『노동의 미래』(공저), 『평등의 역습』(공저) 등이 있다.
1963년 경남 사천에서 태어나 진주고를 거쳐 서울대 공대를 졸업했다. 20대에는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30대에는 대우자동차에서 엔지니어 생활을, 40대 초반(2006년)부터는 사회디자인연구소를 운영하면서 국가, 정당, 지자체, 이념·정책 혁신 운동을 해왔다. 대한민국은 어디쯤 있고, 어디로 가야 할지, 나는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할지를 쉬지 않고 고민하고 실천해 왔다. 20여 년 동안 20권 가까운 책을 썼지만, 학위를 획득하거나 연구 실적을 쌓기 위해 쓴 책은 한 권도 없다. 모든 책은 온 몸을 던져 결행한 운동에 대한 치열한 성찰과 모색의 산물이다. 1972년부터 2021년까지 49년 동안 일기를 써 왔고, 17년에 걸쳐 강령적 선언(자유책임 시민정당 제안)을 다듬었으며, 6년 걸려 ‘7공화국’ 시리즈(『7공화국이 온다』, 『왜 7공화국인가』)를 썼다. 1990년대 중반부터 화석화된 민주화운동, 노동운동, 진보적 정치·사회운동이 개혁의 견인차이기는커녕 청년에게 최악의 체제를 만드는 주범임을 절감하고, 노동·공공 개혁을 부르짖고, 보편 지성과 양심에 부합되는 종합적 국가비전 정립을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런데 한국 정치의 문제가 지식, 지혜의 부족이 아니라 소명, 용기, 강단의 실종임을 절감하고, 사상이론가의 자리를 박차고 나와 정치가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다. “삶의 터전이 쇠락하는 연안수산업(사천)-지방중소도시(진주)-구로·금천 지역 중소제조업-대우자동차와 협력업체로 이어져 왔기에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고통과 불안을 항상 의식하고 있다. 경제의 글로벌화와 디지털화, 중국의 경제적 비상, 4차산업혁명 등에서 기회와 희망을 찾으려 노력하면서도, 저출산 쓰나미가 밀어닥치는 지방, 코로나19에 초토화된 내수 자영업, 최저임금과 주 52시간 근무제 등 우악스러운 경제정책의 직격탄을 맞은 중소제조업, 민노총과 외국인 노동자(중국인 십장)에 휘둘리는 건설 인력시장, 결혼과 출산을 연기 기피하면서 영혼을 팔아서라도 취직하고 싶어하는 청년들의 한숨과 비원을 단 한 순간도 잊지 않고 있다. 2006년 이후 사회디자인연구소 소장을 맡아 대한민국의 경세방략經世方略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대우자동차 하나 못 살리는 나라』, 『한 386의 사상혁명』, 『진보와 보수를 넘어』, 『희망한국 프로젝트』(김대호 김두수 공저), 『노무현 이후-새 시대 플랫폼은 무엇인가』 『새우가 고래를 이기는 매니페스토-영혼이 있는 선거전략』(김대호, 정창교 공저), 『2013년 이후-희망 코리아로 가는 길』, 『결혼불능세대』(김대호. 윤범기 공저), 『안철수의 생각을 생각한다』(김대호, 윤범기 공저), 『간절하게 당당하게』(강운태, 김대호 공저), 『미래를 위한 제언 2016』(공저), 『노동의 미래』(공저), 『평등의 역습』(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