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의 기원

한의학의 새로운 체계를 위하여
$17.25
SKU
978899462762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7/20
Pages/Weight/Size 188*257*8mm
ISBN 9788994627625
Categories 건강 취미 > 한의학/한방치료
Description
경락은 실존 체계가 아닌 설명 체계
한의학의 새로운 도전과 가능성


『경락의 기원』은 한의학 전공자를 비롯해서 한의대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뿐 아니라 한의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을 위한 책이다. 한의학 중에서도 특히 침구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경락의 실체에 관하여 지금까지의 연구는 존재 자체의 증명을 시도했으나 여전히 실체로서의 증거를 내놓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저자는 역발상으로 경락이 실체가 아닐 수 있다는 전제하에 그럼 어떻게 이 개념이 만들어졌는지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추론하면서 경락은 실존 체계가 아닌 설명 체계임을 주장하고 있다. 저자는 이 주장을 꽤 오랜 시간 묵혀 두고 쉽사리 꺼내지 못했다.

『종의 기원』을 탈고한 다윈이 기성질서에의 도전을 부담스러워하며 오랜 세월 서랍 속에 원고를 묵혀 두었듯이, 이 책의 원고 또한 오랜 시간 저자가 현업에 복무하면서 서랍 속에 묵혀 두었어야만 했다. “경락은 실존 체계가 아닌 설명 체계”라는 주장 또한 기성 한의학계의 질서에 대한 도전이고, 패러다임 전환의 예고편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의학 침구 이론의 가장 기초가 되는 경락에 대한 검증 시도는 지금까지 계속되었지만 해부학적으로 검증된 바는 없었다. 1970년대 북한의 김봉한 박사의 봉한소체나 최근의 소광섭 교수의 프리모관을 바탕으로 한 제3순환론도 전통적인 경락의 라인과는 차이가 있다. 체표경락의 주 라인(line)들을 특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연금술 연구 중 발견한 새롭고 놀라운 실체가 바로 프리모관이다.

문헌적인 고증과 ‘사지첨자세’를 특정한 자세에서 인간이 느끼는 라인들이 전통적인 체표경락과 일치함을 이 책 『경락의 기원』에서 밝히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인체를 분류하는 여러 기준 중 팔다리를 본本, 몸체를 말末이라 한다. 이것은 식물이 뿌리로부터 지기를 음수하여 자라기 때문에 뿌리가 본이 되는 것처럼 특정 자세에서 지기가 상승한다고 인식했기 때문에 나온 분류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문헌 고증과 사지첨자세의 실연을 통해 퍼즐을 맞추듯 경락의 설명 체계를 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 『경락의 기원』은 한의학의 새로운 도전과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Contents
1. 경락이란 설명 체계인가? 실존인가?
2. 수양명대장경의 정혈, 상양혈은 양경혈인데 왜 내측에 있는 것일까?
3. 족궐음간경이 음경인데 족배측(경혈학적자세)에 왜 위치할까?
4. 사지첨자세에서 12정경의 각부위별 자세와 라인은?
5. 사지첨자세에서 느껴지는 인장감은 현대 의학적으로 무엇인가?
6. 한의학에서 기란?
7. 음양이란?
8. 오행이란?
9. 현대 수학에서의 수와 동양 상수학에서의 수의 차이점은?
10. 인체는 정말 오장육부로 되어 있는가?
11. 경락의 유주 순서는 경험적 인식인가? 연역적 인식인가?
12. 장부표리, 장부상통은 무엇인가? 어떤 원리로 배합되고 어떻게 쓰이는 것인가?
13. 개합추이론은 무엇이고 왜 나온 것일까?
14. 인체의 경락 라인에 3음3양은 어떤 식으로 배속되었고 왜 3음3양으로 배속하였을까?
15. 간은 좌측에 폐는 우측이 있다(左肝右肺)?
16. 상한론과 소문열론의 육경전병 순서는 귀납적인 인식인가? 연역적인 인식인가?
17. 황제내경에서 음양 및 1, 2, 3의 의미와 종류는?
18. 자오-소음-군화는 어떻게 배속이 되는 것인가?
19. 형제오행과 부부오행은 어떻게 다른가? 언제 어느 때 사용하는가?
(갑기화토는 또 무슨 말인가?)
20. 오운육기론은 어디서 나온 이론인가?
21. 一陽소양, 二陽양명, 三陽태양과 一陰궐음, 二陰소음, 三陰태음의 의미는?
22. 주역의 구성과 그리고 한의학 이론과의 관계는?
23. 한의학 이론을 이해하는 데 왜 주역괘상도인가?
24. 동의보감에 나오는 그림 간, 심, 비, 폐, 신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25. 비장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26. 참고1: 정경침법과 동씨침법의 역사적 비교 의의
27. 참고2: 음양오행설의 기원
28. 참고 문헌
Author
황보연